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4 10:58:23

조선로동당 제5차대회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1차대회
(1946년)
2차대회
(1948년)
3차대회
(1956년)
4차대회
(1961년)
5차대회
(1970년)
6차대회
(1980년)
7차대회
(2016년)
8차대회
(2021년)
1차와 2차대회는 북조선로동당 시절 개막
}}}}}}}}}

<colbgcolor=#c60c30><colcolor=#ffffff> 조선로동당 제5차대회
파일:5차 당대회.png
개막 1970년 11월 2일
폐막 1970년 11월 13일
의제 당면목표 - 전국적 범위에서의 반제 반봉건 민주주의 혁명
최종목표 - 공산주의 사회 건설
- 마르크스 - 레닌주의주체사상을 지도이념으로 설정
통계 당원 : 약 1,600,000명
세포 : 12,000개
대의원 : 1,734명 (언권 : 137명)
인구 대비 당원 비율 : 13%

1. 개요2. 상세3. 둘러보기

1. 개요

조선로동당 대회의 제5차 대회. 9년 만에 열렸다.

2. 상세

본 대회에서는 사회주의의 완전한 승리를 앞당기기 위해 사상•기술•문화의 3대 혁명 심화, 당 유일사상 체계 강화가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것은 말만 번지르르한 명목상의 목적이었고, 사실상 갑산파의 숙청과 더불어 후계자로 떠오른 김정일은 김일성이 두 눈 뜨고 살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감시 체계를 전국으로 확대시키려고 하는 목적이었다.
그리고 2년 후인 1972년 12월 27일, 북한은 주체사상을 국가활동의 지도적 지침으로 규정하는 때에 따라 바꾸는 사회주의헌법을 제정하기에 이른다. 6차 대회 문서도 참조.

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주요 역사적 사건
<colbgcolor=#ccc,#333><colcolor=black,white> 김일성
시대
<colbgcolor=#eee,#555><colcolor=black,white> 1940년대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설치 (1945) · 조선로동당 제1차대회 (1946) ·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 설립 (1946) · 김일성 암살 미수 사건 (1946) · 북조선인민위원회 설립 (1947) · 조선로동당 제2차대회 (1948) · 제1기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1948) · 북·남조선로동당 합당 (1949)
1950년대 6.25 전쟁 (1950~1953) · 박헌영-리승엽 간첩 사건 (1953~1955) · 8월 종파사건 (1956) · 조선로동당 제3차대회 (1956) · 중국인민지원군 철수 (1958) · 천리마 운동 (1959) · 재일교포 북송 (1959~1984)
1960년대 조소동맹조약 (1961) · 조중동맹조약 (1961) · 조선로동당 제4차대회 (1961) · 갑산파 숙청 사건 (1967) · 1.21 사태 (1968) ·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1968) ·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 (1968)
1970년대 조선로동당 제5차대회 (1970) · 7.4 남북 공동 성명 (1972) · 사회주의헌법 제정 (1972)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976)
1980년대 조선로동당 제6차대회 (1980) · 아웅 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 (1983) · 대한항공 858편 폭파 사건 (1987) · 제13차 평양세계학생축전 (1989)
1990년대 남북기본합의서 (1991) · 남북 유엔 동시 가입 (1991) · 북일수교협상 (1991~1992) · 제1차 북핵 위기 (1993~1994) · 서울불바다 발언 사건 (1994) · 김일성 사망 (1994)
김정일
시대
1990년대 남북정상회담 무산 (1994) · 고난의 행군 (1994~2000) · 북미 제네바 합의 (1994) ·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1996) · 심화조 사건 (1997~2000) · 금강산 관광 (1998~2008) · 제1연평해전 (1999)
2000년대 남북정상회담 (2000) · 조미 코뮤니케 (2000) · 제2연평해전 (2002) · 새로운 경제관리개선조치 (2002) · 북일정상회담 (2002~2004) · 개성공업지구 설치 (2003) · 6자회담 (2003~2009) · 룡천역 열차 폭발사고 (2004) · 제1차 핵실험 (2006) · 남북정상회담 (2007) · 제2차 핵실험 (2009) · 화폐개혁 (2009)
2010년대 천안함 피격 사건 (2010) · 연평도 포격전 (2010) · 김정일 사망 (2011)
김정은
시대
2010년대 제3차 핵실험 (2013) · 장성택 처형 사건 (2013) · 5.30 조치 (2014) · 제4차 핵실험 (2016) ·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2016) · 제5차 핵실험 (2016) · 김정남 피살 사건 (2017) · 제6차 핵실험 (2017) · 김성일 사건 (2017) · 남북정상회담 (평양공동선언) (2018) · 북미정상회담 (2018, 2019)
2020년대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사건 (2020) · 조선로동당 제8차대회 (2021) · 반체제 정당 조직 적발 사건 (2021) · 코로나 대유행 (2022) · 적대적 두 국가론 (2023) · 연평도 해역 포격 사건 (2024) · 지린성 북한 노동자 폭동 사건 (2024) · 반체제 세력 출현 사건 (2024) · 오물 풍선 살포 사건 (2024)2024년 북러정상회담 (2024)북한 외교관 연쇄 탈북 사건 (2024)주러시아 북한 관전무관 폭사 사건 (2024)평양 무인기 대북전단 살포 사건 (2024)북한의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철도 폭파 사건 (2024)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2024)
역사왜곡*
항일무장투쟁 타도제국주의동맹 (1926) · 카륜회의 (1930) · 명월구회의 (1931) · 조선인민혁명군 (1932) · 민생단 사건 (1932~1936) · 남호두회의 (1936) · 미혼진회의 (1936) · 동강회의 (1936) · 조국광복회 (1936)
6.25 전쟁 전쟁 발발 책임 · 승패 인식
백두혈통
우상화
김응우 (제너럴 셔먼호 사건) · 김형직 · 강반석 · 김정숙 · 김정일 출생지 왜곡
관련 서적 미제와 일제의 조선침략죄행 · 백두혈통 우상화 교과서 · 세기와 더불어 · 조선력사
* 괄호 안의 연도는 북한의 주장에 근거한 연도이며, 실제 역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단체 및 사건이거나 실제와는 다른 연도일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