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21:06:37

임순여객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colbgcolor=#024694> 전주시 · · · · 익산시 · ·
완주군 군산시 ·
무주군 김제시
진안군 부안군 · ·
장수군 정읍시
임실군 고창군
순창군 남원시
}}}}}}}}} ||
파일:임순여객_5023.png 파일:순창176.jpg
1. 개요2. 역사3. 노선4. 특징5. 면허 체계6. 현재 보유 차량7. 사건사고8. 둘러보기

1. 개요

실군, 창군 지역을 연고로 운행하는 버스 회사. 인근에 있는 무진장여객과 마찬가지로 운행하는 지역의 앞 글자를 따서 임순여객이다.[1] 차고지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호국로 1886(舊 갈마리 240)에 있다.

2. 역사

3. 노선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ff8000><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임실군 CI_White.svg

파일:순창군 CI_White.svg
임실군·순창군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파일:임실군 CI_White.svg 임실군
200번대 임실읍 강진면
관촌면 덕치면 삼계면
성수면 신덕면 신평면
오수면 운암면
지사면 청웅면
파일:순창군 CI_White.svg 순창군
순창읍 구림면 금과면
동계면 복흥면 쌍치면
유등면 인계면 적성면
팔덕면 풍산면
}}}}}}}}} ||

문서가 존재하는 노선은 다음과 같다.

4. 특징




원래 전주행 차량에만 LED 전광판을 썼지만, 2023년 5월부터 전 차량에 LED 전광판 설치 및 노선 번호제를 도입하였다. (BIS나 카카오버스에는 적용안됨)

5. 면허 체계

6. 현재 보유 차량

6.1. 현대자동차

6.2. 자일대우버스

7.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8. 둘러보기

파일:임실군 CI.svg 임실군 교통체계
<colbgcolor=#00966D> 철도 전라선 임실역, 오수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27.svg순천완주고속도로(오수IC, 임실IC)
국도 13번 국도, 17번 국도, 27번 국도, 30번 국도
지방도 49번 지방도, 721번 지방도, 745번 지방도, 749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임실군 농어촌버스, 임실공용터미널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파일:순창군 CI.svg 순창군 교통체계
<colbgcolor=#C11A20> 철도 달빛철도(계획중) 순창역
도로 고속도로 파일:Expressway_kor_12.svg광주대구고속도로(순창IC)
국도 13번 국도, 15번 국도, 21번 국도, 24번 국도, 27번 국도, 29번 국도
지방도 49번 지방도, 55번 지방도, 717번 지방도, 729번 지방도, 792번 지방도, 897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순창군 농어촌버스, 순창공용버스정류장
전북특별자치도의 교통

파일:노란바탕휠체어빗금.svg
저상버스 미보유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철원군
충청남도 금산군, 청양군, 태안군
충청북도 괴산군, 단양군, 증평군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전라남도 강진군, 구례군, 담양군, 신안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경상북도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칠곡군
경상남도 고성군, 의령군
}}}}}}}}} ||


[1] 정식 명칭은 임순여객자동차 주식회사이다.[2] 반드시 교통카드 사용해야하며 기사에게 교통카드 사용의사 표명후 기사의 지시에 따라 카드 테그[3] 이 노선도 현재는 대구권 광역환승제 시행으로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4] 글로벌900은 페이스리프트 이후를 포함하여 2018년 중반기를 끝으로 전멸되었다.[5] 2019년 현재 몇몇 차량들을 제외하면 거의 모든 노선에 안내방송이 나오고 있다.[6] 완산구 평화동, 전동, 남노송동, 동서학동, 대성동[7] 대강면 (남원시내버스 2-231, 2-232번과 연계되며, 2-231, 2-232번 노선은 중간에 순창군 유등면에 위치하고 있는 유촌마을과 책암마을을 경유한다.)[8] 내장산, 상동, 정읍터미널[9] 백운면[10] 산서면[11] 상관면, 구이면[12] 용면 (과거에는 담양읍도 들어왔었다.)[13] 화재 원인은 차량 배선문제. 즉, 차량 결함으로 보인다.[14] 6대 모두 출고 취소된 차량을 재도색한 것으로 보인다. 차량 결함으로 전소된 버스 대부분이 현대버스였으며, 이 사고 이후로 한동안 대우버스만 출고했다. 최근에는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공장 이전으로 인한 울산공장 폐쇄, 커민스 엔진 문제로 인한 조기대차로 인해 현대차를 다시 구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