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4998>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고성군내 | |||||||||||
000번대 고성읍, 통영도산면 | 100번대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 |||||||||||
200번대 상리면 | 300번대 대가면 | |||||||||||
500번대 영오면, 영현면, 개천면 | 600번대 구만면 | |||||||||||
700번대 회화면, 마암면 | 900번대 거류면, 동해면, 통영광도면 | |||||||||||
삼천포 - 고성 | 삼천포 - 임포(가룡) | |||||||||||
순환버스 | ||||||||||||
고성읍 순환버스(1번/2번) | ||||||||||||
삼천포 - 고성, 임포노선은 시외버스 → 농어촌버스 전환노선이다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창원시 | 김해시 | 양산시 | 진주시 |
사천시 | 거제시 | 통영시 | 밀양시 | |
거창군 | 함안군 | 창녕군 | 고성군 | |
하동군 | 합천군 | 남해군 | 함양군 | |
산청군 | 의령군 |
1. 개요
고성군(경남) 농어촌버스 Goseong County Bus | ||
<colbgcolor=#004998><colcolor=#fff> 노선 수 | 30개 | |
업체 수 | 2개 | |
차량 수 | 총량 | 23대 |
운행시간 | 06:10 - 22:15 | |
운임제도 | 단일요금제 | |
운영제도 | 민영제 | |
홈페이지 |
2. 특징
- 읍면마다 지정되는 권역번호가 있으며 이 번호들을 조합해 번호를 만든다.
| |||||
번호 | 지역 | ||||
0 | 고성읍내, 통영도산면 | ||||
1 | 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 ||||
2 | 상리면 | ||||
3 | 대가면 | ||||
5 | 영오면, 영현면, 개천면, 진주금곡면 | ||||
6 | 구만면 | ||||
7 | 회화면, 마암면 | ||||
8 | 동해면 | ||||
9 | 거류면, 통영광도면 |
* 예시 657번 6=구만, 5=개천, 진주금곡, 7=마암, 회화, 구만을 경유해 금곡을 운행 후 회화로 돌아오는 노선
- 06:10분 고성발 989번 노선이 출발하면 농어촌버스 운행이 시작되며 22:00분 당동발 989번 노선이 고성에 도착하면 농어촌버스 운행이 종료된다.
- 하일면, 하이면, 거류면의 경우 타지역 시내버스가 많이 운행한다[3]
- 경상남도 시내, 농어촌버스에서 유일하게 저상버스 도입 계획이 없는 지역이다.
- 모든 차량이 전문형 차량이다. [4]
- 방송이 송출되지 않는다.
3. 요금
구분 | 일반 | 청소년 | 어린이 | |
농어촌버스 순환버스 | 교통카드 | 1000원 | 800원 | 550원 |
현금 | 1200원 | 850원 | 600원 | |
농어촌버스 시외지역 | 군내요금 |
4. 노선목록
4.1. 순환버스
4.1.1. 고성읍 순환버스 1번
4.1.2. 고성읍 순환버스 2번
4.2. 000번대(통영도산면, 고성읍)
4.2.1. 000번
| ||
통영시 시내버스 | ||
665 | 667 | 678 |
965 | 978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000 | 999 | 999-1 (황리산업도로 경유) |
999-1번은 황리산업도로노선만 통영시를 경유한다 |
|
원산행노선 |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도선리(원산) 경상남도 통영시 도산면 법송리(도산농협) | ||
종점행 | 첫차 | 07:10 | 기점행 | 첫차 | 06:50 |
막차 | 19:00 | 막차 | 19:20 | ||
배차간격 | 1일 8회(100~26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주공 - 매수 - 홍류[5] - 거운마을 - 평촌마을 - 도원초등학교 - 원동마을 - (노전마을 - 도산종점 - 도산농협) |
중간 출발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고성읍) 방향 | 원산마을 |
중간 종료정류장 | |
도산농협(통영도산면) 방향 | 원산마을 |
- 일부시간대에 원산에서 종착한다.
- 2023년 2월 1일 고성군 농어촌버스에 권역번호제가 도입되면서 000번이 되었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000번 시간표 | |||||
고성발 | 종점 | 경유지 | 도산발 | 경유지 | |
06:50 | 도산 | 07:10 | 홍류 | ||
09:00 | 도산 | 월평 | 09:20 | 홍류 | |
10:30 | 원산 | (회차) | |||
12:05 | 도산 | 12:30 | |||
14:05 | 도산 | 14:35 | |||
16:05 | 원산 | (회차) | |||
17:30 | 원산 | (회차) | |||
19:00 | 원산 | (회차) |
4.2.2. 000-1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이당리(이곡) | ||
종점행 | 첫차 | 08:00 | 기점행 | 첫차 | |
막차 | 15:20 | 막차 | |||
배차간격 | 1일 3회(200분 ~ 26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독실 → 땅골 → 면전 → 황불암 → 이곡 → 황불암 → 면전 → 교사 → 사동 → 경남항공고등학교 → 탑마트 → 학우사 → 간이대합실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 고성읍 지역의 대중교통이 잘 닿지읺는 마을들을 위해 운행한다
- 2023년 2월 1일 고성군 농어촌버스에 권역번호제가 도입되면서 000-1번이 되었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000-1번 시간표 | |||
고성터미널 → 이당 → 고성터미널 | |||
고성발 | 비고(경유지) | ||
08:00 | (읍×)(반대로순환) | ||
11:30 | |||
15:20 |
4.3. 100번대(삼산면, 하일면, 하이면)
4.3.1. 111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수양리(수양)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수양리(절골마을) | ||
종점행 | 첫차 | 06:25(부포) (일요일: 07:50) | 기점행 | 첫차 | 06:45 (일요일: 08:30) |
막차 | 13:35 | 막차 | 14:15 | ||
배차간격 | 1일 4회(80분 ~ 19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수남사거리 - 코아루아파트 - 판곡 - 갈망게 - 병산 - 장지 - 대밭골 - 삼산면 - 미동 - 상촌 - (해명마을 - 장백) - 중촌 - 달막 - 수양 - (절골마을)[첫차(06:25발)] |
중간 출발정류장 | |
절골마을 방향 | 수양(용태) |
중간 종료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방향 | 수양(용태) |
- 첫차는 부포를 통해서 수양으로 간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111번 수양행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부포 | 장백 | 절골마을 | ||
06:25 [일,공휴일] | 경유 | |||||
07:50 (절골종착) | 경유 | 경유 (종점) | ||||
10:30 | 경유 | 경유 | ||||
13:35 | 경유 | 경유 |
고성군 농어촌버스 111번 고성행 시간표 | ||||||
수양발 | 절골마을 | 부포 | 장백 | 고성읍 | ||
06:45 [일,공휴일] | 경유 | 경유 | ||||
08:30 (절골출발) | 경유 (기점) | 경유 | 경유 | |||
11:15 | 경유 | |||||
14:15 | 경유 |
4.3.2. 111-1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삼산면 두포리(포교마을) | ||
종점행 | 첫차 | 06:45 | 기점행 | 첫차 | 07:15 |
막차 | 19:30 (일요일 17:5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5회(100분 ~ 24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수남사거리 - 코아루아파트 - 판곡 - 갈망게 - 병산 - 장지 - (군령포) - 대밭골 - 삼산면 → 대포 → 덧개 → 포교마을 → 두모 → 이후 삼산면부터 역순[반대로] |
고성군 농어촌버스 111-1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경유지 | 포교 (회귀점) | 경유지 | ||
06:45 | 07:15 | 군령포 | ||||
09:10 | 경유 | 09:50 | 군령포 | |||
12:10 | 경유 | 군령포 | 12:50 | |||
15:10 | 경유 | 군령포 | 15:50 | |||
17:50 | 경유 | 18:20 | ||||
19:30 [일,공휴일] | 경유 | (회차) |
4.3.3. 111-2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회차지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하이) | ||
종점행 | 첫차 | 17:00 | 기점행 | 첫차 | 18:00 |
막차 | 17:00 | 막차 | 18:00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자은 - 이화공원 - 달막 - 중촌 - 수양 - 용태 - 삼태 - 가룡 - 임포 - 학동 - 음악고(하일면) - 송천1구 - 회룡 - 지포마을 - 평촌 - 대구막 - 동화마을 - 신기 - 춘암 - 용암포 - 맥전포 - 상족암군립공원 - 고성공룡박물관 - 덕명 - 정곡 - 두수 - 하이 |
- 100번대 중에서 유일하게 하이면으로 가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111-2번 시간표 | |||||
고성발 | 경유지 | 하이발 | 경유지 | ||
17:00 | 18:00 |
4.3.4. 음악고(금요일만 운행)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학림리(고성음악고등학교) | ||
종점행 | 첫차 | 12:30 | 기점행 | 첫차 | |
막차 | 12:30 | 막차 | |||
배차간격 | 금요일 1회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고성음악고등학교 |
- 금요일에 1번만 운행하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터미널 - 음악고 시간표 |
고성발 |
금요일 12:30 (13:00 ~ 13:10 사이 음악고출발) |
4.4. 200번대(상리면)
4.4.1. 212번
| ||
사천시 시내버스 | ||
132-1 | 190-1 | |
191-1 | 192-1 | |
193-1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삼천포 - 고성 | 삼천포 - 임포 | |
212 | 222 (객방경유) | |
삼천포 - 고성, 임포노선은 시외버스 → 농어촌버스 전환노선이다 |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덕호리(하이면) | ||
종점행 | 첫차 | 08:00 | 기점행 | 첫차 | 09:05 |
막차 | 15:30 | 막차 | 16:35 | ||
배차간격 | 1일 4회(25분 ~ 24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구미 - 선동 - 무선(망림) - 가동 - 중촌 - 척정 - 상리면 - 동산 - 외원 - 대산마을 - 사촌 - 계양 - 진분계 - 홀곡 - 봉현삼거리 - 봉현 - 신촌 - 하이면[하일경유] |
- 111-2번과 함께 유일하게 하이면으로 가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212번 하이행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상리 | 고봉 | 절골 | 하일 | |
08:00 | 경유 | 경유 | ||||
08:45 | 경유 | 경유 | ||||
12:20 | 경유 | 경유 | 경유 | |||
15:30 | 경유 | 경유 | 경유 |
고성군 농어촌버스 212번 고성행 시간표 | ||||||
하이발 | 상리 | 고봉 | 절골 | 하일 | ||
09:05 | 경유 | |||||
09:30 | 경유 | |||||
13:30 | 경유 | |||||
16:35 | 경유 |
4.4.2. 222번
| ||
사천시 시내버스 | ||
132-1 | 190-1 | |
191-1 | 192-1 | |
193-1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삼천포 - 고성 | 삼천포 - 임포 | |
212 | 222 (객방경유) | |
삼천포 - 고성, 임포노선은 시외버스 → 농어촌버스 전환노선이다 |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상리면 고봉리(고봉) | ||
종점행 | 첫차 | 07:30 | 기점행 | 첫차 | (회차) |
막차 | 20:05 (평일 18:0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5회(70분 ~ 42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고성예비군훈련장) - 부포 - 구미 - 선동 - 무선(망림) - 가동 - 중촌 - 척정 - 상리면 - 오산 - 터골 - 비곡 - 객방마을회관 - 신촌 - 고봉 - 봉곡 |
- 막차는 상리에서 회차한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222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예비군 훈련장 | 고봉 (회귀점) | 상리발 (고성방향) | ||
07:30 | 경유 | 경유 | (회차) | 08:20 | ||
09:50 | 경유 | (회차) | 10:40 | |||
11:00 | 경유 | (회차) | 12:00 | |||
18:00 | 경유 | (회차) | 운행 | |||
20:05 [일,공휴일] | 경유 | 상리회차 |
4.4.3. 225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회차지 |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봉발리(봉발) | ||
종점행 | 첫차 | 08:15 | 기점행 | 첫차 | 08:40 |
막차 | 16:20 | 막차 | 16:50 | ||
배차간격 | 1일 4회(105분 ~ 18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내부포 → 국개 → 점터 → 추계리 → 봉발 → 금능 → 망림 → 구미 → 이후 부포부터 역순[반대로] - (가동 - 상리) |
고성군 농어촌버스 225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봉발 (회귀점) | 상리 | 예비군 훈련장 | ||
08:15 | 경유 | 08:40 | ||||
10:30 | 경유 | 11:00 | ||||
13:30 | 경유 | 14:20 | ||||
16:20 | 경유 | 16:50 | 경유 | 경유 |
4.4.4. 233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회차지 |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갈천리(종생) | ||
종점행 | 첫차 | 07:05 | 기점행 | 첫차 | 07:30 |
막차 | 07:05 | 막차 | 07:30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내부포 → 국개 → 점터 → 종생 → 봉산 → 내갈천 → 외갈 → 송계 → 송계초등학교 → 장전 → 괴정 → 장밭고개 → 척곡 → 화암 → 고성시니어스 → 삼계 → 대가면 → 암전마을 → 신흥 → 연꽃공원 → 유동 → 선동 → 대평 → 철성중학교 → 영생타워 → 학우사 → 간이대합실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 아침시간에 유일하게 종생으로 가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233번 시간표 |
고성발 |
07:05(종생: 07:30) |
4.5. 300번대(대가면)
4.5.1. 333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금산리(월촌) | ||
종점행 | 첫차 | 06:30 (일요일: 09:00) | 기점행 | 첫차 | (회차) |
막차 | 17:3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4회(150분 ~ 24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영생타워 - 철성중학교 - 대평 - 선동 - 유동 - 연꽃공원 - 신흥 - 대가면 - 삼계 - 고성시니어스 - (화암 - 척곡 - 관동 - 가동) - 신화 - 세동 - 월촌 |
고성군 농어촌버스 333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경유지 | 월촌 (회귀점) | 경유지 | ||
06:30 [일,공휴일] | 관동 | (회차) | ||||
09:00 | 경유 | (회차) | 관동 | |||
13:30 | 경유 | (회차) | 관동 | |||
17:30 | 경유 | (회차) | 관동 |
4.5.2. 333-1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양화리(양화마을) | ||
종점행 | 첫차 | 06:55 (일요일: 09:45) | 기점행 | 첫차 | (회차) |
막차 | 18:2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5회(100분 ~ 20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내무량 ← 무량)( 영생타워 →철성중학교 → 대평 → 덕선)[반대로] - 평동 - 지동 - 양화마을 |
- 고성읍 인근을 운행하는 짧은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333-1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경유지 | 양화리 (회귀점) | 경유지 | ||
06:55 [일,공휴일] | 덕선 | (회차) | 무량 | |||
09:45 | 경유 | 덕선 | (회차) | 무량 | ||
12:55 | 경유 | 무량 | (회차) | 덕선 | ||
16:30 | 경유 | 무량 | (회차) | 덕선 | ||
18:20 | 경유 | 덕선 | (회차) | 무량 |
4.5.3. 333-2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대가면 갈천리(종생) | ||
종점행 | 첫차 | 11:40 | 기점행 | 첫차 | 12:20 |
막차 | 15:30 | 막차 | 16:10 | ||
배차간격 | 1일 2회(220분 ~ 24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영생타워 - 철성중학교 - 대평 - 선동 - 유동 - 연꽃공원 - 신흥 - 대가면 - 삼계 - 고성시니어스 - 화암 - 척곡 - 장밭고개 - (괴정 - 장전) - 송계초등학교 - 송계 - 외갈 - 내갈천 - 봉산 - 종생 |
- 고성군에서 오지로 손꼽히는 종생, 봉산으로 가는 노선이다. 아침시간대에는 순환으로 운행하는 233번을 이용해야 종생으로 갈 수 있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333-2번 시간표 | |||
고성터미널 → 종생 | 종생 → 고성터미널 | ||
1 | 11:40(장전) | 1 | 12:20 |
2 | 15:30 | 2 | 16:10 |
4.6. 500번대(영오면, 영현면, 개천면, 진주금곡)
4.6.1. 553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금곡종점) 경상남도 고성군 영현면 대법리(대촌삼거리) | ||
종점행 | 첫차 | 06:20 | 기점행 | 첫차 | 06:55 |
막차 | 16:30 | 막차 | 18:20 | ||
배차간격 | 1일 8.5회(20분 ~ 23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읍내미경유 - 철성중학교 - 대평 - 선동 - 유동 - 연꽃공원 - 신흥 - 대가면 - 삼계 - 고성시니어스 - 화암 - 척곡 - 장밭고개 - (장전) - 송계초등학교 - 송계 - 외갈천 - 신전 - 법촌 - 대촌 - 대촌삼거리 - (영부) - 영현면 - 침점1구 - 침점2구 - 매촌 - 신촌 - 연화1구 - 금곡종점(오서)[대촌삼거리종착][고봉경유] |
중간 출발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방향 | 대촌삼거리 |
중간 종료정류장 | |
금곡종점(오서) 방향 | 대촌삼거리 |
- 금곡으로 가는 노선중 제일 많이 운행한다.
- 1일 1회 대촌삼거리에서 종착하며 1일 1회는 고봉을 경유한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553번 금곡행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봉발 | 장전 | 영부 | ||
06:20 [일,공휴일] | 경유 | |||||
06:40 [일,공휴일] | 경유 | 대촌삼거리 종착 | ||||
07:40 | 경유 | 경유 | ||||
09:30 | 경유 | |||||
11:00 | 경유 | 경유 | ||||
12:30 | 경유 | |||||
14:30 | 경유 | 경유 | ||||
16:30 | 경유 | 경유 |
고성군 농어촌버스 553번 고성행 시간표 | ||||||
금곡발 | 영부 | 고봉 | 장전 | |||
06:55 [일,공휴일] | 경유 | 경유 | ||||
[일,공휴일] | 송계발 07:10 | |||||
08:35 | 경유 | |||||
09:30 | 경유 | |||||
10:10 | 경유 | |||||
11:45 | 경유 | |||||
15:30 | ||||||
17:30 | ||||||
18:20 |
4.6.2. 555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금곡종점) | ||
종점행 | 첫차 | 19:00 | 기점행 | 첫차 | 19:35 |
막차 | 19:00 | 막차 | 19:35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읍내미경유 - 철성중학교 - 대평 - 선동 - 유동 - 연꽃공원 - 신흥 - 대가면 - 삼계 - 고성시니어스 - 화암 - 척곡 - 장밭고개 - 송계초등학교 - 송계 - 외갈천 - 신전 - 법촌 - 대촌 - 대촌삼거리 - 영부 - 영현면 - 침점1구 - 침점2구 - 매촌 - 신촌 - 연화1구 - 금곡종점(오서) |
고성군 농어촌버스 555번 시간표 | |||||
고성발 | 경유지 | 금곡발 | 경유지 | ||
19:00 | 19:35 |
4.6.3. 557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금곡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00 (일요일: 미운행) | 기점행 | 첫차 | 06:35 |
막차 | 막차 | 17:15 | |||
배차간격 | 금곡행 1회, 고성행 5회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고성 → 금곡행 노선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철성중학교 → 대평 → 선동 → 유동 → 연꽃공원 → 신흥 → 대가면 → 삼계 → 고성시니어스 → 화암 → 척곡 → 장밭고개 → 송계초등학교 → 송계 → 외갈천 → 신전 → 법촌 → 대촌 → 대촌삼거리 → 영부 → 영현면 → 침점1구 → 침점2구 → 매촌 → 신촌 → 연화1구 → 금곡종점(오서) | |||||
금곡 → 고성행 노선 | |||||
금곡종점(오서) → 옥동 → (신흥) → 영대 → 생곡 → 금산 → [개천] → 낙안(영오면) → 본양 → 수동 → 양지 → 양월마을 → 매월 → 가천 → (나선) → 청동 → 새들녘 → 당산 → 화촌 → 낙동(구만면) → 광암 → 중암 → 덕암 → 녹명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원진 → 동정 → 큰외골 → 부곡 → 두호 |
고성군 농어촌버스 557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금곡발 | 신흥 | 개천 | 나선 | |
06:00 [일,공휴일] | 06:35 | 경유 | ||||
10:30 | 경유 | 경유 (옥천사) | ||||
12:25 | 경유 (옥천사) | |||||
16:20 | 경유 | |||||
17:15 | 경유 |
4.7. 600번대(구만면)
4.7.1. 657번, 777번(고성발 08:30)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금곡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50 (일요일: 10:25) | 기점행 | 첫차 | 07:55 (일요일: 18:30) |
막차 | 19:00 | 막차 | 19:30 | ||
배차간격 | 1일 7회(60분 ~ 14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촌 - 외우산 - 평계 - 상촌 - 곤기 - 부곡 - 큰외골 - 평부마을 - 동정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산북일주][남진] - 녹명 - 덕암 - 중암 - 낙동(구만면) - 화촌 - 당산 - 새들녘 - 청동 - (나선) - 가천 - 매월 - 양월마을 - 양지 - 수동 - 본양 - 낙안(영오면) - [개천] - 금산 - 생곡 - 영대 - (신흥) - 오동 - 금곡종점(오서)[28] |
중간 종료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방향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 고성으로 회귀할때 다른노선으로 회귀하는 경우가 많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657번 금곡행 시간표 | ||||||
고성발 | 산북 | 남진 | 나선 | 개천 | 신흥 | |
06:50 [일,공휴일] | 경유 | |||||
08:30 (777번) | 경유 | 경유 (옥천사) | 경유 | |||
10:25 | 경유 | 경유 (옥천사) | 경유 | |||
13:35 | 경유 (옥천사) | |||||
15:50 | 경유 (옥천사) | 경유 | ||||
16:50 | 경유 | 경유 (옥천사) | ||||
19:00 |
고성군 농어촌버스 657번 고성행 시간표 | ||||||
금곡발 | 비고(경유지) | |||||
07:55 [일,공휴일] | 배둔종착 (767번으로 변경해서 운행) | |||||
(777번) | 553번으로 변경해서 회귀 (금곡발 10:10) | |||||
553번으로 변경해서 회귀 (금곡발 11:45) | ||||||
756번으로 변경해서 회귀 (금곡발 14:50) | ||||||
557번으로 변경해서 회귀 (금곡발 17:15) | ||||||
18:30 | 개천(옥천사입구) | |||||
19:30 |
4.8. 700번대
4.8.1. 753번, 756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영오면 오서리(금곡종점) | ||
종점행 | 첫차 | 06:30 (일요일: 07:45) | 기점행 | 첫차 | 07:00 (일요일 09:00) |
막차 | 20:0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6회(30분 ~ 37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고성 - 배둔 - 개천 - 금곡행 노선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촌 - 외우산 - 평계 - 상촌 - 곤기 - 부곡 - 큰외골 - 평부마을 - 동정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원진 - 법진 - 항정 - 화산 - 초선 - 마암면 - 용전 - 장산 - 독골 - 성전 - (성전마을) - 석마 - 신리 - (월곡마을) - 신평 - (좌이마을 - 봉치마을 - 용안마을) - 하명 - 개천면 - 개천면주민복지센터 - (구례마을) - 덕성 - 범계 - 낙안(영오면) - 금산 - 생곡 - 영대 - (신흥) - 오동 - 금곡종점(오서) | |||||
고성 - 대가 - 영현 - 고성행 노선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읍내미경유 - 철성중학교 - 대평 - 선동 - 유동 - 연꽃공원 - 신흥 - 대가면 - 삼계 - 고성시니어스 - 화암 - 척곡 - 장밭고개 - 송계초등학교 - 송계 - 외갈천 - 신전 - 법촌 - 대촌 - 대촌삼거리 - 영부 - (영부마을) - 영현면 - 침점1구 - 침점2구 - 매촌 - 신촌 - 연화1구 - 금곡종점(오서) |
- 시간대별 운행시간이 상이하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753번, 756번 금곡행시간표 | |||||
고성발 | 마암 | 대가 | |||
성전 | 월곡 | 봉치 | 구례 | ||
06:30 [일,공휴일] (읍X) | 경유 | ||||
07:45 | 경유 | ||||
12:30 | 경유 | 경유 | |||
15:00 (756번) | 경유 | 경유 | 경유 | 경유 | |
17:20 | 마암경유 | ||||
20:00 | 마암경유 |
고성군 농어촌버스 753번, 756번 고성행시간표 | |||||
금곡발 | 마암 (신흥, 구례, 봉치, 월곡, 성전) | 대가 (영부) | |||
07:00 [일,공휴일] | 경유(구례) | ||||
09:00 | 경유(봉치, 월곡) | ||||
13:25 (756번) | 경유(구례, 봉치) | ||||
13:55 | 경유(영부) | ||||
14:50 (756번) | 경유(봉치, 월곡, 성전) | ||||
(회차) (고성발 20:00차량) | 경유 |
4.8.2. 767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구만면 효락리(낙동) | ||
종점행 | 첫차 | 08:40 | 기점행 | 첫차 | (회차) |
막차 | 14:3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3회(170분 ~ 19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촌 - 외우산 - 평계 - 상촌 - 곤기 - 부곡 - 큰외골 - 평부마을 - (전포) - 동정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녹명 - 덕암 - 중암 - (용당) - 낙동(구만면) → 효대 → 주평1리 → 주평2리 → 화촌 → 당산 → 연동 → 저동마을 → 와룡 → 이후 낙동부터 역순 |
중간 출발정류장 | |
낙동(구만) 방향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중간 종료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방향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 구만분지를 한바퀴 순환해서 배둔으로 가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767번시간표 | ||||||
고성발 | 배둔발 | 낙동 (회귀점) | 경유지 | |||
08:40 | (회차) | |||||
11:40 | 12:10 | (회차) | 전포 | |||
14:30 | 15:00 | (회차) | 구만일주후 배둔종착 (777번으로 변경해서 운행) |
4.8.3. 770번
| |
13:50발 운행차량 |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삼락리(간사지) | ||
종점행 | 첫차 | 07:15 | 기점행 | 첫차 | (회차) |
막차 | 16:3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4회(160분 ~ 215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촌 → 외우산(마을입구) → 평계(마을입구) → 상촌→ 곤기 → 부곡 → 큰외골 → 평부마을 → 간사지 → 낙정 → 곤기마을 → 두호 → 평계마을 → 외우산(마을입구) → 외우산 → 내우산 → 율촌 → 동외광장 → 간이대합실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반대로] |
- 고성읍 인근의 마을을 순환하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770번 시간표 | ||||||
고성발 | 비고(경유지) | |||||
07:15 | (읍x) | |||||
10:50 | ||||||
13:50 | 반대로 | |||||
16:30 | 반대로 |
4.8.4. 777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회화면 배둔리(배둔시외버스터미널)[34] | ||
종점행 | 첫차 | 06:45 | 기점행[35] | 첫차 | 08:05 |
막차 | 15:45 | 막차 | 16:05 | ||
배차간격 | 1일 7회(30분 ~ 28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촌 - 외우산 - 평계 - 상촌 - 곤기 - 부곡 - 큰외골 - 평부마을 - (전포) - 동정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산북일주][남진][성전(신리)] |
중간 출발정류장 | |
산북일주, 남진, 성전 방향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중간 종료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방향 | 배둔시외버스터미널 |
- 회화면과, 마암면을 들쑤시고 다니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777번 시간표 | |||||||
고성발 | 고성읍 | 산북 | 남진 | 성전 | |||
06:45 [일,공휴일] | 경유 | 경유 (치명) | |||||
{{{#!folding [ 06:45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고성(06:45) → 읍내미경유 → 배둔(06:55) → 산북일주 → 배둔(07:40) → 남진(치명경유) → 배둔(08:05) → 고성 |
08:00 | 경유 | 경유 | |||||
{{{#!folding [ 08:00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고성(08:00) → 전포 → 성전 → 신리(08:25) → 배둔(08:40) → 고성 |
08:30 | 경유 | 경유 | |||||
{{{#!folding [ 08:30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고성(08:30) → 배둔(08:50) → 남진 → 배둔 → 이후 금곡행노선 |
09:30 | 경유 | 경유 | |||||
{{{#!folding [ 09:30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고성(09:30) → 배둔(09:55) → 산북일주 → 배둔(10:40) → 고성 |
10:20 (전포경유) | 경유 | 경유 (치명) | 경유 | ||||
{{{#!folding [ 10:20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고성(10:20) → 배둔(10:40) → 성전 → 신리 → 배둔(11:15) → 남진(치명경유) → 배둔(11:40) → 명송 → 전포 → 고성 |
13:00 | 경유 | 경유 | 경유 | ||||
{{{#!folding [ 13:00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고성(13:00) → 배둔(13:25) → 남진 → 배둔(13:50) → 산북일주 → 배둔(14:30) → 고성 |
15:45 (배둔발) | 경유 | ||||||
{{{#!folding [ 15:45발 자세한노선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배둔(15:45) → 남진 → 배둔(16:05) → 고성 |
4.9. 900번대
4.9.1. 989번, 989-1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용정리(가룡) | ||
종점행 | 첫차 | 06:10 (일요일: 06:50) | 기점행 | 첫차 | 06:50 (일요일: 07:50) |
막차 | 20:35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15회(10분 ~ 10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대사거리 - 율대 - 용산 - 정촌 - 월치 - 마동 - 거류복지회관 - 용동 - 당동 - 거류초등학교 - 봉곡[40] → 동림 → 감동 → (내곡.남촌) → 북촌 → 용흥 → 군진 → 장기 → 동해면 → 금강중공업 → 검포 → (대천 → 좌부천 → 내신 → 전도 → 범바위골) → 덕곡 → 법동 → 매정 → 가룡 → 우두포 → (장좌마을 → 상촌 → 장좌마을) → 구학포 → 장항 → 봉암 → 입암[반대로][42] |
- 고성군 농어촌버스중 운행횟수가 제일많다
- 당동에서 665번, 667번, 965번과 연계된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989번, 989-1번 시간표 | |||||
989번은 당동 → 동해 → 가룡 → 당동순으로 989-1번은 반대로 운행 | |||||
번호 | 고성발 | 가룡발 | 비고(경유지) | ||
989 [일,공휴일] | 06:10 | 06:50 | 읍x, 한내경유 , 상촌 | ||
989-1 [일,공휴일] | 06:10 | 06:50 | 읍x, 좌부천 | ||
989 | 06:50 | 07:40 | 내곡 | ||
989-1 | 07:50 | 08:40 | 좌부천, 내곡 | ||
989 | 08:40 | 09:30 | 상촌 | ||
989-1 | 09:40 | 10:30 | |||
989 | 10:35 | 11:50 | 내곡, 좌부천 | ||
989-1 | 11:35 | 12:35 | 상촌 | ||
989 | 12:25 | 13:45 | 내곡, 좌부천 | ||
989-1 | 13:25 | 14:35 | 상촌 | ||
989 | 14:25 | 15:45 | 내곡, 좌부천 | ||
989-1 | 16:00 | 17:05 | |||
989 | 17:30 | 18:45 | 내곡 | ||
989-1 | 19:00 | (회차) | 한내회귀 | ||
989 | 20:35 | (회차) |
4.9.2. 989번(막차노선)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당동리(당동) | ||
종점행 | 첫차 | 21:30 | 기점행 | 첫차 | (회차) |
막차 | 21:30 | 막차 | (회차) | ||
배차간격 | 1일 1회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율대사거리 → 율대 → 용산 → 정촌 → 월치 → 마동 → 거류복지회관 → 용동 → 당동 → 거류초등학교 → 동림 → 감동 → 한내삼거리 → 용운마을 → 숭의 → 거산 → 덕촌 → 가려 → 송정 → (읍내미경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고성군 농어촌버스 989번 막차 시간표 |
고성발 |
21:30 |
4.9.3. 999번
| ||
통영시 시내버스 | ||
665 | 667 | 678 |
965 | 978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000 | 999 | 999-1 (황리산업도로 경유) |
999-1번은 황리산업도로노선만 통영시를 경유한다 |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통영시 광도면 안정리(예포마을) | ||
종점행 | 첫차 | 07:45 | 기점행 | 첫차 | 08:25 |
막차 | 17:45 | 막차 | 18:20 | ||
배차간격 | 1일 6회(60분 ~ 18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송정 - 가동 - 가려 - 덕촌 - 거산 - 숭의 - 용운마을 - 한내삼거리 - (외곡) - 봉림 - 거류초등학교 - 당동 - 용동마을 - 마동마을 - 송곡마을 - 춘원마을 - 무량촌 - 임외사거리 - 팔봉주유소 - 안황스포츠센터 - 안정마을 - 성우오스타A - 주영안정빌라 - 호암마을 - 예포마을 - 예포(범우개) |
- 당동 ~ 예포마을구간에서 665번, 667번, 965번과 연계된다
중간 출발정류장 |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방향 | 안정마을 |
중간 종료정류장 | |
예포마을 방향 | 안정마을 |
- 000번, 999-1번과 함께 통영시로 넘어가는 노선이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999번 시간표 | |||||
고성발 | 경유지 | 예포마을발 | 경유지 | ||
07:45 | 08:25 | ||||
09:50 | 10:30 | 외곡 | |||
12:45 | 13:30 | 외곡 | |||
13:45 | 14:30 | ||||
16:45 | 17:30 | ||||
17:45 | 안정마을 출, 도착(안정마을: 18:20) |
4.9.4. 989-2번, 999-1번
| ||
통영시 시내버스 | ||
665 | 667 | 678 |
965 | 978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000 | 999 | 999-1 (황리산업도로 경유) |
999-1번은 황리산업도로노선만 통영시를 경유한다 |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화당리(화당마을) | ||
종점행 | 첫차 | 06:35 (일요일: 08:45) | 기점행 | 첫차 | 07:00 (일요일: 09:35) |
막차 | 19:00 | 막차 | 19:35 | ||
배차간격 | 1일 4회(220분 ~ 240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송정리] - 송정 - 가동 - 가려 - 덕촌 - 거산 - 숭의 - 용운마을 - 한내삼거리 - (외곡) - 봉림 - 거류초등학교 - 당동 - 용동마을 - [황리산업도로] - 상원마을 - 하원마을 - 화당마을 |
- 황리산업도로운행시 통영시에 위치한 춘원마을과 무량촌을 경유한다
- 당동에서 665번, 667번, 965번과 연계된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989-2번, 999-1번 화당행 시간표 | ||||||
황리산업도로 경유노선은 당동(거류) 미경유 | ||||||
고성발 | 고성읍 | 산업도로 | 송정 | 외곡 | ||
06:35 [일,공휴일] | 경유 | 경유 | ||||
08:45 (989-2번) | 경유 | 경유 | ||||
11:45 | 경유 | 경유 | ||||
15:45 | 경유 | 경유 | 경유 | |||
19:00 | 경유 |
고성군 농어촌버스 989-2번, 999-1번 고성행 시간표 | ||||||
황리산업도로 경유노선은 당동(거류) 미경유 | ||||||
화당발 | 외곡 | 송정 | 산업도로 | 고성읍 | ||
07:00 [일,공휴일] | 경유 | |||||
09:35 (989-2번) | 경유 | 경유 | ||||
12:45 | 경유 | 경유 | ||||
16:35 | 경유 | 경유 | ||||
19:35 | 경유 | 경유 |
4.9.5. 999-2번
| |||||
기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송산리(송정마을) | ||
종점행 | 첫차 | 07:10 (일요일: 13:15) | 기점행 | 첫차 | 07:25 (일요일: 13:35) |
막차 | 18:05 | 막차 | 18:25 | ||
배차간격 | 1일 3회(235분 ~ 365분) | ||||
운수사명 | 고성버스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동외광장 → 송정 → 구현 → 도산촌 → 정촌 → 신은 → 용산 → 율대 → 율대사거리 → 동외광장 → 간이대합실→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반대로] |
고성군 농어촌버스 999-2번 시간표 | |||||
고성발 | 송정마을발 | 경유지 | |||
07:10 | 07:25 | 반대로 | |||
13:15 | 13:35 | ||||
18:05 | 18:25 |
4.10. 시외버스 → 농어촌버스 면허전환노선
4.10.1. 삼천포 - 고성
고성군 농어촌버스 삼천포 - 고성 | |||||
기점 |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동(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7:00 | 기점행 | 첫차 | 08:10 |
막차 | 17:15 | 막차 | 18:20 | ||
배차간격 | 1일 4회(160분 ~ 260분) | ||||
운수사명 | 거창고속 | 운행대수 | 1대 | ||
노선 |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수남삼거리 - 판곡 - 백산 - 장지 - 삼산면 - 미동 - 상촌 - 하촌 - 장지 - 수양 - 임포(농협앞) - 하일 - 오방 - 춘암 - 월흥 - 신흥 - 하이 -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
- 9288호가 정규차량으로 운행한다.
- 가끔 28석 서비스우등이 들어가기도 한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삼천포 - 고성 시간표, 요금표 | |||||
요금표 | |||||
지역 (삼천포기준)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춘암 | 1500원 | 1200원 | 750원 | ||
~오방 | 1600원 | 1300원 | 800원 | ||
~수양 | 2400원 | 1900원 | 1200원 | ||
~하촌 | 3100원 | 2500원 | 1600원 | ||
~삼산 | 3600원 | 2900원 | 1800원 | ||
~병산 | 4300원 | 3400원 | 2200원 | ||
~판곡 | 4700원 | 3800원 | 2400원 | ||
~고성 | 5300원 | 4200원 | 2700원 | ||
고성군내이용시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적용 | |||||
시간표 | |||||
삼천포발 | 경유지 | 고성발 | 경유지 | ||
07:00 | 08:10 | ||||
10:20 | 11:30 | ||||
13:00 | 14:10 | ||||
17:15 | 18:20 |
4.10.2. 삼천포 - 임포(가룡)
고성군 농어촌버스 삼천포 - 임포 | |||||
기점 | 경상남도 사천시 벌리동(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 종점 |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용태리(가룡) | ||
종점행 | 첫차 | 09:00 | 기점행 | 첫차 | (회귀) |
막차 | 18:00 | 막차 | (회귀) | ||
배차간격 | 1일 4회(150분 ~ 220분) | ||||
운수사명 | 거창고속 | 운행대수 | 1대 | ||
노선 | 가룡 - 임포 - 송천 - 동화마을 - 춘암 - 용암포 - 맥전포 - 입암 - 월흥 - 신흥 - 하이 - 삼천포시외버스터미널 |
- 9286호가 정규차량으로 운행한다.
- 대체노선으로는 192-1번을 이용할 수 있다.
고성군 농어촌버스 삼천포 - 임포 시간표, 요금표 | |||||
요금표 | |||||
지역 (삼천포기준)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
~입암 | 1500원 | 1200원 | 750원 | ||
~맥전포 | 1600원 | 1300원 | 800원 | ||
~용암포 | 1700원 | 1900원 | 850원 | ||
~춘암 | 1800원 | 1500원 | 900원 | ||
~동화마을 | 2000원 | 1600원 | 1000원 | ||
~송천 | 2600원 | 2100원 | 1300원 | ||
~임포 | 2800원 | 2200원 | 1400원 | ||
~가룡 | 3000원 | 2400원 | 1500원 | ||
고성군내이용시 농어촌버스 단일요금적용 | |||||
시간표 | |||||
삼천포발 | 경유지 | 임포(가룡)발 | 경유지 | ||
09:00 | (회귀점) | ||||
11:30 | (회귀점) | ||||
14:30 | (회귀점) | ||||
18:00 | (회귀점) |
5. 폐선된 노선
6. 타지역 버스와의 연계
- 사천시 시내버스
- 190-1, 191-1, 192-1, 193-1번이 삼천포와 하일면 하이면을 고성군 농어촌버스보다 더많은 횟수로 하일면과 하이면을 오가며 112번, 130번, 132-1번이 고성군계를 따라 운행한다 또한 거창고속에서 운행하는 삼천포 - 고성, 삼천포 - 임포노선이 각각 1일 4회로 운행한다. 그리고 222번이 아주약간 사천시 소재의 객방마을을 경유하며, 212번이 봉현 - 외곡구간에서 112번, 130번, 132-1번과 동일하게 사천시계를 따라 운행한다
- 통영시 시내버스
- 고성군 노선으로는 000번이 도산면(원산)을 일 8회 운행하며 999번 노선이 광도면 예포마을 까지 운행한다. 또한 999-1번 황리산업도로 경유노선이 아주잠깐 통영을 경유한다. 통영시 노선으로는 678(978)번 노선이 고성읍 월평마을까지 운행하며 665(965)번, 667번 노선이 거류면 당동까지 운행한다
- 진주시 시내버스
- 금곡종점에서만 환승이 가능하며 거기서 290번, 292번, 293번, 294번, 390번, 391번과 연계가 가능하다 굳이 도보를 이용하여 환승하려 해도 도보거리가 길고 진주쪽 노선 모두 금곡을 경유하기에 굳이 도보를 이용하지말고. 금곡에서 환승하자.
- 창원시 시내버스
- 두 지역은 서로 인접해있지만 시내(농어촌)버스로 연계가 불가하다. 환승을 한다면 777(산북일주)번 노선을 이용해 어신으로 간다음 850m 정도 도보해 시락정곡종점에서 77번, 77-1번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989-1(좌부천경유)번 노선을 이용해 내신에서 하차해 동진대교를 건너 동진대교 정류장에서 77번, 77-1번을 이용할수 있다.[50]하지만 이 노선들 모두 배차간격이 길어 연계가 어렵다.[51]
7. 연계철도역
지금은 없다.[52]8. 관련 틀
| ||
사천시 시내버스 | ||
132-1 | 190-1 | |
191-1 | 192-1 | |
193-1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삼천포 - 고성 | 삼천포 - 임포 | |
212 | 222 (객방경유) | |
삼천포 - 고성, 임포노선은 시외버스 → 농어촌버스 전환노선이다 |
| ||
통영시 시내버스 | ||
665 | 667 | 678 |
965 | 978 | |
고성군 농어촌버스 | ||
000 | 999 | 999-1 (황리산업도로 경유) |
999-1번은 황리산업도로노선만 통영시를 경유한다 |
저상버스 미보유 지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강원특별자치도 | 동해시, 고성군,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철원군 |
충청남도 | 금산군, 청양군, 태안군 | |
충청북도 | 괴산군, 단양군, 증평군 |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시, 고창군, 무주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 |
전라남도 | 강진군, 고흥군, 구례군, 담양군, 신안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 |
경상북도 | 고령군, 봉화군, 성주군, 영덕군, 영양군, 울릉군, 의성군, 청도군, 칠곡군 | |
경상남도 | 고성군, 의령군 |
[1] 주로 금곡행 노선[2] 이는 창녕군 농어촌버스, 함안군 농어촌버스, 의령군 농어촌버스도 마찬가지.[3] 하일면, 하이면의 경우 아예 고성군 농어촌버스보다 사천시 시내버스가 더 많은 횟수로 운행하며 아예 고성군 농어촌버스가 운행하지 않는 마을도 있다.[4] 이 때문에 내릴때 카드를 찍으면 기본요금이 또 빠져나가기 때문에 하차시 카드를 찍으면 절대 안된다.[5] 일부시간대는 월평 경유[첫차(06:25발)]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읍내미경유) → 기월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횡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자은 → 이화공원 → 달막 → 수양 순으로 운행후 삼산을 통해 회귀[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반대로] 밑줄 친 구간은 일부시간대 반대로 운행하기도 한다[일,공휴일] 미운행[하일경유] 부포까지 동일 - 자은 - 이화공원 - 달막 - 중촌 - 수양 - (절골마을) - 용태 - 삼태 - 가룡 - 임포 - 학동 - 음악고(하일면) - 송천1구 - 회룡 - 지포마을 - 평촌 - 대구막 - 동화마을 - 신기 - 춘암 - 용암포 - 맥전포 - 상족암군립공원 - 고성공룡박물관 - 덕명 - 정곡 - 두수 - 하이[일,공휴일] 미운행[반대로] 밑줄 친 구간은 일부시간대 반대로 운행하기도 한다[일,공휴일] 미운행[반대로] 밑줄 친 구간은 일부시간대 반대로 운행하기도 한다[일,공휴일] 미운행[대촌삼거리종착]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내부포 → 국개 → 점터 → 추계리 → 봉발 → 대촌삼거리 → 회차후 법촌부터 역순[고봉경유]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 간이대합실 - 학우사 - 탑마트 - 항공고 - 사동 - 교사 - 면전 - 황불암 - 우실 - 이곡 - 부포 - 구미 - 선동 - 무선(망림) - 가동 - 중촌 - 척정 - 상리면 - 오산 - 터골 - 비곡 - 객방마을회관 - 신촌 - 고봉 - 봉곡 - 영부 - 이후 영현면부터 금곡까지 동일[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개천] 영오 - 범계 - 덕성 - 구례 - 개천면주민복지센터 - 하명(개천면) - (옥천사입구)[일,공휴일] 미운행[산북일주] 배둔 → 자소 → 금봉촌 → 석전 → 산북 → 상촌 → 중촌 → 어선 → 동촌 → 당항포국민관광단지 → 당항포 → 배둔[남진] 배둔 - (치명) - 월계 - 남진[개천] 영오 - 범계 - 덕성 - 구례 - 개천면주민복지센터 - 하명(개천면) - (옥천사입구)[28] 고성으로 회귀할땐 553, 557, 756번등으로 회귀해서 돌아간다[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반대로] 밑줄 친 구간은 일부시간대 반대로 운행하기도 한다[34] 종점이 많고 종점을 특정할수 없는 노선이많아 최대한 구애받지 않는 경유지를 설정했다.[35] 마지막으로 배둔에 도착하는시간[산북일주] 배둔 → 자소 → 금봉촌 → 석전 → 산북 → 상촌 → 중촌 → 어선 → 동촌 → 당항포국민관광단지 → 당항포 → 배둔[남진] 배둔 - (치명) - 월계 - 남진[성전(신리)] 배둔 - 원진 - 법진 - 항정 - 화산 - 초선 - 마암면 - 용전 - 장산 - 감동 - 독골 - 성전 - 석마 - 신리(고성출발시 배둔을 경유하지않고 도전마을을 통해 성전으로 가는 경우도 있다)[일,공휴일] 미운행[40] 일부시간대는 한내로 회귀하기도 한다[반대로] 밑줄 친 구간은 일부시간대 반대로 운행하기도 한다[42] 989번은 내선순환이고 989-1번은 외선순환이다[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송정리] 율대사거리 - 율대 - 용산 - 신은 - 정촌 - 도산촌 - 구현 - 송정마을[황리산업도로] 율대사거리 - (공단로) - 율대 - 무량촌 - 춘원마을 - 마동마을[일,공휴일] 미운행[일,공휴일] 미운행[반대로] 밑줄 친 구간은 일부시간대 반대로 운행하기도 한다[50] 카카오맵 기준 어신 → 어선-원촌마을 정류장 하차 후 630m 도보하는 방법도 있지만 어쨌든 10분 이상 걸어야 된다는건 똑같다[51] 그냥 배둔시외버스터미널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하자.[52] 중부내륙선이 개통하게 되면 고성역이 고성여객자동차터미널 인근에 생길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