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2 06:55:00

합천군 농어촌버스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시내 · 농어촌버스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창원시 김해시 양산시 진주시
사천시 거제시 통영시 밀양시
거창군 함안군 창녕군 고성군
하동군 합천군 남해군 함양군
산청군 의령군
}}}}}}}}} ||
파일:거창40-2.2.jpg
파일:hp180-ls.png

1. 개요2. 요금3. 노선4. 면허체계
4.1. 합천시외버스터미널 출발4.2. 거창시외버스터미널 출발4.3. 봉산정류소 출발4.4. 초계 출발4.5. 가야 출발
5. 기타6.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7. 둘러보기

1. 개요

경상남도 합천군에서 운행하는 농어촌버스경전여객수려한합천버스[1]에서 운행한다.

2. 요금

종류 일반인 학생
현금 1,000원 500원
교통카드 900원 450원

군 경계 외에서 구간요금을 징수한다.[2][3] 그 노선들은 뒷문으로 타고 내릴 때 요금을 낸다.

선불교통카드는 수려한합천버스는 티머니만 사용 가능하며, 경전여객은 캐시비원패스, 레일플러스 등도 호환된다.

경상남도 최초로 거창군과 군 단위 간 광역환승할인을 2024년 7월 1일부터 시범 시행 중이다. 경남에서는 시 단위인 김해-양산, 김해-창원, 진주-사천, 거제-통영 및 시-군간인 창원-함안만 광역환승할인을 시행 중이다. 다만 거창군-합천군 노선으로 군계 월경후 다른 관내버스 노선을 탈 때에만 환승이 가능한 조건이 있다

3. 노선

파일:20220628_145922.jpg
시간표는 해당 링크에서 확인 가능하다. #

4. 면허체계

본 면허는 서흥여객 시절때 쓰던 면허를 서흥여객과 법인 분리 후에도 사용중인 면허이다.

4.1. 합천시외버스터미널 출발

4.2. 거창시외버스터미널 출발

4.3. 봉산정류소 출발

4.4. 초계 출발

4.5. 가야 출발

5. 기타

6. 타 지역 버스와의 연계

7. 둘러보기

군 단위 환승할인 가능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인천광역시 휘장.svg 인천광역시1 강화군내버스, 영흥면공영버스
파일:경기도 휘장.svg 경기도1 가평군, 양평군, 연천군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svg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영월군2, 인제군, 정선군, 철원군
평창군, 화천군, 홍천군, 횡성군
파일:충청남도 휘장.svg 충청남도 부여군, 서천군, 청양군, 예산군3, 홍성군3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svg 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4
파일:전라남도 휘장.svg 전라남도 담양군5, 무안군6, 보성군7, 장성군5, 함평군5, 화순군5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고령군8, 성주군8, 예천군9, 청도군8, 칠곡군8
파일:경상남도 휘장.svg 경상남도 함안군10, 거창군11, 합천군11
1: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 실시 지역
2: 원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단, 영월군 행복버스 광역 환승시에만 적용.
3: 예산-홍성 광역환승 실시 지역
4: 전주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5: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 도시철도와 광역환승시 한정
6: 목포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7: 순천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8: 대구권 광역환승제 실시 지역
9: 안동시와 광역환승 실시 지역
10: 창원-함안 광역환승할인 실시 지역
11: 거창군, 합천군 광역환승 실시 지역, 세부 조건 거창-합천 광역환승할인 문서 참고
}}}}}}}}} ||


[1] 군에서 관리 차원으로 서흥여객에 법인분리를 요청해 분리되었다.[2] 합천군-거창군 이동시 구간요금이 징수되며 이로 인해, 최근 주52시간 시행으로 인하여 시간표 구조조정으로 봉산에서 환승할 수 있도록 시간표를 조정 설계해둔것. 만약 합천에서 봉산까지 간 다음 봉산에서 거창가는 버스로 갈아탈 경우 합천에서 바로 타는거보다 요금이 더 절감되며 봉산에서 갈아탈 시 성인 기준 교통카드로 3,150원이 나온다.[3] 거창 - 봉산 2,250 + 봉산 - 합천 900 = 3,150원[4] 첫차 시간에 한해 '와리원촌마을'에서 내려 지릿재를 넘으면 합가리가 나오는데, 여기서 고령가는 버스와 환승이 가능하다.[5] 900번과 900-1번은 가야 → 매안(숭산) → 한밭 → 죽전 → 가천 → 매안(숭산) → 가야 순으로 오는 경로와 가야 → 매안(숭산) → 가천 → 죽전 → 한밭 → 매안(숭산) → 가야 순으로 가는 경로가 있으며, 장날에만 운행하는 900-5번은 청현으로 가고, 900-4, -6번은 매안(숭산)까지만 간다.[6] 900-2번은 야로를 거쳐서 묘산까지 가며, 900-3번은 야로까지만 간다.[7] 율원의경우 오전에만 연계가 가능하다[8] 그러나 율원 연계는 부산-서울간 시내버스 여행에서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