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00:26:41

인피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워크래프트3 프로게이머 Infi}}}에 대한 내용은 [[왕수웬]]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왕수웬#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왕수웬#|]]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인체삐꾸}}}에 대한 내용은 [[인삐]]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인삐#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인삐#|]]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보이그룹 인피니트}}}에 대한 내용은 [[인피니트(아이돌)]]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인피니트(아이돌)#|]]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아이템}}}에 대한 내용은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전설]]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전설#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전설#무한의 대검|무한의 대검]]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워크래프트3 프로게이머 Infi: }}}[[왕수웬]]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왕수웬#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왕수웬#|]]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인체삐꾸: }}}[[인삐]]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인삐#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인삐#|]]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보이그룹 인피니트: }}}[[인피니트(아이돌)]]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인피니트(아이돌)#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인피니트(아이돌)#|]]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리그 오브 레전드의 아이템: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전설]]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전설#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리그 오브 레전드/아이템/전설#무한의 대검|무한의 대검]]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상세3. 창작물4. 관련 문서

1. 개요



인간가죽. 돈피[1]와 강도가 비슷하다.

2. 상세

고대 스키타이인들은 사람 가죽을 벗겨서 망토, 깃발이나 장갑, 화살 거치대 등을 만들었다. 고대 그리스의 역사의 아버지 헤로도토스가 이 물건들을 직접 체험해 보고 느낌을 적은 게 남아 있는데, 이에 따르면 '희고 광택이 난다' 고.

유럽에서는 최소 15세기 이후로 인피로 장정을 한 이 만들어지곤 했는데, 그리 드물지 않았다. 해부학 관련 서적 같은 것을 인피로 가죽 장정을 하는 것이 유행한 적도 있었다고. 그래서 오래 된 고서를 보관하고 있는 도서관에서는 이따금 인피로 장정을 한 책이 발견되곤 한다. 예를 들어서 하버드 대학교에는 인피장정을 했다고 알려진 책이 3권 소장되어 있다고 전해지는데, 그 중 한 권의 책은 산 사람의 가죽을 벗겨서 만들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 이에 따르면,
이 책의 장정은 1632년 8월 4일 와부마족(현재 짐바브웨 지역에 살던 부족으로 추정)에 의해 산 채로 가죽이 벗겨진 내 친구 조나스 라이트의 유해이다. 나는 음베사 왕에게서 조나스가 생전에 중히 여기었던 이 책과 그의 가죽을 받아 책을 장정했다. Requiescat in pace."
... 그러나 이 책의 표지를 DNA 감정해본 결과, 실제로는 양의 가죽, 소 가죽 등의 성분과 콜라겐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내용에 등장한 음베사 왕이나 조나스 라이트에 관한 것으로는 알려진 것이 없는 것으로 밝혀져 단지 인피로 만든 책이라고 주장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야기가 아닌가 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1934년 하버드 대학교 도서관에 들어올 때부터 인피로 장정이 된 책이라고 해서 유명해진 '영혼의 운명에 대하여(Des Destinées de L’Ame)'이란 제목의 책(1879)은 2014년, 첨단 기술을 동원해 검증한 결과 99.9% 확률로 인피가 맞다는 결론이 났다. # "자세히 보면 모공을 볼 수 있다"는 쓸데없는 메모까지 붙어 있었던 이 책은 정신병원에서 숨진 신원 불상의 여성 시신으로 만들었다고 알려졌다. 소장품의 진위 문제가 윤리 문제로 옮겨붙으면서 2024년, 결국 하버드 대학교는 이 책의 장정에서 가죽을 제거하기에 이른다. #

서울대학교도서관 역시 인피 장정을 한 책인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중국 제국에서 행한 기념비적 임무'를 한 권 소장중이다. 구 경성제국대학에서 수집한 장서가 넘어왔다고 추측된다. 관련 기사, 관련 영상 (KBS 스펀지)

일부 고위 나치당원들은 유대인들의 피부를 사용한 책을 가지고 있었다. 21세기에도 골동품 시장 등에 이러한 것으로 추정되는 물건이 발견되기도 한다. 2020년 3월에 나온 기사 2024년에는 부헨발트 수용소 박물관이 소장 중인 인피 램프덮개가 극우단체의 항의로 조사를 시행한 결과 실제 인피로 제작된 것이 맞다는 것이 확인됐다. 해당 기사(독일어 기사)

에디 게인이라는 희대의 사이코패스는 사람 가죽으로 가면, 의자보, 전등갓 등을 만들었다.

3. 창작물

인육과 마찬가지로 고어, 그로테스크한 작품에 종종 등장한다. 인육이 "섭취"라면 이 쪽은 "가공"에 속하는지라, 지성이 높은 악역과도 연관이 깊다.

인간이라는 특성을 강조할 때 사용된다.

에디 게인의 기행을 모티브 삼아 여러 영상물이 만들어졌다. 대표적으로 텍사스 전기톱 학살레더페이스는 여자가 되고싶어 여자의 얼굴가죽을 벗겨 쓰고 다닌다. 이후 이 기믹은 미치광이 살인마들이 희생자의 얼굴가죽을 벗겨 쓰고 다니는 클리셰 설정으로 자리매김한다. 이런 클리셰를 채용한 사례로 진 여신전생 3 녹턴사카하기, 바이오하자드 시리즈리사 트레버, 네크론플레이드 원, 던전앤파이터베르나르도 등이 있다.

4. 관련 문서


[1] 돼지 가죽. 소가죽이나 양가죽에 비해 내구성은 약하지만, 부드럽고 모공이 커 모카신 형식의 가죽캐주얼화, 일부 어그부츠 형 방한화, 구두 등 고급 가죽 신발류의 안감으로 많이 이용된다. 방한용 장갑도 돈피를 많이 쓰며, 용접용 장갑도 돈피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