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09:28:11

인크레디박스/모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크레디박스
1. 개요2. 상세3. 특징4. 공식 수록5. 작품 목록6. 관련 유튜버

1. 개요

인디 음악 제작 게임인 인크레디박스모드를 설명하는 문서

2. 상세

외외로 힘들 것 같지만[1] 인크레디박스는 2020년대 들어 모드가 매우 활성화된 게임이기도 하다. 모드화 자체는 2010년대 후반기때 이미 시도되고는 있었으나 본격적으로 유명 모드들이 쏟아져 나온 것은 2020년 이후이다.

본격적으로 퀄리티 있는 모드들이 나오기 시작한 건 RB - SERIES과 Rem과 같은 유저들이 활동을 시작하면서 부터다. 이 기점으로 아예 없다시피한 인크레디박스의 팬층이 마이너하게나마 형성되기 시작했다. 물론 인크레디박스 자체도 워낙 인지도 있는 게임이 아니였고 모드 자체의 제작 난이도 때문에 크게 성장하지는 못했다.

앞서 말한 모드들은 전부 자바 스크립트로 코팅한 인크레디박스 원작과 같은 엔진을 사용해서 만든 모드였다. 때문에 선술한 것처럼 제작 난이도가 높고 코딩에 전문적인 지식이 아닌 사람이 아닌 이상 제작이 어려웠는데, 2023년에 스크래치에 있던 한 유저가 인크레디박스 모드 제작에 사용한 템플릿을 공유하면서 스크래치로 제작한 인크레디박스 모드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다만 스크래치 버전은 앞서 말한 자바 스크립트로 코딩한 버전과 달리 퀄리티가 매우 떨어졌고 잼민이들이나 아마추어들이 양산하듯이 모드를 대충 만드는 사례도 생겼기에 팬들에게 눈총을 받는 사례도 생겼다.

다만 기존 모드보다 저퀄이라는 특성을 이용해 작품의 장르가 좀 더 확장되어 코미디병맛 장르의 모드도 나오기 시작했다. 실제로 제작되는 모드 중에 코미디 장르는 거의 다 스크래치 계열 모드들이다.

3. 특징

원작은 폴로에다가 간단하게 스타일리시한 옷을 입혀놓은 것이 전부이지만, 모드에서는 창작자들이 확대되면서, 장르의 맞게 굉장히 다양한 모습의 폴로들이 등장한다. 예를 들어 장르가 공포라면 고어스럽게 인체가 훼손되어 있거나 아예 괴물이나 귀신 형태의 폴로가 등장하기도 하며, 배경을 펑크 장르로 잡은 경우라면 로봇 폴로의 비중이 높다.

이러한 개성있는 폴로들의 모티브로 자캐 커뮤니티도 살짝이나마 활성화 되어 있는 편이다. 사실 자캐 커뮤니티보다는 제작자들 자체적으로 작품의 각각의 폴로들의 스토리도 수록해 놓은 로어를 넣은 모드들이 많다는 것이 정확한데, 아무래도 캐릭터를 창작해서 만들어지는 게임이다보니 자캐딸로 이용되기도 한다.

4. 공식 수록

모드 관련 공식 문서

2025년 3월 28일, 업데이트로 5개의 모드가 인크레디박스 공식 게임에 수록되었으며 유저들이 모드를 개발하고 제출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공식 게임을 통해서 모드를 테스트할 수 있으며 제출된 모드는 so far so good 이 직접 심사하여 게임에 수록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고 한다.

5. 작품 목록

5.1. 일반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크레디박스/모드/일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크레디박스/모드/일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크레디박스/모드/일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 스크래치 모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크레디박스/모드/스크래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크레디박스/모드/스크래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인크레디박스/모드/스크래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유튜버


[1] 인크레디박스는 인디 게임이기는 하나 개인 개발자가 만든 것이 아닌 3명이 모여서 만든 게임인 만큼 제작 난이도가 높으면 높지 낮지는 않다. 일단 각각 폴로의 의상과 외형 디자인을 해야 하며 애니메이션 역시 작업해야 한다. 또한 게임에 메인으로 사용할 노래를 작곡한 뒤 음정을 장르별로 쪼개 각 폴로에 배정하는 작업을 거쳐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