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0 00:02:47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2009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개편

1. 개요2. 간선 급행버스 신설3. 간선버스의 노선 변경 및, 신설,연장
3.1. 노선 변경 및 분할, 연장3.2. 노선 신설
3.2.1. 간선 버스 노선 변경안
4. 노선 폐지

1. 개요

2009년 2월 25일[1]에 시행된 시내버스 개편을 서술하는 문서. 이개편으로 간선급행버스 노선들과 지선순환버스 노선들이 신설되었다.

한정면허 노선들이 대거 탄생하게 된 개편이다. 그 외에 12번, 16번 등 장거리 시내버스의 노선 분할이 이루어졌다.

2. 간선 급행버스 신설


901번에서 911번까지 총 11개 노선이 신설되었는데, 이중 901번은 2013년 3월 11일, 902번은 2011년 1월 20일, 906번은 2009년 8월 16일, 910번은 2013년 1월 11일, 911번은 2009년 9월 1일에 폐선되었다.

신설된지 3년도 안되어 여러 노선들이 폐선되었는데, 그중 911번은 신설 약 7개월 만에 폐선되었다(...).

905, 907, 909번은 현재(2016년 3월)까지 신설 당시의 선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단지 바뀐 것이라면 905, 907번은 종점이 논현동에서 한화지구로 연장되었고, 909번도 기점이 송도 인천대로 연장된 것이 전부.

여담이지만 폐지 전에는 간선급행버스 요금이 간선버스와 동일하지만, 신설 당시엔 간선버스보다 요금이 비쌌다. 당시 간선버스 성인, 청소년, 초등생 카드/현금 요금이 각각 성인 900원/1,000원, 청소년 630원/900원, 초등생 450원/450원 이었는데, 급행버스는 성인, 청소년, 초등생 카드/현금 요금이 각각 성인 950원/1,000원, 청소년 750원/800원, 초등생 750원/750원 이었다. 이는 당시 103번 좌석버스와 동일한 요금.

현재는 간선급행버스가 모두 전멸하고 후신인 급행간선버스가 운행 중이다.

간선급행버스, 순환XX번대 신설 외에도 여러 노선 들이 신설되거나 변경되었었는데, 당시 변경되거나 신설된 노선들은 아래와 같다.

3. 간선버스의 노선 변경 및, 신설,연장

3.1. 노선 변경 및 분할, 연장

3.2. 노선 신설


신설된 노선들중 12-1번은 13년 11월 5일 다시 12번에 통합되었고, 17-1번 역시 12년 3월 26일 72번에 통합되었고, 720번은 14년 11월 1일 폐선, 722번은 11년 12월 10일 721번에 통합되었다.

3.2.1. 간선 버스 노선 변경안

4. 노선 폐지

노선이 폐지된 것은 5번 버스가 유일하며, 폐선 직전 당시의 구간은 가좌동-제물포역 북광장-동인천역-제물포역 남광장-주안역 구간이다. 당시 폐선 사유는 승객 수요가 감소되었기 때문이다.

2009년 2월 25일부터 운행한 노선 pdf문서[삭제]

[1] 일부는 1월 30일부터 조기에 시행되었다.[2] 540번의 회차지로 쓰이는 플랫폼이 종점이었다.[3] 추후 가좌동차고지로 소폭 연장[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