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13:45:14

이스라엘-파키스탄 관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아프리카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다자관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이란·이스라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인도·파키스탄·방글라데시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인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중국·인도·파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란·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이스라엘 파키스탄
1. 개요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2.2. 21세기
3. 대사관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이스라엘파키스탄의 대국관계. 이슬람 국가가 대부분 그렇듯이 파키스탄도 이스라엘과의 관계가 매우 좋지 않다. 양국은 영국의 지배 이후 독립과 냉전 당시 친미국가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영연방 회원인 파키스탄과 달리 이스라엘은 영연방 미가입국이며, 파키스탄은 팔레스타인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국가들 중 하나기 때문에 국교 관계가 없다.[1] 이스라엘 국민은 파키스탄에 입국이 불가능하며, 심지어 이스라엘 국민이 아니어도 여권에 이스라엘을 다녀온 기록이 있다면 파키스탄 입국 자체가 거부된다. 그리고 양국은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등과 마찬가지로, 파키스탄의 여권에선 이스라엘을 대놓고 제외한다. 파키스탄의 이슬람 관련 기관지나 언론 등에서는 인도-파키스탄 관계의 뇌관인 카슈미르 분쟁과 이팔 분쟁을 연관지은 기사를 기고하는 경우가 있다.

2. 역사적 관계

2.1. 20세기

애초에 파키스탄과 팔레스타인은 영국의 식민지배로부터 독립한 이후 민족간 갈등 문제를 겪고 탄생한 국가인만큼 역사적으로 비슷한 면이 있는지라 팔레스타인을 지지하기 때문에 국교 관계도 없었으며, 4차 중동전쟁 당시 파키스탄은 팔레스타인을 지원하였다.

파키스탄의 핵개발 진행 소식이 알려지고나서 모사드는 파키스탄의 핵개발을 저지하려 했으나, 인도는 모사드가 파키스탄을 침공하기 위한 영공 개방을 거부하였으며 오히려 파키스탄의 ISI가 이 사실을 알게되자 열받은 파키스탄은 이스라엘에게 군사개입으로 보복 대응을 가하겠다고 선언하는 사태까지 갔다. 결국은 미국의 암묵적인 중재 하에 양국이 서로 합의하여 끝냈다.

2.2. 21세기

2005년 최초로 양국은 외무회담을 지녔다.# 하지만 페르베즈 무샤라프 파키스탄 대통령은 팔레스타인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내세우며 이스라엘과 국교를 승인하지 않고 국교 정상화 과정에 돌입하기 위해 교류하기 시작했다.[2]

2012년 11월 17일,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를 공습하자 파키스탄 측이 이스라엘을 비판했다.#

2020년 12월, 임란 칸 총리는 이스라엘과 파키스탄의 관계 정상 소식에 가짜뉴스라고 비판하며 팔레스타인 탄압을 중단하기 전까지 국교를 맺을 일이 없다고 하였다.#

2021년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공습에 파키스탄에선 반미, 반이스라엘 시위가 진행되었다.#

2022년 10월, 이스라엘군을 살해한 파키스탄 용의자를 수색하기 위해 가자지구를 공습하였다.#

3. 대사관

양국간 국교도 없기 때문에 대사관 자체도 존재하지 않는다.

4. 관련 문서



[1] 다만 과거 파키스탄 정부는 서안지구의 파타와 팔레스타인 시민들에게 타당한 영유권을 제공한다면 수교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2] 하지만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서안지구에 정착촌 건설을 강행하자 파키스탄이 이스라엘에 대한 교류를 중단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