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22:22:25

이성열(1984)

이성열(야구선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kt wiz 엠블럼.svg kt wiz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70 김태균 · 71 이강철 [[틀:kt wiz 감독|
]] · 72 김강 · 75 장재중
· 76 박기혁 · 78 김호 · 81 유한준 · 82 제춘모
· 84 최만호 · 87 전병두 · # 이종범 · # 박경수'''
2군
'''74 홍성용 · 77 김태한 [[틀:kt wiz 2군 감독|
]] · 79 이준수 · 80 박정환
· 86 김연훈'''
육성·재활군
85 이성열 · 88 곽정철 · 89 백진우 · 91 배우열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팀 명단 보기
}}}}}}}}} ||
이성열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f73600><tablebgcolor=#f736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2007~2024).svg한화 이글스
역대 주장
(빙그레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000000> 1986~1990 1991~1993 1994~1995 1996 1997~2000
유승안
이강돈
강정길 장종훈 강석천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 2004 2005~2006
장종훈 김종석 임수민 이영우 이도형
<rowcolor=#ffffff> 2007 2008~2010 2011~2012 2013 2014
정민철 신경현 한상훈 김태균 고동진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8~2019
김태균 정근우 이용규송광민 최진행
송광민 (임시)
이성열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이용규
최재훈 (임시)
노수광하주석 하주석
장민재 (임시)
정우람 채은성
}}}}}}}}}}}}}}} ||
LG 트윈스 등번호 36번
박만채
(2001~2002)
이성열
(2003~2008. 6. 2.)
오상민
(2008. 6. 10.~2011. 4. 25.)
두산 베어스 등번호 45번
구자운
(2007)
이성열
(2008. 6. 3.~2008)
이용찬
(2009~2014)
두산 베어스 등번호 36번
이윤호
(2005~2008)
이성열
(2009~2012. 7. 8.)
오재일
(2012. 7. 9.~2020)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10번
오재일
(2012~2012. 7. 8.)
<colbgcolor=#808285> 이성열
(2012. 7. 9.~2012)
문성현
(2013~2015)
넥센 히어로즈 등번호 36번
문성현
(2010~2012)
이성열
(2013~2015. 4. 7.)
양훈
(2015. 4. 8.~2015)
한화 이글스 등번호 50번
양훈
(2015~2015. 4. 7.)
이성열
(2015. 4. 8.~2021. 8. 28.)
이원석
(2021. 9. 1.~)
kt wiz 등번호 85번
한기원
(2021)
이성열
(2022~)
현역
}}} ||
파일:2024년 이성열 코치 프로필.jpg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kt wiz No.85
이성열
李性烈 | Lee Sung-Yul
출생 1984년 7월 13일 ([age(1984-07-13)]세)
전라남도 순천시
거주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순천북초 - 순천이수중 - 순천효천고
신체 185cm, 102kg[1], B형
포지션 외야수[2], 지명타자, 1루수[3], 포수[4]
투타 우투좌타[5]
프로 입단 2003년 2차 1라운드 (전체 3번, LG)
소속팀 LG 트윈스 (2003~2008)
두산 베어스 (2008~2012)
넥센 히어로즈 (2012~2015)
한화 이글스 (2015~2021)
프런트 한화 이글스 전력분석원 (2021)
지도자 kt wiz 2군 타격코치 (2022)
kt wiz 육성·재활군 타격코치 (2023~)
병역 사회복무요원[6] (2004)
등장곡 이홍기 - 〈말이야〉 (상속자들 OST)[7]
응원가 트랜스픽션 - 《Get Show》 (2017~2021)[가사][9]
{{{-2 {{{#!folding [ 이전 응원가 보기 ]
에이전시 MVP스포츠
가족 아내(2015년 12월 6일 결혼), 장남(2016년생), 차남
종교 불교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3.3. 주루
4. 은퇴 후
4.1. 지도자 경력
5. 별명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LG 트윈스, 두산 베어스, 넥센 히어로즈, 한화 이글스 소속 외야수, 1루수.[10]

2. 선수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성열(1984)/선수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성열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 이성열(1984)/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LG 시절 2008~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두산 2012년 넥센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 ||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공갈포형 선수로, 컨택과 선구안은 평균 이하이다. 볼넷과 출루율이 그럼에도 아주 극악인 수준은 아닌데[11], 진퉁인 파워로 인하여 그만큼 반사이익을 많이 누린다. 대신 삼진을 정말 아주 많이 당하는 타입[12] 이라서 K/BB 수치는 통산 0.37[13]정도로 굉장히 좋지 않다.

원래 LG, 두산 시절에는 히팅 존이 잡아당기는 성향을 보였으나, 2015년을 기점으로 밀어치기를 조금씩 선호하며 2017~2018년 들어 밀어치기에 굉장히 능해지며 바깥쪽 인존 컨택률이 올라 예전에 비해 컨택율이 상승한 효과를 보는 중. 파워 때문인지 투수들이 주로 떨어지는 공이나 바깥쪽 직구로 많이 승부하는데 이러한 공을 밀어쳐서도 많은 홈런을 생산해 낸다.

이성열의 가장 큰 특징은 파워로 KBO 최고의 파워를 가진 타자 중 하나로 꼽히며 동일 시기 타자들 중 박병호, 김동엽과 함께 리그 최고의 파워를 가진 타자로 정평이 난 인물이며 이성열은 이 둘보다 체구가 비교적 작음에도[14] 엄청난 파워를 자랑했다. 가히 KBO의 지안카를로 스탠튼이라는 이야기까지 나올 정도로 어마어마한 파워를 자랑하는데, 이 파워가 너무 좋아서 일단 정타에 맞기만 하면 무조건 홈런에 가까운 타구를 날린다. 이성열의 홈런을 본 사람들은 하나같이 "힘 하나는 KBO 최고 수준을 넘어선다" 며 입을 모은다. 2010년에 드넒은 잠실야구장을 홈으로 쓰면서도 24개의 홈런을 기록했을 정도다. 단지 힘을 제외한 모든 요소가 평균 내지는 평균 이하라 S급 선수가 되지 못했을 뿐. 특히 선구안이 최악이라 삼진이 많고 스트라이크 존이 한정되어 있어서[15]그쪽만 피하면 되기에 잡아내기 어려운 타자는 아니다.[16] 그러니까 걸리면 넘어가는데 잘 걸리지를 않는 타자. 오죽하면 별명이 열이일까. 컨택이 상승한 한화 시절에도 파워가 특별히 떨어진 건 아니어서 잡아당긴 타구를 고척돔 2층까지 보내 버리는 경이로운 홈런을 만들어냈을 정도로 파워 하나는 KBO 역사에 남을 타자.

다만 한화 이적 후 기존의 어퍼스윙에서 레벨스윙으로 조정을 거치며 컨택률이 상당히 올라갔다. 성적이 두산, 넥센 시절에 비해서도 세부 스탯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다. 두산과 넥센이라는 핵타선 팀을 거치면서 송재박, 황병일, 박흥식, 허문회 등 크보에서 이름 날리는 A급 타격코치의 지도를 받으면서도 안 터지던 이성열이었는데, 김성근 전 감독의 레벨스윙 장착으로 폭망한 뒤 그 레벨스윙을 다시 버린 뒤로 자신에게 맞는 폼을 찾아 아주 기묘하게 포텐이 터지는 듯하다. 2016년 초에 감독이 손수 타격폼을 수정한 이후 장렬하게 폭망했는데 원래 타격폼으로 돌아간 이후 미묘한 변화가 생기면서, 이적 후 두 시즌 간 기존의 장타율을 유지하면서 3할 이상의 타율과 3할5푼 이상의 출루율을 기록하는 등 준수한 스탯을 찍어주었다. 결국 이성열이 전성기의 모습을 되찾고 허도환도 백업 포수 역할은 준수하게 해주면서 트레이드는 한화의 압승으로 끝났다.

2018년엔 선구안이 크게 개선되어 5월달까지 시즌 타율이 3할 3푼을 넘었고 OPS는 9할에 달한다. 기존의 모 아니면 도 식의 아웃 아니면 장타는 아니지만 대신 본인이 목표한 대로 상당히 꾸준해진 편. 이대로 시즌을 마칠 수 있다면 강타자 스타일 박한이가 될 수도 있다. 고무적인 것은 이런 변화가 이번 시즌에 특히 두드러진 것이 아니라[17] 상술된대로 각 과정을 거치면서 점차 변해가는것이 보인다는 점.

3.2. 수비

수비는 포수 출신답게 경기 전체를 내다보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평가. 수비 범위는 보통 수준이다. 송구능력은 포수 치고는 약한 편이나, 외야수 전체로 보자면 평균 수준은 해준다. 외야수 전향 초기에는 극악이었으나 많은 경험을 쌓으며 수비력은 크게 걱정하지 않을 정도로 좋아졌다.

2018년에는 1루수로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고 종종 호수비도 보여주면서 김태균과 로테이션을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올라왔다.

3.3. 주루

주루는 포수를 기준으로는 준족이지만 전체 야수 기준으로는 중간 수준이다.[18] 도루 능력은 약간 떨어져 단독 도루는 기대하기 힘든 수준이며, 주루 능력은 평범한 편이다. 애초에 주루에는 별 강점도 없고 단점도 없어서 팬들이나 본인도 큰 신경은 쓰지 않는다. 다만 타구속도가 빨라 병살타가 제법 많다. 다만 2018년 한용덕 감독이 부임한 이후로 적극적인 주루작전을 하게 되어 주루 능력이 꽤 좋아졌다는 평이다.

거포 이미지가 강하지만 의외로 기습 번트안타를 만들어내는 숨겨진 툴이 있다. 번트가 1년에 몇 번 나올까말까할 정도로 드물지만 일단 댔다 하면 본인 발이 빠른 편이 아닌데도 내야안타가 된다. 허를 찌르는 번트를 잘 대기에 장타를 대비하여 외야쪽에 붙은 수비를 속이는 좋은 타구가 나온다.

4. 은퇴 후

4.1. 지도자 경력

현역 은퇴 이후 한화 이글스 프런트에서 전력분석원 업무를 잠깐 맡았다가, 2022 시즌부터 kt wiz의 퓨처스 타격 코치로 부임했다.
이후 2023시즌엔 육성/재활군 타격코치로 보직을 바꿨다. 김강의 답답한 타격때문에 김강하고 맞바꿔서 1군에 올라오길 바라는 팬들이 적지 않다.

5. 별명



* 낮성열 : 시력문제 때문에 유독 낮 경기에 강해서이다.

* 이블성열 : 불암콩콩코믹스 참조

* 뇌성열 : 뇌가 없는 플레이(?)를 해서다.

6. 여담

7. 관련 문서



[1] 근육질 체형으로 체중에 비해 몸이 부해보이지 않는다.[2] 방망이 좋은 선수들이 주로 들어가는 코너 외야, 즉 좌익수와 우익수로 나오고 있다. 거포 이미지와 다르게 100m 기록이 정수빈보다 좋았을 정도로 주력이 은근히 빠르지만 수비범위는 영 시원찮고 펜스 플레이에 미숙함을 보인다. 어깨는 보통.[3] 2018년부터 1루수로도 곧잘 출전했다. 이전에는 기존 1루수인 김태균이 체력안배 차원에서 지명타자로 나오면 대신 1루수로 들어가는 정도였지만 2018년부터는 1루수가 사실상 메인 포지션이 되었다.[4] 신인지명 당시에는 포수였지만 포수로써의 성장세가 시원찮아 장타력이라도 살리기 위해 외야수로 전향했다. 어쨌든 포수 경험이 있다 보니 경기 중 포수 자원을 모두 사용하면 포수로 우선적으로 고려되었고, 종종 출장했다.[5] 데뷔 초에는 스위치 히터였다. 그래서 컴퓨터 게임인 슬러거에는 아직 김원섭과 같이 스위치히터로 나오는 모습[6] 아버지가 국가유공자여서 6개월만 복무했다.[7] 이우성의 등장곡과 김성욱의 등장곡과 같다.[가사] 이성열! 이글스의 이성열~ 이글스의 이성열~ 홈런 날려라~ 저 하늘로 지금! X3 이성열~[9] 전현태의 한화 시절, 임재철의 LG 시절 응원가와 원곡이 같다. 또한 김휘집의 등장곡과 같다.[10] 지명 당시 포지션은 포수였으며 전업 이후에도 포수가 없을 때 대체 자원으로 쓰였다.[11] 어디까지나 아주 극악이 아닌 셈이지 통산 8%도 안 되며 6~8%대에 머무르는 일이 대다수다. 2019년 같은 볼넷률이 오히려 특이한 경우.[12] 통산 삼진율(타석 기준) : 약 29.8%. 30%에 가까운 삼진 비율이면 KBO 순위권에 들 정도로 엄청나게 높은 것이다. 그 박병호가 이성열과 비슷한 타수에 통산 삼진율이 24% 정도이다.[13] 몸에 맞는 공(HBP)을 제외하면 0.25[14] 큰 차이는 없다.[15] 9등분한 존을 기준으로 몸쪽 넓은 삼각형[16] 그렇다고 절대 잡기 쉽다는건 아니다.... 약간이라도 공이 그 존에 걸치면 바로 안타나 장타가 나오기 때문.[17] 다는 아니고 선구안은 올해 좀 두드러지는 편.[18] 전성기 시절 100m 기록 자체는 정수빈 이상이었다.[19] 뽕열이라는 별명은 본인도 잘 알고 있으며 매우 좋아한다고 한다.[20] 19시즌 주장직을 맡으면서 뽕캡이라고도 불린다.[21] 이는 심정수가 라식수술을 받고 생긴 부작용과 비슷하다.[22] 가장 최근에 육방을 거친 유명인사가 모델 김영광이다.[23] 심지어 이 경기에서 윤성환은 9이닝 2실점으로 완투패를 했다. 솔로홈런 2방에 2실점 완투패면 그 답은?[24] LG 시절에 온화했던 모습과는 달리 두산에서 지내면서 심판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때 이미 투 스트라이크를 당한 상태였기 때문에 대체로 그냥 본인이 못해서 삼진당한 거라는 게 중론.[25] 정확히는 뽕열이라는 별명의 뜻을 알게 된거다. 사실 이성열은 그 전에도 인스타 소개글에 뽕열이 50이라고 표기해놓았었다.[26] 이전에는 위의 사건 이후 소개글을 올렸다고 하는데 사실은 그 전에도 뽕열이50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다.[27] 공교롭게도 둘다 2010시즌에 홈런 24개로 리그 공동 6위에 올랐다.[28] 2017년 6월 22일 커리어 첫 끝내기 홈런때 보인 포스넘치는 빠던. 파일:external/3.bp.blogspot.com/2017_6_22_39.gif[29] 한화이글스: 클럽하우스에도 전후 상황과 이성열의 인터뷰가 잠깐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