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9 03:48:52

송광민


송광민의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FC4E00,#FC4E00><tablebgcolor=#FC4E00,#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주장
(빙그레 시절 포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272C,#d3dade
<rowcolor=#000000> 1986~1990 1991~1993 1994~1995 1996 1997~2000
유승안
이강돈
강정길 장종훈 강석천
<rowcolor=#ffffff> 2001 2002 2003 2004 2005~2006
장종훈 김종석 임수민 이영우 이도형
<rowcolor=#ffffff> 2007 2008~2010 2011~2012 2013 2014
정민철 신경현 한상훈 김태균 고동진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8~2019
김태균 정근우 이용규송광민 최진행
송광민 (임시)
이성열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이용규
최재훈 (임시)
노수광하주석 하주석
장민재 (임시)
정우람 채은성
}}}}}}}}}}}}}}} ||
한화 이글스 등번호 53번
정병희
(2005)
송광민
(2006~2007)
김사연
(2008~2010)
한화 이글스 등번호 6번
전현태
(2005~2007)
송광민
(2008)
한윤섭
(2009~2010)
한화 이글스 등번호 25번
클락
(2008)
송광민
(2009)
최진행
(2010~2020)
한화 이글스 등번호 7번
이범호
(2004~2009)
송광민
(2010)
강경학
(2011)
한화 이글스 등번호 10번
하주석
(2013~2013. 6. 18.)
송광민
(2013. 6. 19.~2013)
김태완
(2014~2016)
한화 이글스 등번호 7번
이여상
(2012~2013)
송광민
(2014~2020)
강경학
(2021~2021. 7. 2.)
}}} ||
파일:11송광민.png
송광민
宋光敏 | Song Kwangmin
출생 1983년 6월 24일 ([age(1983-06-24)]세)
대전광역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대전신흥초 - 충남중 - 공주고 - 동국대[1]
신체 184cm, 90kg, AB형
포지션 3루수[2]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02년 2차 10라운드 (전체 76번, 한화)[3]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06~2020)
지도자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1)
대덕대학교 야구부 인스트럭터 (2023~2024)
북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 (2024~2025)
충남중학교 야구부 코치 (2025~)
해설자 TJB(2025~)
병역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4]
등장곡 아델 - 〈Rumour Has It〉
응원가
[ 응원가 보기 ]
울랄라세션, 아이유 - 〈애타는 마음[가사][6][7]
체리 필터 - 〈내게로 와〉[가사2]
김세환 - 〈길가에 앉아서〉[가사3]
노라조 - 〈미안해요..사랑해요〉[가사4]
Bruno Mars - 〈Just The Way You Are〉[가사5]
가족 부모님, 남동생 2명
유튜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송천재송광민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후4. 플레이 스타일5. 연도별 성적6. 여담7. 관련 문서

1. 개요

前 프로야구 선수. 포지션은 내야수.

한화 이글스에서만 선수 생활을 했으며 유격수와 3루수를 오가다 3루수로 정착했다. 2015년에 좌익수로 포지션 확장을 시도했지만 실패. 2017년에 좌익수로 출장한 경기가 있었지만 역시 실패했다. 김태균이 노쇠화가 심해지자 종종 1루수로도 출장했다.

2. 선수 경력

송광민의 선수 경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통합 선수 경력: 송광민/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 ||

3. 은퇴 후

은퇴 후 모교인 공주고등학교 야구부 코치로 부임했다가, 대전 중구에 송광민야구트레이닝센터를 오픈했다. 본인이 부지를 매입하고 건물까지 세웠다고 한다. 다만 현재 해당 사업은 정리한 걸로 보인다.

2023년 대덕대학교 야구부의 인스트럭터 코치로 부임했다. 대덕대학교는 송광민과 더불어 전대영 감독, 김경태 투수코치, 박준혁 야수코치, 정영기 인스트럭터 프런트를 영입하면서 코치진을 전부 한화 이글스 출신으로 구성했다.

2025년에는 노태형 코치의 부름을 받고 천안북일고등학교 야구부의 코치로 부임했다가 충남중학교 야구부 코치로 부임했다. 또 시즌 도중에 대전방송 야구 해설위원으로 위촉되어 라디오와 유튜브 중계에 참여하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출장 경기수 타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4사구 장타율 출루율 wRC+
2006 한화 18 20 .350 7 0 0 2 5 4 0 0 .650 .350 193.7
2007 30 39 .205 8 1 0 0 2 4 0 1 .231 .220 15.6
2008 75 140 .271 38 7 0 7 23 19 0 13 .471 .333 121.4
2009 116 417 .261 109 15 1 14 43 50 5 17 .403 .290 69.6
2010 77 263 .259 68 11 0 6 34 30 4 23 .369 .316 80.4
2011 군복무(공익근무요원)
2012
2013 한화 67 245 .261 64 13 0 7 33 33 1 22 .400 .322 96.2
2014 103 389 .316 123 22 2 11 58 52 3 26 .468 .357 97.8
2015 12 37 .243 9 2 0 0 1 2 0 3 .297 .300 48.0
2016 116 449 .325 146 27 2 17 83 80 3 32 .508 .366 112.3
2017 117 437 .327 143 26 0 13 75 71 2 24 .476 .356 109.1
2018 113 434 .297 129 24 0 18 79 63 4 22 .477 .328 96.4
2019 122 454 .264 120 21 0 7 51 50 8 24 .357 .298 80.0
2020 94 277 .235 65 12 0 9 43 31 0 18 .375 .276 66.5
KBO 통산
(13시즌)
1060 3888 .285 1028 181 5 111 530 489 30 230 .431 .325 94.5

6. 여담

파일:송광민중딩.png
* 중학교 졸업사진이 아주 귀엽다. 출처

7. 관련 문서


[1] 체육교육과 02학번[2] 원래 포지션은 유격수였으며, 2008년 김인식 감독 재임 시절 우익수로 시즌을 치른 경험이 있다. 이후 다시 유격수로 복귀했다가 주전 3루수였던 이범호가 일본으로 진출하면서 3루수로 전향했다. 2013시즌 중반 소집해제 이후 팀에 합류하면서 다시 유격수로 돌아왔으나 이후 14시즌 극초반부터 실책을 남발하며 다시 3루수로 갔다. 2015년도에는 좌익수 전향을 시도했다가 실패했다. 그래서 다시 3루수로 복귀. 말년에는 1루수로 출전하기도 했다.[3] 동국대학교 (2002학번) 진학으로 실제 입단은 2006년.[4] 기초 군사소집에서 중도 퇴소당했고, 재검을 거쳐 공익 복무 요원으로 입소했다.[가사] 바로 너야!(너야!) 한화의 카리스마 너야!(너야!) 한화의 슈퍼파워 너야!(너야!) 승리를 위하여 송!광!민![6]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 양효진의 응원가와 같은 원곡을 사용한다.[7] 2020시즌부터 인격권 문제 때문에 못쓰는 수준이라고 홍창화 응원단장이 인스타 라이브에서 얘기했다.[가사2] 올라잇! 한화의 카리스마~ 한화의 슈퍼파워~ 바로~ 너야! 그건! 바로~ 너!야! ×2 송!광!민![가사3] 한화의 송광민~ 한화 송광민~ 랄랄라라~ 랄라라~ 랄랄라라라라~ X2[가사4] 날려라 날려라 날려보자! (후~) 한! 화! 송광민! (하!) X2, 달려라 달려라 달려가자! (후~) 한! 화! 송광민! (하!) X2[가사5] 한화 송광민~ 한화 송광민~ 이글스의 송광민~ 승리를 위해~ 워우워우워~ ×4 (빨라지면서)[12] 손광민에서 손아섭으로 개명하였다.[13] 참고로 송광민의 2016시즌 기준 통산 볼넷118개이고 김태균의 2016시즌 볼넷108개로, 단 10개 차이다. 참고로 둘의 통산 볼넷 차이는 무려 949개.[14] 특히 태업을 의심케 하는 의욕없는 스윙으로 물러난 후 한용덕 감독에게 공개적으로 질책당하는데 뚱한 표정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본 후 더 팬심이 돌아섰다. 나중에 밝혀진 바에 의하면 부상 때문에 제 기량을 보여주지 못했다는 속사정이 있었다만...[15] 사실 이건 거의 모든 디시 야구팀 갤러리가 지닌 문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