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42:10

히브리 문자

이브리 문자에서 넘어옴
분절 문자의 계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오른쪽 문자는 왼쪽 문자에서 파생됨 >>>
이집트 상형 문자 신관문자 민중문자 메로이트 문자
원시 시나이 문자 우가리트 문자
페니키아 문자 고대 히브리 문자 사마리아 문자
아람 문자 카로슈티 문자
브라흐미 문자 바티프롤루 문자 칸나다 문자
텔루구 문자
팔라바 문자
참 문자
그란타 문자 싱할라 문자
말라얄람 문자
타밀 문자
크메르 문자 태국 문자
라오 문자
카위 문자 발리 문자
순다 문자
자바 문자
바이바이인 문자
버마 문자
굽타 문자 실담 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캐나다 원주민 문자
모디 문자
구자라트 문자
난디나가리 문자
카이티 문자
가우디 문자 동부 나가리 문자
오리야 문자
네팔 문자 란자나 문자 소욤보
티베트 문자 파스파 문자
타나 문자
시리아 문자 나바테아 문자 아랍 문자 타나 문자
페르시아 문자
자위 문자
응코 문자
소그드 문자 돌궐문자 로바시 문자
위구르 문자 몽골 문자 만주 문자
팔라비 문자 아베스타 문자
히브리 문자
팔미라 문자
만다야 문자
그리스 문자 에트루리아 문자 로마자 체로키 문자
오세이지 문자
프레이저 문자
데저렛 문자
홋착 문자
룬 문자
오검 문자
콥트 문자
고트 문자
아르메니아 문자
조지아 문자
글라골 문자
키릴 문자 아부르 문자
리비코-베르베르 문자 티피나그 문자
고대 히스파니아 문자
남아랍 문자 그으즈 문자
고대 북아랍 문자
한글 · 비저블 스피치 · 주음부호 }}}}}}}}}


1. 개요2. 형태3. 역사4. 글자와 발음
4.1. 발음기호

1. 개요

히브리 문자(אלפבית עברי)는 히브리어를 표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자다. 아브자드이며, 22개의 문자로 이루어져있다.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쓰는 우횡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히브리어 외에도 이디시어라디노어를 표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다만 이디시어와 라디노어에서는 모음의 사용이 히브리어에서의 모음과 조금 다르다. 자세한 건 각 문서 참조.

2. 형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rank-ruehl.png

히브리어 교재나 신문, 웹사이트, 유대교 경전 등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히브리어 문자는 일단 위와 같이 생겼다. 이건 '인쇄체'라고 해서 필기구로 쓰는 것을 상정하지 않은 글씨체이고, 이걸 필기구로 작성하는 '필사체'와 일상생활에서 필기하기 위해 쓰는 '필기체'가 따로 존재한다. 히브리어를 공부하려면 입문 단계에서부터 인쇄체/필사체/필기체 3개를 전부 필수적으로 숙지해야 하는데, 필사체와 필기체의 경우 쓰는 사람에 따라 세부적인 디자인이 천차만별로 차이나기 때문에 이러한 미묘한 차이점을 모아서 또 따로 배울 필요가 있다.

히브리어에 문외한인 사람이 히브리 글자체에 대한 인식하면 이러한 위의 인쇄체같이 뭔가 딱딱하면서도 옛 느낌나는 분위기를 연상케 하지만[1], 타이포그래피적으도 다양한 히브리 문자 폰트가 있다. 헬베티카도 히브리 문자 버전이 존재한다.

22개의 문자 중 5개의 문자 כ, מ, נ, פ, צ는 단어나 문장의 끝부분에 올 때, ך, ם, ן, ף, ץ 과 같은 형태로 바뀌게 되는데, 글자 끝을 꼬리처럼 밑으로 늘어트린다고 해서 이를 꼬리형(미형) 문자라고 부른다.

3. 역사

고대 히브리어가 페니키아어와 동일한 언어인 것처럼 '고대 히브리 문자(Paleo-Hebrew alphabet)'도 페니키아 문자와 동일하였다. 하지만 고대 히브리 문자는 사마리아 문자의 직계 조상이고, 아람 문자를 조상으로 둔 현대 히브리 문자와는 별개이다.[2]

바빌론 유수 이후 아람어가 유입되고[3] 히브리어가 2000여 년 이상 유대교의 언어로서의 타나크나 미쉬나 등의 연구, 종교의식, 기도, 또는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서로 떨어진 유대인 공동체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에서나 사용하게 됨에 따라 유대인의 문자도 아람 문자로 대체되었다. 히브리어 특유의 정사각형 모양도 이 때의 아람 문자에서 비롯된 것이다.[4] 물론 이후로도 자형은 변화했다.

이후 이디시어, 라디노어, 일부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다른 유대 제어의 언어들에서도 계속 쓰이게 되며 명맥을 유지해왔다. 이 과정을 거치며 현재의 자형을 갖추게 되고, 이디시어에서 별로 쓸 일이 없는 몇 글자를 모음으로 교체해서 쓰고 보조기호를 붙이며 아예 알파벳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근대에 와 시오니즘에 의해 히브리어가 부활할 때 그대로 쓰이게 되며 현재의 히브리 문자가 되었다. 현재는 이디시어는 알파벳, 히브리어는 아브자드로 쓰고 있다. 물론 독법도 서로 조금씩 다르다. 그리고 아람어는 자신들이 쓰던 문자 대신 시리아 문자를 쓰기 시작하면서 아람 문자로 탄생한 문자는 현재 히브리 문자로서 남게 되었다.[5]

수학 쪽에서는 초한기수라는 개념을 만들 때 전용 기호로 쓰이게 된다.

4. 글자와 발음

<rowcolor=#373a3c> 문자명 문자 일람 IPA 발음
<rowcolor=#373a3c> 현대 히브리 문자 아랍 문자 <colcolor=#373a3c> 고대 문자
일반 문자 필기체 페니키아 문자 <colcolor=#373a3c> 아람 문자
알레프 Alef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Alef_handwriting.svg.pngا 𐤀 𐡀ʔ
베트 Bet ב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Bet_handwriting.svg.pngب𐤁𐡁v, b
기멜 Gimelג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Gimel_handwriting.svg.pngج𐤂𐡂g, d͡ʒ
달레트 Daletד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Daled_handwriting.svg.pngد𐤃𐡃d
헤 Heה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He_handwriting.svg.pngه𐤄𐡄h[6]
바브 Vavו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Vav_handwriting.svg.pngو𐤅𐡅v, o, u
자인 Zayinז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Zayin_handwriting.svg.pngز𐤆𐡆z, ʒ
헤트 Chetח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Het_handwriting.svg.pngح𐤇𐡇χ
테트 Tetט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Tet_handwriting.svg.pngط𐤈𐡈t
요드 Yodי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Yud_handwriting.svg.pngي𐤉𐡉j
카프 Kafכ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Kaf_handwriting.svg.pngك𐤊𐡊χ, k
카프 꼬리형 Final Kafך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Kaf-final_handwriting.svg.png
라메드 Lamedל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Lamed_handwriting.svg.pngل𐤋𐡋l
멤 Memמ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Mem_handwriting.svg.pngم𐤌𐡌m
멤 꼬리형 Mem Finalם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Mem-final_handwriting.svg.png
눈 Nunנ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Nun_handwriting.svg.pngن𐤍𐡍n
눈 꼬리형 Nun Finalן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Nun-final_handwriting.svg.png
사메흐 Samekhס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Samekh_handwriting.svg.pngس𐤎𐡎s
아인 Ayinע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Ayin_handwriting.svg.pngع𐤏𐡏ʔ
페 Peפ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Pe_handwriting.svg.pngف𐤐𐡐p, f
페 꼬리형 Final Peף[7]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Pe-final_handwriting.svg.png
차디 Tsadeצ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ebrew_letter_Tsadik-nonfinal_Rashi.pngص𐤑𐡑t͡s, t͡ʃ
차디 꼬리형 Final Tsadeץ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Tsadik-final_handwriting.svg.png
코프 Qofק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Kuf_handwriting.svg.pngق𐤒𐡒k
레쉬 Reshר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Resh_handwriting.svg.pngر𐤓𐡓r~ʁ[8]
쉰 Shinשׁ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Shin_handwriting.svg.pngش𐤔𐡔ɕ
신 Sinשׂسs
타브 Tavת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7px-Hebrew_letter_Taf_handwriting.svg.pngت𐤕𐡕t

사진 원본 출처 : 위키백과

발음은 히브리-영어 대역성경 사이트에서 확인 가능하다.[9]

고대 히브리어와 달리 현대에 들어서 발음이 상당수 바뀌었다. 가령 ק의 경우 아랍어처럼 인두음으로 발음이 나야 되는데 /k/발음인 כ와 별반 차이가 없어졌다. 니쿠드도 장음과 단음을 구분했는데 그러한 차이를 알기 어렵게 되었다.[10]

4.1. 발음기호

다게시 또는 다게쉬는 자음에 점을 찍어서 그 자음의 발음이 다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가령 בּ‎는 /b/이고 ב는 /v/이다.니쿠드는 자음의 주변에 점을 찍어서 모음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1] 로마자로 치면 현대인들이 블랙레터 폰트를 보고 느끼는 감정과도 비슷할 것이다.[2] 다만 근본적으로는 아람 문자도 페니키아 문자의 바리에이션에 속한다.[3] 1세기 인물인 예수 역시도 모어는 아람어였고, 당시 지중해권 유다인 공동체들은 70인역 성경(그리스어 성경)을 쓰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특히 이 시기의 유다교는 이스라엘 지역의 민족종교가 아니라, 보편종교의 특색을 일부 갖추었기에 이방인 신자들을 위해서 히브리말 성경은 여러모로 곤란했을 것이다.[4] 정확히는 여러 아람 문자 중 중심이 되는 Imperial Aramaic Script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람 문자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5] 다만 학술적 맥락에서 엄밀히 따질 때는 아람 문자라고 하기도 한다.[6] 이 글자는 단어 말미에 오면 모음으로 쓰이는데, 주로 a나 e로 발음한다. 드물지만 자음하고 합쳐서 단독으로 쓰일 경우에는 o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히브리 문자에서 본래 자음이었던 글자가 모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준모음화(Mater Lectionis)라고 한다.[7] 한국어영어와 같은 외래어의 경우(이디시어의 뿌리인 독일어는 제외), 이 형태의 글자를 잘 쓰지 않는 편이다.[8] 단어 첫음으로나 폐쇄음 다음 음으로는 영어 'r' 발음으로 내면 된다. 그러나 단어 가운데서 모음 사이에서는 음이 달라져서 한국인의 귀에는 'gh' 정도의 발음으로 들린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파우다'의 주인공 도론(דורון)을 미친듯이 불러대는(...) 영상을 들어보면, 사실상 도론이라 쓰고 도곤 또는 도혼이라 읽는 지경.(히브리어 화자들과는 대조적으로 중간중간 아랍어 화자들은 도론이라고 발음한다.) 입 모양은 'r'처럼을 내면서 음은 'g'로 내려고 하면 비슷해진다. ח(헤트)가 k음을 내면서 목을 긁듯이 ר(레시)는 g음을 내면서 목을 긁는다고 생각해도 된다. 이래저래 한국인들에게는 낯선 발음이다. 전통적으로 아슈케나짐은 이디시어의 영향을 받아 구개수음을, 세파르딤을 위시한 비 유럽계 유대인들은 라디노어아랍어의 영향으로 치경음을 선호했다.[9] 해당 웹사이트에서 사용된 듣기 파일의 주인공은 아브라함 슈무엘로프(Abraham Shmuelof)라는 사람이다.[10] 아랍인들이 현대 히브리어를 들을때 유럽의 언어들 같다는 평가를 많이 하는데, 이는 유대인들이 오랜 생활 유럽에서 살기도 했거니와 최근에 부활시킨 히브리어가 유럽식 발음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