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전 시기의 소련 해군 수상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함 | <colbgcolor=#fefefe,#191919>옥차브리스카야 레볼루치야급, 아르항겔스크UK, 노보로시스크배상, 슐레스비히-홀슈타인배상, 비보르크배상, 헤센나포 | |||
순양전함 | |||||
순양함 | 순양함 | 키로프급, 막심 고리키급, 카가노비치급, 차파예프급, 아드미랄 나히모프급, 스베르들로프급, | |||
미사일 순양함 | 프로젝트 63형, 킨다급, | ||||
대잠 순양함 | 크레스타급, 카라급, 프로젝트 1199형, 프로젝트 11990형 | ||||
구축함 | 구축함 | T33배상, T-12배상, T-17배상, 프릿키배상, 필키배상, 프로치니배상, 프라보르니배상, 베르니배상, 브니자프니배상, 보즈로조니급배상, 룍키배상, 라프키배상, 레뚜치배상, 리호이배상, 레그키배상, 로브배상, 윅스급UK, 프로젝트 30형, 오그네보이급, 프로젝트 31형, 코틀린급, 킬딘급, 카닌급, 소브레멘니급 | |||
대잠 구축함 | 카닌급, 카신급, 우달로이급, 프로젝트 1156형, 프로젝트 11560형, 프로젝트 11000형 | ||||
호위함 | 프로젝트 29형, 네우스트라시미급, 콜라급, 코니급, 리가급, 페트야급, 미르카급, 크리박급, | ||||
초계함 | 소형 미사일함 (МРК) | 나누추카급, 보라급, 타란툴급, | |||
소형 대잠함 (МПК) | 크론슈타트급, 포티급, 그리샤급, 프로젝트 1141형, 폴급, 파르킴급, 무하급, 파우크급 | ||||
소형 함포함(Мак) | 야즈급 | ||||
경비정 | 프로젝트 D 361형, 프로젝트 P 361형, 프로젝트 T 361형, 프로젝트 B 361형, 프로젝트 C 361형, 프로젝트 125, 프로젝트 125A형, 프로젝트 D 376형, 스텐카급, 주크급, 스베틀야크급 | ||||
모니터함 | 제레즈냐코프급, 하산급 | ||||
함포정 | 쉬멜급 | ||||
어뢰정 | 프로젝트 123-bis형, P-6급, P-4급, 프로젝트 184형, 셰르셴급, 프로젝트 125형, 투르야급, 무라베이급 | ||||
대잠정 | 무레야급, S·O-1급 | ||||
미사일 고속정 | 코마급, 오사급, 마트카급, 타란툴급 | ||||
항공모함 | 프로젝트 85형, PBIA, 모스크바급, 키예프급, | ||||
상륙함 | 강습상륙함 | ||||
대형 상륙함(БДК) | 앨리게이터급, 이반 로고프급, 로푸카급, 폴노시니급, 프로젝트 778형 | ||||
중형 상륙함 | 프로젝트 572형, 프로젝트 118형, 폴노크니급 | ||||
소형 상륙함(МДК) | 프로젝트 450형, 프로젝트 189형, 프로젝트 106형 | ||||
공기부양 소형상륙함 | 주브르급, 아이스트급, 프로젝트 10210형 | ||||
공기부양정 | 거스급, 레베디급, 우테노크급, 프로젝트 1238형, 무레나급 | ||||
LCU | 프로젝트 80형, 프로젝트 306형, 프로젝트 1785형, 온다트라급 | ||||
기뢰함 | 대양 소해함 | 프로젝트 73-K형, T43, T58급, 유르카급, 리다급, 나탸급, 프로젝트 923형, 고랴급 | |||
기본 소해함 | 프로젝트 3형, 프로젝트 265형, 바냐급, 프로젝트 699형, 제니야급, 소냐급 | ||||
연안 소해정 | MT급, 프로젝트 255형, 예브게니야급, 프로젝트 10751형 | ||||
정보수집함 | 프로젝트 393형, 프로젝트 393-A형, 프로젝트 394B형, 프로젝트 850-M형, 프로젝트 861M형, 프로젝트 08621형, 프로젝트 08622형, 비시냐급, 프로젝트 1826형, 프로젝트 10221형, SSV-33 우랄 | ||||
추적유도함 | 프로젝트 1128형, 프로젝트 1129형, 프로젝트 1129B형, 프로젝트 1130형, 마쉘 네델급 | ||||
통합보급함(ККС) | 베레지나급 | ||||
급유함 | 프로젝트 563형, 프로젝트 1589형, 보리스 칠킨급, 프로젝트 577형, 프로젝트 160형, 두브나급, 이만급, 어얼구나급 | ||||
고속 및 특수급유함 | 프로젝트 437-K형, 프로젝트 1545형, 프로젝트 1844형, 프로젝트 1541형, 프로젝트 11510형 | ||||
급탄함 | 프로젝트 1791형, 프로젝트 11570형, 프로젝트 10680형 | ||||
잠수함지원함/잠수함구조함 | 돈급, 프로젝트 1886형, 콤무나 | ||||
위그선 | 룬급 | ||||
해양연구함 | 블라디미르 카브라이스키, 프로젝트 852형 | ||||
수로탐사함 | 프로젝트 861형, 프로젝트 862형 | ||||
훈련함 | 드네프르, 프로젝트 887형, 프로젝트 888형 | ||||
※ 윗첨자UK: 영국이 대여해준 함선 ※ 윗첨자배상: 추축국인 나치 독일, 이탈리아 왕국, 일본 제국 등으로부터 전후 배상받은 함선 ※ 윗첨자나포: 추축국의 함정을 나포해서 운용하게 된 함선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
Большие противолодочные корабли проекта 1155 «Фрегат» |
1. 개요
NATO 분류 우달로이급 구축함(Udaloy-class destroyer), 소련 해군 형식명칭 프로젝트 1155형 대형대잠함[1] "프레가트"(Большие противолодочные корабли проекта 1155 «Фрегат»)는 소련 해군이 건조하여 소련 해군과 러시아 해군이 운용하는 구축함이다. 대잠형은 우달로이 I급, 대수상형은 우달로이 II급이다.2. 성능
소련 해군의 교리에 따라 개전 초기의 기습을 중시하고 원양작전보다 근해작전을 강조하는 설계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함체에 최대한 중무장을 때려박는 구축함으로 제작되었다. 무장으로 120 km 정도의 탐지거리를 가진 레이더, 견인식 소나, RBU-6000 대잠로켓 발사기, SS-N-14 대잠미사일[2](우달로이I 탑재)/선번 대함미사일 8발(우달로이II 탑재), SA-N-9 대공미사일 64발 등 구축함으로는 상당한 무장을 탑재하였다.
방어력면에서는 동세대 서방함정 역시 마찬가지로 구시대적 발상인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피격시 데미지 컨트롤이 상당히 어려운 점이 있으나, 그래도 같은 시기 대공, 대수상용으로 건조된 소브레멘니급 구축함처럼 증기터빈을 쓰는 대신 가스터빈을 쓰는 등 나름대로 신경써 건조하였다. 이후 미국 해군에서 건조가 시작된 스프루언스급 구축함(만재 8,000톤)은 초기 무장으로 애스록 8연장 발사기 1기, 시스패로우 8연장 발사기 1기, 하푼 대함미사일 8발, Mk.45 5인치 양용포 2문을 탑재하였으며 이후 개장 무장으로 Mk.41 VLS 61셀이 추가적으로 탑재되면서 우달로이급 구축함 보다 무장이 앞서게 되었다.
부산에 정박하는 우달로이 I급 구축함 아드미랄 트리부츠 |
2021년 10월 11일 이즈베스티야: 슬라바급 순양함 바랴그함과 우달로이급 구축함 아드미랄 트리부츠함은 동해에서 미사일 발사 훈련을 진행하였으며, 모의 방공 훈련 중 적의 모의 공습을 성공적으로 격퇴했다고 발표했다. #
3. 제원
우달로이급 & 우달로이 II급 구축함 Udaloy-class & Udaloy II-class destroyer | |||
함급 | 우달로이급 | 우달로이 II급 | |
전장 | 163.5 m | ||
전폭 | 19.3 m | ||
흘수선 | 6.2 m | ||
기준 배수량 | 6,930 t | 7,700 t | |
만재 배수량 | 7,570 t | 8,900 t | |
동력 | 방식 | COGAG 2축 추진 | |
기관 | M70 가스터빈엔진 x 2기 M8KF 가스터빈엔진 x 2기 | M63 가스터빈엔진 x 2기 M8KF 가스터빈엔진 x 2기 | |
최대속력 | 29.5노트 | 28노트 | |
항속거리 | 14노트 순항시 5,700 해리 | 18노트 순항시 4,000 해리 | |
승조원 | 249명 | 296명 | |
전투 체계 및 센서 | 전투 체계 | Lesorub-1155/11551 전투정보통제체계 | |
사격통제 | MR-360 Podkat SAM 사격 통제 레이더 2기 MR-184 Lev-218 함포 사격통제레이더 MR-123 Vymple CIWS 사격통제레이더 | MR-360 Podkat SAM 사격 통제 레이더 MR-184 Lev-218 함포 사격 통제 레이더 Garpun-BAL 대함미사일사격통제레이더 | |
수상 | MR-320/320V Topaz/Topaz V | ||
대공 | MR-750 Fregat-MA 3차원 레이더 | ||
항해 | Volga 항해 레이더 또는 MR-212/201-1 Vaygach-U | ||
소나 | MGK-355 Polinom | MGK-365 Zvezda-M2 | |
전자전 | MP-401S Start ESM 4기 또는 MP-401S Start ESM 2기/MP-407 Start-2 ESM 2기 | ||
기만 장비 | PK-2M 기만 로켓 발사기 2기 PK-10 기만 로켓 발사기 10기 | ||
무장 | 함포 | AK-100 100mm 함포 × 2(2문) | AK-130 130mm 2연장 함포 × 1(2문) |
대공포 | 21KM 45mm 대공포 2문 | - | |
CIWS | AK-630 30mm 기관포 x 4문 | 카쉬탄 x 2문 | |
VLS | 9K330 토르(SA-N-9 건틀릿) 리볼버식 VLS(8발 장전) × 8기 | ||
대함 미사일 | 4연장 SS-N-14 Silex 대잠/대함 미사일 발시기 2문 | 4연장 SS-N-22 Sunburn 대함 미사일 발사기 2문 | |
대잠 로켓 | RBU-6000 대잠 로켓 발사기 2문 | RBU-12000 대잠 로켓 발사기 2문 | |
어뢰 | 4연장 533mm 어뢰발사관 2문 | 4연장 533mm 어뢰발사관 2문 (SS-N-16 Stallion 대잠 로켓) | |
탑재항공기 | Ka-27 카모프 x 2기 |
4. 동형함
우달로이급 구축함은 총 15척 계획, 2척 건조 중지 및 취소, 21척 건조로 사업이 마무리 되었으며, 러시아 해군에서 총 8척이 활동중에 있다.- 우달로이 I급 구축함 : 총 12척 계획, 12척 건조
- 러시아 해군 : 총 7척 현역, 이 중 1척 수리 중
- 우달로이 II급 구축함 : 총 3척 계획, 1척 건조
- 러시아 해군 : 총 1척 현역
4.1. 우달로이 I급: Projet 1155
함명 | 한국어 | 함번 | 기공 | 취역 | 상태 | 배치 | |
1 | Удалой | 우달로이 | 637 | 1977년 | 1980년 | 퇴역 | |
2 | Вице-адмирал Кулаков | 비체-아드미랄 쿨라코프 | 626 | 1977년 | 1981년 | 현역 | 북해 |
3 | Маршал Василевский | 마르샬 바실렙스키 | 687 | 1979년 | 1983년 | 퇴역 | |
4 | Адмирал Трибуц | 아드미랄 트리부츠 | 564 | 1980년 | 1985년 | 현역 | 태평양 |
5 | Адмирал Захаров | 아드미랄 자하로프 | 513 | 1981년 | 1983년 | 퇴역 | |
6 | Адмирал Левченко | 아드미랄 레브첸코 | 605 | 1982년 | 1988년 | 현역 | 북해 |
7 | Адмирал Спиридонов | 아드미랄 스피리도노프 | 555 | 1982년 | 1984년 | 퇴역 | |
8 | Маршал Шапошников | 마르샬 샤포시니코프 | 543 | 1983년 | 1985년 | 현대화 완료 | 태평양 |
9 | Североморск | 세베로모르스크 | 619 | 1984년 | 1987년 | 현역 | 북해 |
10 | Адмирал Виноградов | 아드미랄 비노그라도프 | 572 | 1986년 | 1988년 | 현대화 중 | 태평양 |
11 | Адмирал Харламов | 아드미랄 하를라모프 | 678 | 1986년 | 1989년 | 퇴역 | |
12 | Адмирал Пантелеев | 아드미랄 판텔레예프 | 548 | 1988년 | 1991년 | 현역 | 태평양 |
아드미랄 판텔레예프는 1993년에 부산항에 온 적이 있다.
마르샬 샤포시니코프는 2023년 북러정상회담 당시 김정은이 탑승하여 참관한 바 있다.
4.1.1. 현대화 개장
2020년 7월 543번 마샬 샤포쉬니코프 함이 현대화 개장을 완료했다.
무장체계를 대폭 변경했는데, 주 무장인 SS-N-14 대잠미사일을 Kh-35 우란 대함미사일로 변경, 주포를 AK-100 100mm 주포 2문에서 1문으로 줄인 대신 포탑을 스텔스화했고, 주포 1문이 철거된 자리에 순항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는 신형 다목적 VLS 2기가 설치되었으며 함교 위의 메인 사격통제 레이더를 기계식에서 위상배열식으로 변경했다.
사실상 1척 건조로 그친 우달로이 II급의 구상을 보다 현대적으로 다듬은 것으로, 다른 우달로이 I급들도 이 사양으로 개장될 것으로 보인다.
4.2. 우달로이 II급: Projet 1155.1
우달로이 II급 구축함 아드미랄 차바넨코 |
함명 | 프로젝트 명 | 함번 | 기공 | 취역 | 상태 | 배치 | |
1 | Адмирал Чабаненко | 아드미랄 차바넨코 | 650 | 1992년 | 1999년 | 오버홀 중 | 북해 |
2 | Адмирал Басистый | 아드미랄 바시스티 | 건조 취소 | ||||
3 | Адмирал Кучеров | 아드미랄 쿠체로프 | 건조 취소 |
앞서 건조한 우달로이 I급 구축함의 경우 제한적인 대공 능력과 대함 능력을 보유하였으므로 소련 해군은 함의 좀 더 균형잡힌 능력을 부여하라고 주문하였다. 이에 따라 설계자들은 우달로이II급(Project 1155.1) 구축함을 개발하였다. 필요 능력에 비해 크기가 지나치게 컸던 SS-N-14 대잠미사일 대신 그 자리에는 소브레멘니급과 같이 SS-N-22 선번을 장착하고, 함포도 AK-100 단장포탑 2기 합 2문에서 AK-130 연장포탑 1기 합 2문으로 변경, 대잠미사일은 533mm 어뢰발사관에서 발사되는 SS-N-15로 대체하였다.
5. 대중 매체
- 게임 워게임: 레드 드래곤에 등장한다. 500액티베이션 포인트로 매우 강력함을 자랑하지만, 호위 세력을 갖추고 다니는것을 추천한다.
*게임 모던 워쉽에서 2티어에선 어드미랄 판텔레예프, 3티어에선 어드미랄 바시스티로 등장한다. 어드미랄 판텔레예프는 2티어 최강 함선 중 하나로 꼽히며, 인기가 많다. 함포, 미사일, 대잠로켓, 어뢰, 방공, 헬기를 모두 갖추고 있는 만능함선이다. 사실상 세종대왕함을 제외하면 2티어 전투함 중 가장 강하다. 3티어의 어드미랄 바시스티는 2023년 10월 배틀패스로 등장하였고 함포를 포함한 무장들이 전방에 배치 되어 준수한 화력을 보장한다
- 영화 헌터 킬러(2018)에서는 후반부에 '예브첸코'라는 가상의 함이 등장해[4] 쿠데타 세력의 명령으로 버지니아급 잠수함 '아칸소' 함을 추격하는 임무를 맡는다. RBU-6000 대잠로켓 발사기와 중어뢰로 아칸소를 침몰 직전까지 몰아붙이며 '구축함은 잠수함의 천적'이라는 걸 제대로 보여준다. 아칸소에서 들려오는 소음을 잡아내고 다시 공격하려고 기동하는 모습은 감탄이 절로 나온다. 이후 안드로포프 중령과 러시아 대통령의 메시지를 들은 승조원들이 공격명령을 거부하고 쿠데타 세력이 아칸소를 직접 격침 시키기 위해 육지에서 Kh-35 우란 대함미사일을 발사하자 CIWS 카쉬탄을 사용하여 날아오는 대잠 미사일들을 죄다 요격해버린다. 원래는 구형인 AK-630가 나와야 정상이지만 이 함선은 함포 대신 VLS와 ASROC 포대를 달고 있는등 2020년 현대화 개량형과 비슷한 업그레이드 사양으로 묘사된다. 그리고 함장을 제압한 승조원들이 역으로 VLS에서 순항 미사일 2발을 발사하여 쿠데타군의 사령부를 말그대로 박살 내버린다. 페이크 악역 포지션이면서도 위엄을 잃지 않고 간지나게 묘사되는 모습 보면 가히 진주인공이라 불러도 무방할 정도다.
6. 사건 사고
챈슬러스빌함과 아드미랄 보노그라도프함 |
7. 관련 문서
[1] 소련 해군은 냉전 초기 이후 구축함이라는 함종 분류 대신 대형대잠함이라는 분류를 신설해 사용했다. 소련 해군에서 한동안 자취를 감췄던 구축함이라는 함종은 소브레멘니급 구축함에서야 부활한다.[2] 중어뢰를 원거리 투발하는 독특한 병기로 무유도 로켓으로 경어뢰를 투발하는 아스록보다 훨씬 정교한 병기다.[4] 아드미랄 레프첸코에서 따온 걸로 보인다. 실제 존재하진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