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d0a0a, #CC0D0D 20%, #CC0D0D 80%, #ad0a0a);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비텔스바흐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
루트비히 1세 | 루트비히 2세 | 오토 7세 | 벤첼 | 지기스문트 | |
룩셈부르크 왕조 | 호엔촐레른 왕조 | ||||
요프스트 | 지기스문트 | 프리드리히 1세 | 프리드리히 2세 | 알브레히트 3세 아킬레스 | |
호엔촐레른 왕조 | |||||
요한 치체로 | 요아힘 1세 네스토어 | 요아힘 2세 헥토어 | 요한 게오르크 | 요아힘 프리드리히 | |
요한 지기스문트 | 게오르크 빌헬름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프리드리히 3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 | |
프리드리히 4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프로이센 공작 · 프로이센 국왕 북독일 연방 · 독일 제국 · 프로이센 자유주 총리 | }}}}}}}}} |
요한 지기스문트 관련 틀 | |||||||||||||||||||||||
|
<colbgcolor=#CC0D0D><colcolor=#fff> | |||
| |||
출생 | 1572년 11월 8일 |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할레 | |||
사망 | 1619년 12월 23일 (향년 47세) | ||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베를린 | |||
재위기간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 ||
1608년 7월 18일 ~ 1619년 12월 23일 (11년 5개월 5일, 4,175일) | |||
프로이센 공작 | |||
1618년 8월 28일 ~ 1619년 12월 23일 (1년 3개월 3주 4일, 482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a2121><colcolor=#fff> 부모 | 아버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프리드리히 어머니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카타리나 | |
배우자 | 프로이센의 아나 (1594년 결혼) | ||
자녀 | 게오르크 빌헬름, 아나 소피, 마리아 엘레오노라, 카타리나, 요아힘 지기스문트, 아그네스, 요한 프리드리히, 알브레히트 크리스티안, 힐데가르트 | ||
형제자매 | 아나 카타리나[1], 요한 게오르크,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 요아힘, 에른스트, 바르바라 조피, 크리스티안 빌헬름, 마리 엘레오노르 | ||
가문 | 호엔촐레른 가문 | ||
종교 | 루터파 → 칼뱅파 | }}}}}}}}} |
1. 개요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 동군연합의 선제후.2. 생애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요아힘 프리드리히와 브란덴부르크퀴스트린의 카타리나[2]의 맏아들로 태어나 1608년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가 되었다. 1611년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수도 바르샤바로 건너가 프로이센 공국의 섭정으로서 국왕 지그문트 3세에게 봉건 선서를 했고, 이후 1618년 프로이센 공작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가 아들 없이 사망하자 프로이센 공국을 물려받아서 처음으로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과 프로이센 공국 간의 동군연합이 성립되었고 이 동군연합 브란덴부르크-프로이센은 후에 프로이센 왕국이 되었다.재위 기간 동안 술에 절어 살았으며, 율리히-클레베-베르크 상속 분쟁에서 네덜란드 공화국의 지지를 얻고자 루터파에서 칼뱅파로 개종했으나 신앙심의 문제는 아니었기 때문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은 19세기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의 교회 통합이 있기 전까지는 칼뱅파 군주가 다스리는 루터파 국가로 남았다.
알브레히트 프리드리히의 장녀 프로이센의 아나와 결혼하여 브란덴부르크 선제후와 프로이센 공작위를 물려받은 게오르크 빌헬름, 스웨덴의 왕비 마리아 엘레오노라, 트란실바니아 여공 커털린 등을 두었다.
3.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1남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 게오르크 빌헬름 (Georg Wilhelm, Kurfürst von Brandenburg) | 1595년 11월 13일 | 1640년 12월 1일 | 팔츠의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슬하 1남 2녀[3] |
1녀 | 아나 조피 (Anna Sophie) | 1598년 3월 18일 | 1659년 12월 19일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울리히 |
2녀 | 마리아 엘레오노라 (Maria Eleonora) | 1599년 11월 11일 | 1655년 3월 28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 슬하 1녀[4] |
3녀 | 카타리나 (Katharina) | 1602년 5월 28일 | 1649년 8월 27일 | 에르데이 공작 베틀렌 가보르 |
작센라우엔부르크의 프란츠 카를 | ||||
2남 | 요아힘 지기스문트 (Joachim Sigismund) | 1603년 7월 25일 | 1625년 2월 22일 | |
4녀 | 아그네스 (Agnes) | 1606년 8월 31일 | 1607년 3월 12일 | |
3남 | 요한 프리드리히 (Johann Friedrich) | 1607년 8월 18일 | 1608년 3월 1일 | |
4남 | 알브레히트 크리스티안 (Albrecht Christian) | 1609년 3월 7일 | 1609년 3월 14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