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지역 | 철도 | 지하철 | 신교통 | 노면전차 |
홋카이도 |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삿포로 시영 전차 · 하코다테 시영 전차 | |||
도호쿠 | 센다이시 지하철 | ||||
간토 | 도쿄 임해고속철도 · 호쿠소 철도 · 토요 고속철도 · 요코하마 고속철도 | 사이타마 고속철도 · 도쿄 지하철 (도쿄메트로 · 도에이 지하철)·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도영 교통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 치바 도시 모노레일 | 도영 교통 (아라카와선) | |
주부 | 나고야 시영 지하철 | ||||
간사이 | 오사카메트로 · 키타오사카 급행전철 · 교토 시영 지하철 · 고베 시영 지하철 | ||||
주고쿠 | 아스트램 라인 | 히로시마 전철 | |||
규슈 | 후쿠오카시 지하철 | 키타큐슈 고속철도 | 구마모토 시영 전차 · 나가사키 전기궤도 · 가고시마 시영 전차 | ||
오키나와 |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선 |
요코하마 고속철도 주식회사 横浜高速鉄道株式会社 Yokohama Minatomirai Railway Company | ||||
| ||||
<colbgcolor=#00489a><colcolor=#fff> 종류 | 주식회사 | |||
시장정보 | 비상장 | |||
운행지역 |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 |||
보유선로 | 7.5km | |||
본사 소재지 |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 나카구 모토마치1초메 11번지 (神奈川県横浜市中区元町1丁目11番地) | |||
설립일 | 1989년 3월 29일 | |||
업종 | 육운업 | |||
법인번호 | 1020001029440 | |||
사업영역 | 제1종 철도사업 외 | |||
대표 | 사장 모리 히데키(森 秀毅) | |||
외부 링크 | ||||
기업 정보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4EA2><colcolor=#ffffff> 자본금 | 507억 1,900만 엔[시점] | ||
주식 총수 | 101만 4,380주 | |||
매출 | 129억 1,811만 엔 | |||
영업이익 | 19억 7,117만 엔 | |||
순이익 | 11억 792만 엔 | |||
순자산 | 358억 6,418만 1,000 엔 | |||
총자산 | 1,993억 9,889만 2,000엔 | |||
종업원 수 | 126명(2020년 3월 기준) | |||
결산기 | 3월 31일 | |||
주요 주주 | 요코하마시 63.56%[2] 가나가와현 8.88% 도큐 주식회사 4.44% 미츠비시 지소 3.73% 일본정책투자은행 1.97% 케이큐 전철 1.66% 도시재생기구 1.28% 요코하마은행 1.24% 소테츠 홀딩스 1.02% 미츠비시UFJ은행 1.00% |
|
모토마치·츄카가이역 5번 출구와 본사(뒤쪽) |
1. 개요
일본의 철도 회사 중 하나이다. 미나토미라이선 운영관리를 맡기 위해 설립된 제3섹터 방식 철도회사이며, 코도모노쿠니선의 선로시설도 보유한다.미나토미라이선과 코도모노쿠니선을 관리하고 있으며 1997년 양도받은 코도모노쿠니선은 제3종 철도 사업자이다. 2004년에는 미나토미라이선이 개통하였다. 안내방송, 차량의 정비 및 운용, 시각표 작성, 심지어 운전사[3]까지 도큐 전철에게 위탁되어 있다.
2. 보유 노선
기호 | 노선명 | 구간 | 형태 |
| 미나토미라이선 (みなとみらい線) | 요코하마 ~ 모토마치·츄카가이 (4.1km) | 보유 및 운영 (제1종 철도사업자) |
| 코도모노쿠니선 (こどもの国線) | 나가츠타 ~ 코도모노쿠니 (3.4km) | 보유 (제3종 철도사업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