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5:06:53

이지혜(배우)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이지혜(배우)|{{{#!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이지혜
李智慧|Lee Ji-hye
파일:potluck_official_20201029_1.jpg
출생 1990년 2월 9일 ([age(1990-02-09)]세)
충청북도 충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충주예성여자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성악과 / 학사)[1]
데뷔 2012년 9월 8일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
소속사 TOI 엔터테인먼트
반려동물 반려묘 앙바, 뚜르[2]
MBTI INFP[3]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
2.1. 무대 위2.2. 무대 밖
3. 출연작
3.1. 지킬 앤 하이드3.2. 베르테르3.3. 오필리어3.4. 드라큘라3.5. 스위니 토드3.6. 팬텀3.7. 레베카3.8. 미녀와 야수3.9. 순수의 시대3.10. 안나 카레니나
3.10.1. 키티3.10.2. 패티
3.11. 프랑켄슈타인
3.11.1. 줄리아3.11.2. 까뜨린느
3.12. 기생충3.13. 귀환(앙코르)3.14. 몬테크리스토3.15. 파친코, 파친코 시즌 23.16. 엘리자벳3.17. 마리 앙투아네트
4. 방송 출연5. 여담6. 둘러보기 틀

1. 개요

2012년 뮤지컬 '지킬 앤 하이드'의 주인공 엠마로 데뷔한 대한민국뮤지컬 배우.

"지혜"를 빠르게 발음해 "졔"라고 부르기도 하며, 그 뒤에 캐릭터 이름을 붙인다. (졔엘리, 졜리, 졔나, 졔이히, 졔크리, 졔롯데 등) 이 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별명은 데뷔작 캐릭터인 지킬 앤 하이드 엠마에서 따온 "졤마".

2012년 데뷔 후, 지킬 앤 하이드, 드라큘라, 스위니 토드, 팬텀, 레베카, 안나 카레니나, 프랑켄슈타인 등 다양한 작품에서 주조연을 가리지 않고 출연하며 굵직한 필모를 쌓고 있다.

또한 2017년 3월 개봉한 디즈니 미녀와 야수 실사 영화 더빙에서 '벨(Belle)' 역 노래를 맡았다.

2019년 봉준호 감독의 아카데미 수상작 기생충에서 성악가 역으로 영화 데뷔를, Apple TV+파친코에서 오페라 가수 역으로 드라마 데뷔를 하였다. 특별 출연에 가까운 짧은 등장이었으나, 두 작품 모두에서 굉장히 강한 임팩트를 남겼다.

2022년 8월에 개막하는 뮤지컬 엘리자벳의 엘리자벳 역할로 본인이 오랫동안 꿈꿔왔던 역할을 맡아 연기하게 된다.

기본 피치가 높아 꾀꼬리 장인이라고도 불린다.

2. 특징

2.1. 무대 위

2.2. 무대 밖

3. 출연작

<rowcolor=#000000> 연도 제목 배역 비고
<colbgcolor=#CBF4FD><colcolor=#000000> 2012년 지킬 앤 하이드 엠마
2013년 베르테르 롯데
2014년 오필리어 오필리어
드라큘라 루시 초연
2015년 지킬 앤 하이드 엠마
베르테르 롯데 15주년 공연
2016년 스위니 토드 조안나
팬텀 크리스틴 다에
2017년 레베카 나(ich)
미녀와 야수 더빙[5]
순수의 시대 메이 웰랜드 트라이아웃 공연
2018년 안나 카레니나 키티, 패티[6] 초연
프랑켄슈타인 줄리아/까뜨린느[7]
팬텀 크리스틴 다에
2019년 기생충 성악가
안나 카레니나 키티, 패티
레베카 나(ich)
2020년 귀환 이해성 [8]
베르테르 롯데 20주년 공연
몬테크리스토 메르세데스 10주년 공연
2021년 팬텀 크리스틴 다에
레베카 나(ich)
2022년 지킬 앤 하이드 엠마 2차 캐스팅
파친코 오페라 가수 드라마
엘리자벳 엘리자벳 10주년 공연
2023년 레베카 나(ich)
몬테크리스토 메르세데스
2024년 마리 앙투아네트 마리 앙투아네트 10주년공연
프랑켄슈타인 줄리아/까뜨린느 10주년공연
2025년 베르테르 롯데 25주년공연
지킬 앤 하이드 엠마 20주년공연[9]
팬텀 크리스틴 다에 10주년공연

3.1. 지킬 앤 하이드

데뷔작이다.

원래 대학원에 진학할 생각이었는데, 친한 언니의 제안으로 함께 오디션을 보러 갔다가 합격했다고 한다. 경력란에 쓸 게 없어서 "중앙대 성악과 수석 졸업" 한 줄 적었다고.

경력 없는 신인임에도 불구하고 엠마 역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기본적으로 음색이 맑고 깨끗하고 따뜻한 데다가, 특히 "기도하네(His Work and Nothing More)" 넘버에서 원래 버전과 달리 고음을 뽑아낸 것으로 극찬을 받았다.[10]
2012년에 이어 2015년, 2022년(2차), 2025년에도 캐스팅 되었다.
파일:166655_126821_583.jpg

3.2. 베르테르

인터뷰에서 "애증의 작품"이라고 언급했다. 두렵기도 하고, 설레기도 하지만 어느쪽이든 꼭 다시 만나고 싶은 작품이라고.

"롯데"라는 캐릭터 자체가 까딱 잘못하면 '어장관리'로 비난 받기 쉬운 역할이라, 데뷔 후 두 번째 작품에 겨우 23세였던 이지혜에겐 힘들고 어려운 역할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끊임없는 노력으로 결국 "롯데 장인"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연출님이 "2막 2장에서 (이)지혜가 매 순간 살아있더라"라고 극찬을 했어요...(중략)...이렇게 멋진 주연 배우로 자라줘서, 노래와 연기가 다 되는 완성형 배우가 되어줘서, 지켜봐 왔던 스태프로서 감사하기도 하고 박수를 보내주고 싶어요." - 구소영 음악 감독
2013년 첫 출연 이후, 2015년 15주년 기념, 2020년 20주년 기념, 2025년 25주년 공연에 연속 캐스팅 되었다.
파일:1596113378 (1).jpg 파일:베르테르 이지혜.jpg

3.3. 오필리어

<베르테르>로 깨지고 좌절하고 고민하면서 배운 것들이 굉장히 많아, 또 다시 본인을 깰 수 있는 힘든 작품을 하고 싶어 선택했다고 한다.

남장에 칼싸움까지 하는 역할이었는데, 날렵한 모습을 보여줬다. 이지혜의 원맨쇼였다는 평이 있다.

파일:K-044.jpg

3.4. 드라큘라

늘 단아하고 조신한 캐릭터를 해오던 이지혜가 처음으로 맡은 정반대 유형의 캐릭터. 본인 실제 모습은 발랄하고 호기심 많은 루시에 더 가깝다고.

초연에 원캐스트라서 부담이 컸을텐데도 잘 해냈다.

프레스콜에서 부른 "Life After Life" 영상이 남아있다. 영상

파일:IE001740683_STD.jpg

3.5. 스위니 토드

성악 전공자로서 고음으로 가득한 조안나 넘버에 자신있어 했고, 실제로도 잘했다.

조안나 캐릭터가 겉으론 정상인으로 보여도, 정신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캐릭터인데 이를 잘 표현했다는 호평을 받았다.
파일:sweenyjjae.jpg

3.6. 팬텀

"...크리스틴 다에는 그가 가진 따뜻한 음색과 소프라노로서의 실력까지 한껏 발휘할 수 있는 캐릭터로, 지난 시즌 큰 사랑을 받았다." - 올댓아트
"뮤지컬계의 흥행 보증수표로 완벽히 자리매김한 이지혜는 특유의 표현력을 바탕으로 디바로 성장해가는 크리스틴의 모습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냈다. 촬영 내내 프로페셔널한 면모를 뽐낸 이지혜는 섬세하고 농도 짚은 감정 연기로 현장 스태프들의 감탄을 자아내기도 했다." - 올댓아트

파일:2025 이지혜 크리스틴 다에.jpg

3.7. 레베카

2017년 사연부터 참여하고 있다. "부잣집 아가씨" 이미지가 강한 이지혜가 '나(이히)'의 쭈굴미를 잘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걱정의 목소리가 있었지만 역대 가장 쎈 이히가 탄생했다.[18] 하지만 본인만의 캐릭터 분석으로 각성 전후는 확실하게 표현했다.[19] 팬들에겐 주로 '졔나'로 불리고 있다.

이히 역 배우들 중 개그 포인트를 가장 잘 살린다는 평을 받았다. 애교 넘치고 사랑스러운 연기로, 지킬에 이어 막심 도둑놈 소리를 듣게 했다.[20]

이 역할을 맡으면서 '리액션이란 이런 것이다'를 배워 덕분에 다채로운 색깔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2017년에 이어 2019년, 2021년과 2023년(10주년) 공연에도 캐스팅 되었다.
파일:레베카8.jpg

3.8. 미녀와 야수

우리말 더빙에서 주인공 의 노래를 맡았다. 대사는 성우 김서영이 맡았다.
팬텀 출연 당시 함께한 정영주의 추천으로 오디션을 봤다고.
파일:beauty and the beast movie poster korea.jpg

3.9. 순수의 시대

소극장 공연을 원래부터 하고 싶었고, 앞으로도 기회가 닿으면 계속 해보고 싶다고 한다. 트라이아웃 공연이라 이제 끝났지만, "가엾은 엘렌" 뮤직 비디오로 짧게나마 볼 수 있다.[24]

파일:순수의시대이지혜.jpg

3.10. 안나 카레니나

2018년 초연과 2019년 재연에 연속 같은 역(키티, 패티 1인 2역)으로 캐스팅 되었다.

3.10.1. 키티

관객들이 "당연히 브론스키가 안나에게 가겠네."라고 생각하지 않도록, 서브로 보이지 않겠다는 생각에 중점을 뒀다고 한다. 캐릭터 해석을 얼마나 열심히 하는지 알 수 있는 부분.

키티가 다시 안나를 만나 부르는 "대화, 그때 그것을 알았더라면" 넘버에서, 안나를 향한 키티의 감정이 분노에서 용서로 변해가는 과정을 잘 표현했다고 호평을 받았다. 상대 안나 역 배우가 누구냐에 따라 연기 방향이 다른 것도 포인트.
파일:졔키티.jpg

3.10.2. 패티

극 중 가장 중요한 넘버이자, "이 넘버 하나로 <안나 카레니나>를 볼 이유는 충분하다"는 "Oh My Love"를 부르는 성악가 역할. 단역이지만 임팩트가 엄청나다.

가녀린 이지혜가 파워풀한 패티의 노래를 소화할 수 있을지 반신반의했던 러시아 스태프들이, 이지혜가 보낸 녹음 파일을 듣고 바로 캐스팅을 결정했다.

키티 역할도 맡아서 그런지, 안나의 마음을 가장 잘 어루만져주는 듯한 패티라는 평을 받았다.
파일:이지혜_패티.jpg

3.11. 프랑켄슈타인

3.11.1. 줄리아

늘 해오던 "곱게 자란 부잣집 귀족 아가씨" 캐릭터였기 때문에 다들 당연히 잘 하리라 생각했고, 실제로도 잘했다. 너무 당연하게 받아들여져서 배우 입장에선 좀 억울하지 않았을까. 특히 "혼잣말" 넘버에선 목소리와 노래 실력은 물론, 천사같은 표정과 연기로 극찬을 받았다.
파일:다운로드2지혜.jpg

3.11.2. 까뜨린느

줄리아와 반대로 까뜨린느는 사람들이 걱정했던 역할이었다. 이지혜가 이제까지 해오던 캐릭터와 정반대의 인물인데다가 창법이 완전히 달랐기 때문.

하지만 "그곳에는" 넘버에서 평소대로 맑고 예쁘게 부르다가, "산다는 건" 넘버에서 거칠게 내질러서[26] 까뜨린느의 처절한 상황을 더 잘 표현했다는 평을 받았다.

특히 이지혜의 섬세한 디테일 연기가 빛을 발했다.
파일:졔까뜨.jpg

3.12. 기생충

단역이지만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분위기를 결정짓는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기에, 높은 경쟁률을 뚫고 캐스팅 되었다.

봉준호 감독은 이지혜 배우에게 출연 해당 장면에 사용할 음악을 추천해달라고 했고, 연주하는 악기가 첼로 뿐이라는 말을 들은 이지혜는 바로크 음악 몇 곡을 추천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지혜 배우는 영화 전체의 음악 분위기가 바로크인 줄 몰랐다고 한다.

봉준호 감독은 이지혜 배우의 추천곡 중 헨델의 오페라 <Rodelinda>의 아리아 "나의 사랑하는 이여!(Mio caro bene!)"를 골랐다.

영화 <기생충>이 아카데미 상을 받으면서, 이지혜는 아카데미 수상작으로 영화 데뷔를 한 셈.
파일:기생충이지혜.jpg

3.13. 귀환(앙코르)

2020년 6월 10일에 네이버에서 전막 생중계를 해줬지만 그게 마지막이었다.

코로나 19로 공연이 무기한 연기되었으나, 사실상 취소된 것이나 마찬가지.

팬들은 이지혜의 첫 한국인 역할을 기대하고 있었기에 더욱 안타까워 했다.
파일:귀환이지혜.jpg

3.14. 몬테크리스토

2020년 몬테크리스토 10주년 공연에 메르세데스 역으로 캐스팅 되었다.

2020년 몬테크리스토 10주년 공연에 이어 2023년 공연에 캐스팅 되었다.

비슷한 나이에 캐스팅된 이전 시즌 메르세데스 배우들이 있었으나, 어린 이미지 때문인지 중년 부인 역을 잘 해낼 수 있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었다.
파일:졔메르티져1.jpg

3.15. 파친코, 파친코 시즌 2

우리나라 최초의 오페라 가수인 윤심덕을 모티브로 한 듯한 역을 맡았다.

시즌1 4화에 등장하여, 강렬하고 깊은 울림을 줬다. 몰아치기 시작한 감정선의 시작을 알린 것으로 보인다.

헨델의 아리아 "울게하소서"와 춘향가의 "갈까부다"를 불렀는데, 성악곡과 판소리 모두를 섭렵한 그녀의 모습에 많은 사람들이 놀랐다.

파일:89f8f90e09eed1154a938be07f979dafb115d8a9.jpg

3.16. 엘리자벳

2022 엘리자벳 10주년 기념공연에 엘리자벳 역으로 캐스팅되었다.

파일:졔엘리.jpg

개막 전부터 많은 관심과 우려를 한몸에 받았다.
개막 초기에는 노래와 연기가 불안하고 선배인 옥주현의 엘리자벳과 스타일이 비슷하다는 평이 있었으나 뒤로 갈수록 안정적인 실력을 선보였고 자신만의 엘리자벳을 성공적으로 연기했으며 특히 1막의 어린 엘리자벳이 잘 어울린다는 평을 받았다.
그동안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온 진성의 발전부터 첫 타이틀롤, 평소 배우 자신이 꿈꿔왔던 엘리자벳이라는 역할까지 여러모로 뜻깊은 뮤지컬이다.

3.17. 마리 앙투아네트

2024년 마리 앙투아네트 10주년 기념 공연에 마리 앙투아네트 역으로 캐스팅 됐다.

개막 후 큰 호평을 받고 있다. 엘리자벳 때보다 진성이 더 발전했으며, 2막에서 아이들을 뺏기는 연기나 오열하는 연기도 매우 처절하게 소화하면서 몰입도를 높였다.

한 인터뷰에 따르면, 부담감이 매우 큰 작품이었다고 한다. 공연을 할 때마다 본인이 단두대에 올라가는 것 같았다고 하니, 캐릭터 분석을 얼마나 열심히 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 실제로도 커리어의 정점을 찍었다는 평을 받을 정도로 완벽하게 소화했다.

4. 방송 출연

방송에도 몇 차례 모습을 드러냈다. (뉴스, 공연, 라디오 제외)

5. 여담

6. 둘러보기 틀

<rowcolor=#AD171D>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7px 0 0; min-height:calc(1.4em + 14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e11e2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rowcolor=#AD171D> 연도 지킬/하이드 루시 엠마
2004 류정한, 조승우 소냐, 최정원 김소현, 김아선
2004 앵콜 조승우, 서범석, 민영기 이영미, 소냐, 김선영 김소현
2006 류정한, 조승우 이영미, 김선영 이혜경
2006 일본 류정한, 조승우 이영미, 김선영 이혜경
2006 앵콜 류정한, 조승우, 김우형 정선아, 소냐 이혜경, 정명은
2008 류정한, 김우형, 홍광호 김선영, 소냐, 김수정 김소현, 임혜영
2010 류정한, 조승우, 김우형, 홍광호, 김준현 소냐, 김선영, 선민 김소현, 조정은, 최현주
2013 윤영석, 양준모 선민, 신의정 이지혜, 정명은
2014 류정한, 조승우, 박은태, 조성윤 소냐, 리사, 린아 조정은, 이지혜
2018 조승우, 홍광호, 박은태, 전동석, 민우혁 윤공주, 아이비, 해나 이정화, 민경아
2019 앵콜 전동석, 민우혁 윤공주, 아이비, 해나 이정화, 민경아
2021 류정한, 홍광호, 신성록, 박은태, 전동석, 카이 윤공주, 아이비, 선민, 정유지, 해나 조정은, 최수진, 민경아, 이지혜
2024 홍광호, 신성록, 최재림, 전동석, 김성철 윤공주, 아이비, 린아, 선민, 김환희 조정은, 최수진, 손지수, 이지혜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드라큘라(브로드웨이판 뮤지컬)|
파일:뮤지컬 드라큘라 영어 로고.png
]] 역대 참여 배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9em; letter-spacing:-.5px"
<rowcolor=#fff>
연도
드라큘라
미나 반 헬싱 루시 조나단
2014 초연
류정한, 김준수,
박은석 [언더스터디]
조정은, 정선아 양준모 이지혜 카이, 조성윤
2016 재연
김준수, 박은석 임혜영 강홍석 이예은 진태화
2020 삼연
류정한, 김준수, 전동석 조정은, 임혜영, 린지 손준호, 강태을 이예은, 김수연 이충주, 진태화
2021 사연
김준수, 전동석, 신성록 조정은, 임혜영, 박지연 선민, 이예은 조성윤, 백형훈
2023 10주년
임혜영, 정선아, 아이비 손준호, 박은석 이예은, 최서연 진태화, 임준혁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스위니 토드(뮤지컬)|
파일:스위니토드 한글 로고.png
]] 역대 참여 배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0.9em; letter-spacing: -0.5px"
<rowcolor=#e2dfda> 연도 스위니 토드 러빗 부인 터핀 판사 안소니 토비아스 조안나
2007 초연 류정한, 양준모 박해미, 홍지민 김봉환 임태경, 이동명 홍광호, 한지상 유에스더
2016 재연 조승우, 양준모 옥주현, 전미도 서영주 윤소호 문태유, 김성철 이지혜, 이지수
2019 삼연 조승우, 홍광호, 박은태 옥주현, 김지현, 린아 김도형, 서영주 임준혁 신주협, 신재범 최서연, 이지수
2022 사연 강필석, 신성록, 이규형 전미도, 김지현, 린아 김대종, 박인배 진태화, 노윤 윤은오, 윤석호 최서연, 류인아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9em; letter-spacing: -.5px"
연도 <rowcolor=#b48d40> 황후 엘리자벳 죽음 루케니 황제 프란츠 요제프 대공비 소피 황태자 루돌프
2012 초연 김선영, 옥주현 류정한, 송창의, 김준수 김수용, 최민철, 박은태 윤영석, 민영기 이소유, 이태원 김승대, 전동석, 이승현
2013 재연 옥주현, 김소현 김준수, 박효신, 전동석 이지훈, 박은태 민영기, 이광용 이소유 김이삭, 노지훈
2015 삼연 옥주현, 조정은 신성록, 최동욱, 전동석 김수용, 최민철, 이지훈 윤영석, 이상현 김순택, 우지원, 백형훈
2018 사연 옥주현, 김소현, 신영숙 김준수, 박형식, 정택운 이지훈, 강홍석, 박강현 민영기, 손준호 이소유, 이태원 윤소호, 최우혁
2022 10주년 옥주현, 이지혜 신성록, 김준수, 노민우, 이해준 이지훈, 강태을, 박은태 민영기, 길병민 임은영, 주아 진태화, 장윤석, 이석준
{{{#!wiki style="margin:0 0 4px"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연도 에드몬드 메르세데스 몬데고 빌포트 당글라스 파리아 루이자 알버트 발렌타인
2010 류정한, 엄기준, 신성록 옥주현, 차지연 최민철, 조휘 조순창 장대웅 이용근, 조원희 한지연 김승대, 전동석 이미경
2011 류정한, 엄기준, 신성록 옥주현, 최현주, 차지연 최민철, 강태을 조순창 김성민, 장대웅 김성기, 김장섭 김영주, 한지연 김대현, 전동석 이미경
2013 류정한[1], 엄기준, 임태경, 김승대 윤공주, 정재은 최민철, 조휘 조성지 장대웅 조원희, 박철호 백주희, 김상아 신현묵, 서은광 이정화
2016 류정한, 엄기준, 카이, 신성록 조정은, 린아 최민철, 이상현 조순창, 정동효 장대웅 조원희, 이종문 백주희, 난아 정택운, 임준혁, 박유겸 최서연, 한해빈, 민경아
2020 엄기준, 카이, 신성록 옥주현, 린아, 이지혜 최민철, 김준현, 강태을 최성원, 임별 이상준, 이한밀 이종문, 문성혁 김영주, 전수미 박준휘, 신재범 윤조, 임예진, 최지혜
2023[2] 이규형, 서인국, 고은성, 김성철 선민, 이지혜, 허혜진 최민철, 강태을 김성민, 우재하 이한밀, 김대호 김용수, 서범석 전수미, 박은미 이주순, 장윤석 성민재, 전민지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1] 특별출연[2] All New 몬테크리스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rowcolor=#d48540> 연도 빅터 프랑켄슈타인/자크 앙리 뒤프레/괴물 줄리아/까뜨린느 엘렌/에바 룽게/이고르 슈테판/페르난도
2014 유준상, 류정한, 이건명 박은태, 한지상 리사, 안시하 서지영, 안유진 김대종, 신재희(얼터) 이희정
2015 유준상, 전동석, 박건형 박은태, 한지상, 최우혁 안시하, 이지수 서지영, 이혜경 홍경수 이희정
2018 류정한, 전동석, 민우혁 박은태, 한지상, 카이, 박민성 안시하, 이지혜 서지영, 박혜나 김대종, 이정수 이희정
2021 민우혁, 전동석, 규현 박은태, 카이, 정택운 해나, 이봄소리 서지영, 김지우 김대종, 이정수 서현철, 이희정
2024 유준상, 신성록, 규현, 전동석 박은태, 카이, 이해준, 고은성 선민, 이지혜, 최지혜 전수미, 장은아, 김지우 김대종, 신재희 이희정, 문성혁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1] 수석 졸업[2] 줄여서 앙뚜라고 부른다.[3] 영상[4] 대표적으로 지킬 앤 하이드의 "기도하네" 넘버[5] 노래 더빙 한정.[6] 두 역 모두 맡아서 하루씩 번갈아가며 출연했다.[7] 키티, 패티와 달리 극 특성상 한 회차에서 모두 소화하는 1인 2역이었다.[8] 코로나19로 연기되면서 2020년 6월 10일에 V LIVE에서 전막 생중계, 2020년 9월 24일 ~ 9월 26일 유료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했다.[9] 2차 캐스팅[10] 이때부터 붙은 수식어가 꾀꼴꾀꼴[11] 영상[12] 예당 박쥐 사건[13] 실제로 조승우, 양준모와는 이후 <스위니 토드>에서 부녀지간으로 만났다.[14] MBC <토크 노마드 - 아낌없이 주도록> 2018년 11월 23일 방영분에서 언급[15] 배우마다 다르게 부르는 부분이다[16] 영상[17] 10주년 기념공연[18] 다른 이히들이 막심의 사랑으로 각성했다면, 이지혜 이히는 막심의 비밀로 얻은 권력으로 각성했다는 관객평이 있다.최종보스 '이히'설[19] 각성 전은 눈치 보는 이히, 각성 후는 눈치 안 보는 이히[20] 원작에서도 도둑놈이긴 하다.[21] <김예원의 볼륨을 높여요> 2017년 9월 11일 분[22] 신영숙 댄버스 부인 역, 정영주 반 호퍼 부인 역, 류수화 베아트리체 역 플루메트 밑에서 일하다가 미세스 팟의 남동생과 결혼했지만 옷장에게 갈굼당하는 벨의 이야기[23] 특히 류수화는 <미녀와 야수>에서도, <레베카>에서도 이지혜에게 "네 덕에 이 집이 밝아졌구나."는 뉘앙스의 말을 한다.[24] 영상[25] 보다 자세한 내용은 프랑켄슈타인 참고[26] 관객들이 이지혜의 목상태를 걱정했을 정도였다.[27] 특히나 베르테르와 공연 기간이 겹치는 바람에, 바로 전날 드레스 입고 "발하임은 낙원" 부르던 귀족 아가씨가 총 들고 싸우고 있으니...[28] 메르세데스 역은 이지혜의 장점인 성악 기반의 두성을 활용할 넘버가 없고 벨팅 사용이 필요한 배역이다.[29] 공교롭게도 메르세데스 역으로는 유이하게 성악과 출신에 성악 기반의 두성을 주로 사용하는 최현주 배우도 2011년 공연에서 메르세데스 역을 맡았었지만, 상당한 호불호가 갈렸었다.[30] 국악인 이봉근과 팝페라 가수 최성봉을 상대로 2승을 거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