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23:09:31

김수용(배우)

파일:후앤유이엔엠.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ef3f3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ARTIST
김수용 안유진 고창환 남승화
문진아 이찬렬
}}}}}}}}}}}} ||
김수용
Kim Soo-yong
파일:1976 김수용.jpg
<colbgcolor=#696969><colcolor=#fff> 출생 1976년 4월 28일 ([age(1976-04-28)]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80cm, 65kg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영화과 / 학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
종교 천주교 (세례명: 바오로)
데뷔 1983년 KBS 드라마 <세자매>
소속 후앤유이엔엠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다음 카페 아이콘.svg

1. 개요2. 주요 출연작3. 기타4. 둘러보기 틀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뮤지컬 배우. 딱 들으면 누구인지 알 수 있는 개성 있는 음색, 아역 배우로 데뷔한 이래 꾸준히 연기를 공부해 온 노련함, 그리고 티타늄 성대로 유명한 베테랑이다. 특히 짜릿한 고음부를 짱짱하게 소화해내는 가창력이 특징으로, 본인은 티타늄 성대는 헛소리라고 웃어넘기지만 이석준 등 동료 배우들은 부러움 반 질투 반으로 그렇게 부른다고. 사실 관계자들과 본인이 인정하는 뮤지컬 계 2대 엄살왕이 바로 류정한과 이 김수용이라고 한다(...).[1] 공연 전에 컨디션이 안 좋네 오늘 불안하네 한 다음 무대에 올라가서 언제 그랬냐는 듯 날뛴다고 해서 붙여진 별명. 본인은 몸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고, 컨디션이 더러운 날은 기도하는 마음으로 무대에 올라간다고 한다.

여담으로 토종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스러운 이목구비나 미묘하게 안으로 말리는 발음 때문에 관객들에게 저 외국인 배우 한국말 완전 잘하네 라는 소리를 듣는 경우가 허다하다. 게다가 조선시대 배경의 뮤지컬인 <푸른 눈 박연>에서는 기어이 서양인 역할을 맡기도

사실 김수용이란 배우를 아는 경우에도 이 사람이 MBC 1984년작 드라마 간난이에 출연했다는 걸 매칭시키는 경우가 드물다. "어? 간난이 동생 김수용이 그 뮤지컬 배우 김수용이었다고?" 하는 중장년층도 가끔 있을 정도. 참고로 주인공 간난이 역 배우는 김수이다. 이름이 닮아 친남매처럼 보이지만 사실 남남이라고. #기사

2. 주요 출연작

2.1. 드라마/시트콤

2.2. 영화

2.3. 뮤지컬

3. 기타

4. 둘러보기 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 .9em; word-break: keep-all"
<rowcolor=#F2E8C4> 연도 콰지모도 에스메랄다 그랭구와르 프롤로 페뷔스 클로팽 플뢰르 드 리스
2008
초연&앙코르
윤형렬, 김법래 오진영, 문혜원, 바다 김태훈, 박은태, 김수용, 박민성 류창우, 서범석, 김도형 김태형, 김성민, 최수형 문종원, 이정열, 임호준 곽선영, 김정현
2009
재연
윤형렬, 조순창 박은태, 김수용, 전동석 서범석, 서태화 박민성, 최수형, 김성민 문종원, 임호준
2013
삼연&앙코르
홍광호, 윤형렬 바다, 윤공주, 문혜원 마이클 리, 정동하, 전동석 민영기, 최민철 김성민, 박은석 문종원, 조휘 이정화, 안솔지
2016
사연&앙코르
홍광호, 케이윌, 문종원 윤공주, 린아, 전나영 마이클 리, 김다현, 정동하 서범석, 최민철 오종혁, 이충주 문종원, 박시원 김금나, 정다은
2018
오연
케이윌, 윤형렬 윤공주, 차지연, 정유지 마이클 리, 정동하, 최재림 서범석, 민영기, 최민철 최수형, 이충주, 고은성 박시원, 장지후 이지수, 이봄소리, 함연지
2024
육연
정성화, 양준모, 윤형렬 유리아, 정유지, 솔라 마이클 리, 이지훈, 노윤 이정열, 민영기, 최민철 박시원, 장지후, 김민철 김승대, 백형훈, 이재환 케이, 유주연, 최수현
같은 배우가 여러 번 참여하는 점을 감안하여 처음으로 참여한 시즌에만 다이렉트를 삽입합니다.
}}}}}}}}} ||


[1] 다만 김수용은 한 인터뷰에서 '난 진짜로 아팠는데 무대 올라가니까 희한하게 괜찮아진 거고 진짜 엄살왕은 정한이 형'이라고 억울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