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14:22:41

임별

임별
Lim Byeol
파일:임별 프로필 2.jpg
이름 임별 [1]
출생 1990년 4월 7일 ([age(1990-04-07)]세)
188.1cm[2]
학력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 학사)
데뷔 2015년 뮤지컬 '머더발라드'
소속사 네버엔딩플레이[3]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공식팬계정] [5]

1. 개요2. 활동3. 작품 활동
3.1. 뮤지컬3.2. 콘서트3.3. 방송3.4. 광고3.5. 라디오 / 라이브3.6. TMI
4.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뮤지컬 배우.

2015년 뮤지컬 머더발라드의 마이클 역으로 데뷔했다.[6] [7] [8] 감미롭고 무게감 있는 목소리를 가진 배우이며, 탄탄하고 힘 있는 저음으로 단체 넘버와 솔로 넘버에서 모두 매력적인 보이스와 가창력을 자랑한다.[9] 그리고 소품의 활용도가 높고 그 당시에 상대배우의 연기를 바로바로 흡수하여 디테일을 상황에 맞게 연기를 할 정도로 순발력이 좋은 배우이다.

팬들 사이에서 주로 불리는 별명은 임스타[10]. 맡은 배역의 경우 배역명 앞에 '별'을 붙여 별태준, 별피에르, 별류지 등으로 불린다.

2. 활동

<머더발라드>, <곤 투모로우>, <너를 위한 글자>, <팬레터>, <마리퀴리>, <몬테크리스토>, <박열>, <아가사>,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등의 작품에 참여하여 다양한 작품 경험을 쌓고 있다. 재연 이후에 참여한 작품의 경우 이전 시즌에 연기했던 배우들의 캐릭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것이 아닌 본인의 해석력[11]과 가창력으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이름을 알리기도 했다.

임별 본인만의 해석력과 가창력에 대한 좋은 예로 <마리퀴리>의 피에르 퀴리 역이 있다. 배우 본인의 다정함을 연기에 더해 마리 퀴리라는 한 사람의 배우자와, 연구를 함께하는 동료로서의 모습을 완벽하게 표현해냈다는 평을 받았다. 피에르 퀴리 역으로 많은 팬들에게 이름을 알렸으며, 이후 같은 해 돌아온 재연에서도 피에르 퀴리 역으로 이름을 올렸다.

2018년 뮤지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주연을 뽑는 뮤지컬 오디션 프로그램 '캐스팅 콜'에 출연해 남자 최종 2위를 했다.[12] 링크

2020년 몬테크리스토 10주년 기념 공연 오디션에 합격하여 빌포트로 참여하게 되었다.

2023년 - 2024년에 했던 <마리퀴리> 1월 20일에 피에르퀴리로 100회 공연을 하였다.

2023년 바톤콘서트로 배우 인생 첫 콘서트[13]에 참여했다. 고정 곡은 나르치스와 골드문트(뮤지컬)의 <마리아>, 범옹(뮤지컬)의 <선택>, 아르토, 고흐의 <생의 마지막 장에서> 였으며 스페셜 곡으로는 곤 투모로우의 <모순>, 너를 위한 글자의 <그녀 Part2>, 범옹(뮤지컬)의 <나비>, 가수 김동률씨의 <다시 사랑한다 말할까>와 <옛 얘기지만>을 불렀다. [14]

3. 작품 활동

3.1. 뮤지컬

연도 제목 배역 비고
2015 머더발라드 마이클 [15]
2015 ~ 2016 머더발라드 마이클 [16]
2016 곤 투모로우 이완 총리 초연
2018 너를 위한 글자 안토니오 [17] [18]
씨유어게인 스테이션 매니저 [19]
2019 아서 새빌의 범죄 헤르빈켈코프 [20] [21]
너를 위한 글자 도미니코 [22]
2019 ~ 2020 팬레터 이태준
2020 마리 퀴리 피에르 퀴리
마리 퀴리 피에르 퀴리 [23]
2020 ~ 2021 몬테크리스토 빌포트
2021 박열 류지
아가사 아치볼드
던컨 이사도라의 남자들[24] [25]
2021 ~2022 팬레터 이태준
2022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나르치스
소현 인조 [26]
범옹 신숙주
이프/덴 스티븐 초연
2023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나르치스
아르토, 고흐 박사
곤 투모로우 이완
2023 ~ 2024 마리 퀴리 피에르 퀴리
2024 섬:1933~2019 목소리들

3.2. 콘서트

연도 제목 비고
2024 바톤콘서트 [27]

3.3. 방송

연도 제목 방송사 비고
2017 팬텀싱어 2 JTBC [28]
2018 캐스팅 콜 MBC MUSIC [29] [30] [31]

3.4. 광고

2017년 티몬 광고(문제 될 시 삭제)
클라우드
컴투스 프로 야구 2018 TV CF
바디프랜드(2분 30초부터)

3.5. 라디오 / 라이브

3.6. TMI

4. 여담


[1] 태어나기 전에 이름은 임한별이었다 하지만 어머니께서 흔하다며 임별로 바꾸셨다고 한다.[2] 187cm로 알고 있었으나 건강검진 결과 188.1cm로 나와 20대때 키가 클 수 있나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3] 2022년 범옹(뮤지컬) 프로그램북과 9회차 증정 혜택 포토북에 수록[공식팬계정] 배우 본인은 SNS를 하지 않는다고 한다.[5] 현재 말하기로는 팬계정이 운영된 이래로 많은 가장 많은 사진을 찍고 있다고 하였다.[6] 데뷔일은 8월 15일.[7] 처음에 팬이 데뷔일을 물어봤을 때 본인의 데뷔일을 모른다고 대답했다고 한다.[8] 그때당시 26살이란 나이에 아이의 아버지를 연기하기위해 수염을 길렀다고 한다.[9] 저음이지만 합창에서 존재감이 센 편이다.[10] 동료 배우들 또한 그를 임스타라고 부르기도 한다고... 그러면 서치 방지는 뭘로 하나요 배우님[11] 본인 자체도 디테일이 적은 편이 아니고, 상대의 애드립/디테일을 기억해 뒀다가 그에 맞춰 자신의 대사/행동을 조정하는 것에 강하다.[12] 당시 여자 2위는 배우 김수연이었으며, 이후 2019년 뮤지컬 팬레터에서 히카루와 이태준으로 재회하였다.[13] 이때 처음 본 배우 심수영에게 찡찡이형이라고 불리었다.[14] 원래 선정되었던 곡은 팬레터(뮤지컬)의 <해진의 편지> 를 부를 예정이었다고 한다.[15] 데뷔작[16] 앵콜 공연[17] 리딩 공연[18] 파일:1540891413445.jpg[19] 파일:임별 씨유어게인.png[20] 쇼케이스 공연으로 관계자들만 모여 극을 올렸다.[21] 파일:15522832411545.jpg[22] 정식 초연에서 배역명이 안토니오에서 도미니코로 변경되었다[23] 재연[24] 1인 다역[25] 리딩 공연[26] 고궁 뮤지컬[27] 처음 참여하는 콘서트[28] 최종예선까지 올랐다.[29] 남자배우 중 2등을 차지하였다.[30] 캐스팅콜에 나오는 것을 하루에게만 알렸다.[31] Reflection (두 도시 이야기(뮤지컬)), 내일로 (레 미제라블(뮤지컬)), 아름다운 세상(알라딘(뮤지컬)), 그 말(With.최지이)(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뮤지컬)), 그녀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뮤지컬)) 를 불렀다.[32] 아주 어릴 적 바다의 우유라는 부모님 말에 굴을 처음 먹어봤는데 당시 우유맛이 안나서 실망한 나머지 안먹는다고 한다.[33] 생물과학을 좋아해서 이과로 갔다.[34] 새벽에 일하고 나머지 시간을 잘 활용할 수 있어서[35] 그리기를 좋아했었고 경기도 내에서 상도 탔었지만 지금은 그릴 줄 모른다고 한다.[36] 양궁을 하면 빵을 준다길래 시작했다가 졸업쯤 양궁부 있는 중학교가 집이랑 거리가 멀어서 자연스럽게 멀어졌다고 한다.[37] 먹는 걸 좋아하고 여행 갈 때 그곳만의 음식을 먹어야 여행 온 느낌이 든다고 한다.[38] 우동, 라면 메밀을 즐겨먹는다고 한다.[39] 어린이날 이벤트로 임스타그램에 업로드된 에피소드이다.[40] 집으로 데리고 오기위해 가족들에게 하루 사진을 보여주며 설득하였다고 한다.[41] 첫 공연과 마지막 공연 커튼콜 때 눈물을 흘린 일이 많다고 한다.[42] 배우들이 인스타 안하는 임스타라고 태그를 종종 달고는 한다.[43] 글을 올리는 것을 부끄러워하며 라이브 방송또한 카메라가 돌면 도망치기 바쁘다.[44] 예전에 SNS를 했을 때는 글을 올린 뒤 10분 뒤에 삭제했을 정도이며 카메라가 무섭다며 피할 수 있을 때까지는 피할 것이라고 한다. NOooooo..[45] 현재는 알없는 안경을 안쓰며 시력은 1.0 0.7이라고 한다.[46] 퀴리+키링+star(별)[47] 커튼콜이나 퇴근길 등에서 90도(이상) 인사를 하곤 한다.[48] 공식 팬 계정이 생긴 후로 인생 최대의 셀카를 찍고 있다. 팬 계정으로 팬들과의 소통이 늘어나면서 셀카 실력 또한 월등히 좋아졌다고.[49] 자주 오는 때에는 월요요정이라고 불릴 정도로 월요일에 깜짝 번개를 많이 하였다고 한다.[50] 선물방이라는 시스템이 있을 당시에는 팬들을 위해 사진과 편지를 자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