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7대 기전 | 기성전(대) · 명인전 · 왕좌전 · 천원전 · 혼인보전 · 기성전(소) · 십단전 | |
| 종합 기전 | 아함동산배 · 용성전 · NHK배 | ||
| 제한 기전 | 그랜드 챔피언전 · 왕관전 · SGW배 · 관서기원 제1위결정전 | ||
| 신인 기전 | 신인왕전 · 약리전 · 오카게배 · 이베로재팬배 | ||
| 여자 기전 | 여류혼인보전 · 여류명인전 · 여류기성전 · 아이즈중앙병원배 · 센코배 | ||
| 리그전 | 트라이컵 · 일본여자바둑리그 |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폐지 기전 | |||
- 주최: 일본기원
- 후원: 마이니치 신문, 교토 신문.
- 특별협찬: 아함종(阿含宗)[2]
- 대회방식: 본선 16명에 의한 토너먼트(전기 우승자+타이틀 보유자+예선 통과자). 결승전은 단판승부.
- 상금: 우승 1000만엔
- 제한 시간: 토너먼트 각자 2시간, 결승전 각자 1시간 30분. 1분 초읽기 1회.
- 계가: 일본룰, 덤 6집 반[3]
- 일본기원 홈페이지의 대회 소개
1. 개요
일본의 바둑 기전. 1994년에 창설되었다.2025년 대회를 끝으로 중지가 될 예정이다.
2. 역사
일본의 국내 바둑 기전 중에서 프로와 아마추어가 대전할 수 있는 유일한 오픈 기전이다.[4] 2011년에는 아마추어 기사인 김성진[5]과 하성봉, 2013~14년에는 당시 아마추어 기사였던 홍석의[6]가 출전한 경력이 있다.1994년 1회 대회부터 1998년 5회 대회까지는 대회 이름이 아콤배였으나, 1999년 6회 대회부터 현재의 아함동산배로 대회 이름이 변경되었다.
대회 우승자는 중국 아함동산배 우승자와 단판 승부를 겨룬다.
2.1. 역대 우승자
| 역대 결승 기록[7] | ||||
| 회차 | 연도 | 우승 | 준우승 | 비고 |
| 1회 | 1994년 | 왕리청 九단 | 조치훈 九단 | 5회 대회까지 아콤배라는 이름으로 개최 |
| 2회 | 1995년 | 가토 마사오 九단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
| 3회 | 1996년 | 가토 마사오 九단 | 요다 노리모토 九단 | |
| 4회 | 1997년 | 요다 노리모토 九단 | 가토 마사오 九단 | |
| 5회 | 1998년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조치훈 九단 | |
| 6회 | 1999년 | 고바야시 고이치 九단 | 다카오 신지 六단 | 아함동산배로 이름 변경 |
| 7회 | 2000년 | 조선진 九단 | 조치훈 九단 | |
| 8회 | 2001년 | 조선진 九단 | 왕리청 九단 | |
| 9회 | 2002년 | 조치훈 九단 | 장쉬 七단 | |
| 10회 | 2003년 | 가토 마사오 九단 | 장쉬 九단 | |
| 11회 | 2004년 | 하네 나오키 九단 | 고바야시 고이치 九단 | |
| 12회 | 2005년 | 이야마 유타 四단[A] | 고바야시 사토루 九단 | |
| 13회 | 2006년 | 장쉬 九단 | 하네 나오키 九단 | |
| 14회 | 2007년 | 장쉬 九단 | 조치훈 九단 | |
| 15회 | 2008년 | 장쉬 九단 | 다카나시 세이켄 八단 | |
| 16회 | 2009년 | 하네 나오키 九단 | 장쉬 九단 | |
| 17회 | 2010년 | 야마시타 게이고 九단 | 조치훈 九단 | |
| 18회 | 2011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야마시타 게이고 九단 | |
| 19회 | 2012년 | 장쉬 九단 | 린쯔위안 七단 | |
| 20회 | 2013년 | 무라카와 다이스케 七단 | 시다 다쓰야 六단 | |
| 21회 | 2014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고노 린 九단 | |
| 22회 | 2015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쉬자위안 三단 | |
| 23회 | 2016년 | 고노 린 九단 | 조치훈 九단 | |
| 24회 | 2017년 | 무쓰우라 유타 三단[A] | 다카오 신지 九단 | |
| 25회 | 2018년 | 이치리키 료 八단 | 시바노 도라마루 七단 | |
| 26회 | 2019년 | 장쉬 九단 | 이치리키 료 八단 | |
| 27회 | 2020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야마시타 게이고 九단 | |
| 28회 | 2021년 | 쉬자위안 九단 | 이야마 유타 九단 | |
| 29회 | 2022년 | 히라타 도모야 七단 | 이야마 유타 九단 | |
| 30회 | 2023년 | 이치리키 료 九단 | 이야마 유타 九단 | |
| 31회 | 2024년 | 이치리키 료 九단 |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 |
| 32회 | 2025년 | 이치리키 료 九단 | 시바노 도라마루 九단 | |
3. 일・중 아함동산배
3.1. 역대 우승자
| 역대 결승 기록[10][11] | ||||
| 회차 | 연도 | 일본 | 중국 | 비고 |
| 1회 | 1999년 | 고바야시 고이치 九단 | 마샤오춘 九단 | |
| 2회 | 2000년 | 조선진 九단 | 저우허양 八단 | |
| 3회 | 2001년 | 조선진 九단 | 류징 八단 | |
| 4회 | 2002년 | 조치훈 九단 | 위빈 九단 | |
| 5회 | 2003년 | 가토 마사오 九단 | 구리 七단 | |
| 6회 | 2004년 | 하네 나오키 九단 | 저우허양 九단 | |
| 7회 | 2005년 | 이야마 유타 七단 | 구리 七단 | |
| 8회 | 2006년 | 장쉬 九단 | 류싱 七단 | |
| 9회 | 2007년 | 장쉬 九단 | 류싱 七단 | |
| 10회 | 2008년 | 장쉬 九단 | 구리 九단 | |
| 11회 | 2009년 | 하네 나오키 九단 | 쑨텅위 四단 | |
| 12회 | 2010년 | 야마시타 게이고 九단 | 추쥔 八단 | |
| 13회 | 2011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파오원야오 九단 | |
| 14회 | 2012년 | 장쉬 九단 | 구리 九단 | |
| 15회 | 2013년 | 무라카와 다이스케 七단 | 롄샤오 四단 | |
| 16회 | 2014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커제 四단 | |
| 17회 | 2015년 | 이야마 유타 九단 | 황윈쑹 四단 | |
| 18회 | 2016년 | 고노 린 九단 | 커제 九단 | |
| 19회 | 2017년 | 무쓰우라 유타 七단 | 퉈자시 九단 | |
| 20회 | 2018년 | 이치리키 료 八단 | 구쯔하오 九단 | |
| 21회 | 2019년 | 장쉬 九단 | 판팅위 九단 | |
| 22회 | 2021년 | 쉬자위안 九단 | 구쯔하오 九단 | |
| 23회 | 2022년 | 히라타 도모야 七단 | 리친청 九단 | |
| 24회 | 2023년 | 이치리키 료 九단 | 양딩신 九단 | |
| 25회 | 2024년 | 이치리키 료 九단 | 천쯔젠 八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