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428A0><tablebgcolor=#1428A0> | 삼성전자 대표이사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69 ~ 1970 정상희 | ||
1970 ~ 1972 조용달 | |||
1972 ~ 1973 조우동 | |||
1973 ~ 1982 강진구 | |||
1982 강진구, 정재은 | |||
1982 ~ 1986 정재은 | |||
1986 ~ 1987 정재은, 한형수 | |||
1987 ~ 1988 안시환 | |||
1988 ~ 1989 강진구, 안시환 | |||
1989 ~ 1990 강진구, 김광호, 정용문 | |||
1990 ~ 1991 강진구, 김광호, 황선두, 윤종용, 김영수, 정용문 | |||
1991 ~ 1992 강진구, 김광호, 윤종용, 김영수, 정용문 | |||
1992 ~ 1993 강진구, 김광호 | |||
1993 ~ 1995 강진구, 김광호, 이윤우 | |||
1995 ~ 1996 강진구, 이해민, 김광호, 이윤우 | |||
1996 ~ 1997 강진구, 이해민, 윤종용, 이윤우 | |||
1997 강진구, 문병대, 진대제, 송용로, 이해민, 윤종용, 박희준, 이윤우 | |||
1997 ~ 1998 강진구, 문병대, 진대제, 송용로, 윤종용, 박희준, 이윤우 | |||
1998 문병대, 진대제, 송용로, 이학수, 윤종용, 이건희, 박희준, 이윤우 | |||
1998 ~ 1999 문병대, 진대제, 윤종용, 이학수, 이건희, 박희준, 이윤우 | |||
1999 문병대, 진대제, 윤종용, 이건희, 이윤우, 이학수 | |||
1999 ~ 2001 윤종용, 이건희, 이기태, 이상현, 이상완, 이윤우, 이학수, 임형규, 진대제, 최도석, 한용외, 황창규 | |||
2001 ~ 2003 윤종용, 이건희, 진대제, 이윤우, 이학수, 최도석 | |||
2003 윤종용, 이건희, 이윤우, 이학수, 최도석 | |||
2003 ~ 2004 윤종용, 이건희, 이윤우, 이학수, 최도석 | |||
2004 ~ 2008 윤종용, 이건희, 이학수, 최도석 | |||
2008 윤종용, 이윤우, 최도석 | |||
2008 ~ 2009 이윤우, 최도석 | |||
2009 이윤우 | |||
2009 ~ 2010 이윤우, 최지성 | |||
2010 ~ 2012 최지성 | |||
2012 ~ 2015 권오현 | |||
2015 ~ 2018 신종균, 윤부근, 권오현 | |||
2018 ~ 2022 고동진, 김현석, 김기남 | |||
2022 ~ 2024 한종희, 경계현 | |||
2024 ~ 현재 한종희 | |||
삼성의 총수 · 삼성의 경영진 · 삼성전자의 회장 · 삼성전자의 대표이사 · 삼성전자의 인물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1428A0><tablebgcolor=#1428A0><tablealign=center> | 삼성전자의 인물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428A0" | 경계현 | 고동진 | 고정욱 | 권오현 | 권혁빈 | 김광석 | 김기남 | 김수목 | 김영기 | 김재명 | 김제리 | 김종기 | 김종민 | 김준성 | 김현석 | 김현종 | 김훈 | 노태문 | 량멍쑹 | 마크 리퍼트 | 문용석 | 박상권 | 박종천 | 신종균 | 심수옥 | 쓰쓰미 히로유키 | 안지홍 | 양향자 | 엄대현 | 원기찬 | 윤부근 | 윤종용 | 이건희 | 이근면 | 이기태 | 이병철 | 이상훈 | 이수빈 | 이영희 | 이인용 | 이재용 | 이학수 | 임형규 | 장동훈 | 정광열 | 정상희 | 정은승 | 정준명 | 정재은 | 정현호 | 정형돈 | 정호준 | 진대제 | 최윤호 | 최지성 | 최진균 | 한정민 | 한종희 | 한진우 | 홍종기 | 황창규 | |||
삼성의 총수 · 삼성의 경영진 · 삼성전자의 회장 · 삼성전자의 대표이사 · 삼성전자의 인물 |
<colbgcolor=#034ea2><colcolor=#ffffff> 삼성전자 고문 신종균 申宗均 | Shin Jong-kyun | |
출생 | 1956년 1월 16일 ([age(1956-01-16)]세)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본관 | 평산 신씨[1] |
직업 | 기업인 |
현직 | 삼성전자 고문 |
학력 |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졸업) 인하공업전문대학 (전자계산학 / 전문학사) 광운대학교 전자공과대학[2] (응용전자공학[3] / 학사) |
[clearfix]
1. 개요
2. 상세
2.1. 업무 스타일 및 평가
‘조용한 CEO’로 통한다. 평소 자기 주장이 강하지 않고 한발 뒤로 빠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꼼꼼한 일 처리만큼은 양보하지 않는다. 휴가도 가지 않고 업무의 3분의 1 이상을 해외 출장으로 보낸다. 삼성전자 휴대폰사업부의 한 엔지니어는 “삼성전자가 애플을 빠르게 추격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신종균 사장 특유의 꼼꼼함과 성실함이 있었다”면서 “신종균 사장이 강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을 주도하지 않았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라 말했다.최지성 전 삼성전자 부회장과의 관계도 각별하다. 신종균 부회장은 무선사업부 개발실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최 전 부회장을 도와 삼성의 휴대폰 1등을 견인했다.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최 전 부회장과는 업무 스타일에서도 서로 잘 통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제품 기술에 대해서 개발자보다 더 많이 알아야만 직성이 풀리는 성격 때문에 끊임없이 연구에 매진해 왔다. 오죽하면 삼성 내에선 신종균 사장보다 휴대전화에 대해서 더 잘 아는 사람이 없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어려운 기술 용어도 척척, 구체적인 명령을 내려 부하 직원들의 시행착오를 줄인 것이 업무 효율을 높인 것은 덤.
섬세함의 신이라 불릴 만큼 하나부터 열까지 모든 업무를 직접 챙기는 것은 기본이고 출시일이 코앞에 다가온 제품도 최고의 수준이 아니면 원점으로 돌이키는 완벽주의 성향으로 알려졌다. 또한, 집념과 끈기의 대명사다. 그의 집념을 바로 말해주는 일화는 많다.
1984년 삼성전자 입사 전까지 외국인과 한 번도 대화하지 못한 영어 초보자였으나 이후 독학으로 세계 각지에서 온 기자단 앞에서 신제품 발표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 있는 수준까지 실력을 끌어올린 일화는 유명하다. 젊은 시절 잠 한숨 안 자고 무려 72시간 동안 제품 개발에 몰두해 모두를 놀라게 하였으며, 1993년 삼성전자가 처음 정보통신 부문을 만들어 본격적인 해외 영업을 시작했을 당시 각국의 통신회사를 누비며 담당자를 찾아가 읍소했던 일은 지금도 전설처럼 회자되고 있다.
2009년 애플 쇼크로 업계가 요동쳤을 때 그해 9월부터 2010년 4월까지 갤럭시 S를 만들어내는 일에 온 힘을 다했다. 1만 건이 넘는 소비자 사용 행태를 모두 분석하고 프로그램 하나하나를 직접 구동시켰다는 후문이다. 잠도 자지 않고 주말도 없이 일에만 매진했다고 한다.
2.2. 이력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인하공전 전자계산학과를 거쳐 광운대학교 응용전자공학과에 편입, 졸업했다. 1981년 에코전자에 입사하여 4개월간 근무하다가 당시 새롭게 부흥하던 맥슨전자로 이직하여 4년간 개발업무를 맡았다. 그러던 중 1984년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R&D 부문에 스카웃된다.이후 이기태 전 부회장과 최지성 사장 밑에서 연구개발에 주력하면서 무선사업 부문에서 재능을 발휘하여 세계 최초 컬러폰을 개발했고, 이후 제작하는 휴대폰들도 성과를 인정받아 초고속으로 승진하게 된다. 그리고 2009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사장으로 취임해서 삼성 갤럭시 브랜드를 만들어 노키아를 꺾고 삼성전자를 세계 정상급의 IT 기업으로 성장시킨다.
CEO가 된 이후 삼성전자를 모든 분야에서 1등을 하는 것을 추구하던 방식에서, 다른 회사와의 협력을 통해 완성도를 높이고 글로벌 협업체계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완전히 바꿔버린다. 그 성과가 바로 구글과 제휴하여 만든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갤럭시 S다.[4]
마케팅 분야에서도 자질을 보였는데 기존의 난삽한 제품 코드에 의한 네이밍을 재분류하고 애니콜 브랜드를 폐지한 후 전 세계 모든 삼성 스마트폰의 브랜드를 갤럭시로 통일했다.[5] 또한 소리를 마케팅으로 활용하여 전설적인 브랜드 음악인 Over the Horizon 작곡을 지시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에도 공을 들여 터치위즈를 내놓았다.
엔지니어로서 탁월한 분석력과 추진력을 갖춰, 모두가 반대할 때, 나 홀로 유럽 시장에 최적화된 휴대폰을 개발했고 그 결과, 유럽 시장에서만 960만대를 팔아치웠다고 한다. 또, '갤럭시 노트'라는 제품군을 통해 기존 스마트폰 시장을 분화시키며 새로운 카테고리의 제품을 선보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5년에는 삼성 언팩에서 구수한 된장 발음으로 대굴욕을 겪기도 했지만 흠좀무한 명언을 남겼으니......하단 항목 참조.
2015년 12월 본인이 겸직하고 있던 무선사업부 사장 자리를 고동진 사장에게 넘겨주면서 최일선에서 물러나 'IM 부문장'만을 맡게 되었다.
2017년 11월 2일 2018 정기 사장단 인사에서 인재개발 담당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삼성전자의 우수 인재 발굴과 양성을 지휘할 예정이다. 대표이사 자리는 2018년 3월 15일까지 맡기로 했다. 이후 삼성전자의 고문으로 있으면서 원로급 인사가 되었다.
2.3. 주요 경력
- (2020년 1월 ~ 현재) 삼성전자 고문
- (2018년 3월 ~ 2020년 1월) 삼성전자 인재개발 담당 부회장
- (2017년 11월 ~ 2018년 3월) 삼성전자 인재개발 담당 대표이사 부회장
- (2015년 12월 ~ 2017년 11월) 삼성전자 IM부문장 · 대표이사 사장
- (2013년 3월 ~ 2015년 11월) 삼성전자 IM부문장 · 무선사업부장 · 대표이사 사장
- (2011년 12월 ~ 2013년 3월) 삼성전자 IM부문장 · 무선사업부장 · 사장
- (2009년 12월 ~ 2011년 12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 사장
- (2009년 01월 ~ 2009년 12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 · 부사장
- (2006년 1월 ~ 2009년 1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실장
- (2004년 1월 ~ 2006년 1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팀장
- (1996년 1월 ~ 2004년 1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그룹장
- (1993년 12월 ~ 1995년 12월)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무선기술연구그룹장
- (1993년 2월 ~ 1993년 12월) 삼성종합기술원 T-PROJECT실장
- (1986년 11월 ~ 1993년 2월) 삼성종합기술원 정보3실 부실장
- (1984년 12월 ~ 1986년 11월) 삼성전자 연구3실
- (1981년 7월 ~ 1984년 11월) 맥슨전자 개발부
- (1981년 2월 ~ 1981년 6월) ECHO전자 전산기획
2.4. 수상
- (2013) 제 1회 한국 신뢰성 제조업 부문 대상
- (2013) 금탑 산업훈장
- (2012) 제57회 정보통신의 날 정보통신대상
- (2012) 글로벌 품질경영인 대상
- (2012) 한국경제를 움직이는 인물 글로벌경영부분
2.5. 삼성 갤럭시 언팩 2015에서의 명언
갤럭시 S6를 공개한 삼성 갤럭시 언팩 2015에서 다음과 같은 명언을 남겼다.[6]"I may not be the best public speaker, that's because my first language is engineering."
저는 최고의 발표자는 아닐 수 있습니다. 제 모국어는 공학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최고의 발표자는 아닐 수 있습니다. 제 모국어는 공학이기 때문입니다.
이 연설은 해외에서 전자회사 CEO가 한 최고의 명언 중 하나로 손꼽히고 있다. 오죽하면 삼성에 비관적인 기사를 자주 작성하기로 유명한 더버지에서도 인정했을 정도이다.
3. 주변 인물
3.1. 삼성전자
3.1.1. 최지성
그를 인정해주는 선임이다. 공식석상에서 직접 '모바일의 신'이라는 말을 해 줄 정도로, 무선사업부의 업무에서의 전문성을 인정했다. 2009년에 IM부문 사장직을 인수인계받았다.3.1.2. 고동진
IM부문 사장직을 인수인계했다.3.1.3. 이돈주
이돈주 전 사장은 전략마케팅팀을 이끌며 사실상 삼성전자의 마케팅 총괄이었다. 신종균 사장과 같은 사장직으로서 아래에 서술 된 이영희 부사장과 같이 삼성 갤럭시의 브랜드 마케팅을 성공시키는데에 일조했다. 2014년에는 신종균 사장이 잠시 전면에서 뒤로 물러나면서 신종균 사장의 뒤를 이을 차기 IM부문 사장 후보로 여겨졌으나, 2014년 12월 4일, 이돈주 전 사장이 돌연 사퇴해서 다시금 신종균 사장이 IM부문 사장직을 이어가게 되었다.3.1.4. 이영희
신종균 사장의 야심작이었던 갤럭시 S와 삼성 갤럭시라는 브랜드를 성공시켰던 마케팅 조력자이다. 갤럭시 S에 그치지 않고, 이후 삼성 갤럭시의 브랜드 마케팅을 성공시키면서 적절한 마케팅 수완으로 도왔다. 삼성 언팩을 시작하기 전, 미국에서 마케팅회사에 근무한 경력을 살려서 신종균 사장의 스피치 발음에도 도움을 주었으며, 출장길에 동행한 것을 보면, 각자의 전문분야에서 서로의 부족한 점을 보완해주고, 그것으로 시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최고의 업무 파트너 중 한 사람이다.3.1.5. 노태문
신종균 사장이 갤럭시 노트4가 공개 된 삼성 언팩 2014 에피소드2가 끝난 이후, 삼성 디지털 시티에 모여서 갤럭시 S6 | S6 edge를 개발할 때 모든 것을 바꾼다는 원칙을 정하자마자 제로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의미의 프로젝트 제로라는 이름을 붙일 아이디어를 낸 것을 보면, 업무중에 신종균 사장의 의도를 정확히 읽어내서 결과를 만들어내는 직원으로 추측된다.3.1.6. 이인종
삼성 Knox와 삼성 페이 등 삼성전자에서 다소 낮설거나 처음 시도해보는 계획의 기획안을 제출 한 사람이다. 사내에서 이인종 전 부사장의 계획에 대한 의문과 반대가 많았음에도, 신종균 사장은, 고동진 사장과 더불어 그를 신뢰해주었고, 이로인해 삼성 갤럭시의 킬러 콘텐츠를 만들어낼 수 있었다.3.2. 오큘러스
3.2.1. 존 카맥
기어 VR 개발에 협력했다.4. 기타
삼성전자 서초 사옥 앞에서 열린 ‘삼성그룹 추석맞이 직거래 장터’서 임직원들에게 직접 사과를 팔았다고 한다.매우 긴 역사를 가진 광운대학교에서 조차 단연 넘버원 레전드라고 한다. 해당 학과 학생들 대부분이 신종균 사장을 롤 모델로 삼고 있으며, 학과 내에서는 신과 같은 존재이다.
묘하게 좋지 않은 의미로 삼성 갤럭시의 얼굴마담이 되는 경우가 잦았다. 좋은 기사에는 십중팔구 이재용폰 등의 어구가 실리고 실적 하락에는 신종균폰이라는 말이 나오는 식... 그래서인지 이것과 관련된 글의 댓글에는 구원투수가 등판했다는 등의 드립이 흥했다.
갤럭시 S6 엣지 출시 당시 기자들 앞에서 골드 플래티넘 색상을 가지고 싶었는데 물량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화이트 펄을 쓴다면서
북한의 최부일 사회안전상과 외모가 서로 닮았다고 한다.
5. 관련 문서
[1] 평산 신씨 32세손 '均'자 항렬. 항렬이 굉장히 높은 편이다.[2] 편입 후 졸업.[3] 이후 컴퓨터공학부로 개명, 현 컴퓨터공학과, 컴퓨터소프트웨어학과.[4] 물론 구글의 OS 업데이트에 맞춰 로드맵을 짜고 수정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이것이 당시 부족했던 삼성의 소프트웨어 역량을 메꿔줬고 결국 성공했다.[5] 물론 갤럭시가 아닌 것도 있지만 주력으로 판매하는 건 갤럭시 브랜드다. 삼성전자/브랜드 미 포함 미국 출시 스마트폰, 삼성 대기 시리즈, 삼성 영세기함 시리즈, 삼성 심계천하 시리즈 문서 참조[6] 동영상에 보이는 여성은 이영희 삼성전자 마케팅 담당 부사장이다. 로레알에서 마케팅 담당 임원으로 있다가 이기태 사장이 삼성전자에 스카우트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