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7-19 20:46:37

신장암

암의 종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발생 위치에 따른 종류
<colbgcolor=#C996C4><colcolor=#000,#fff> 간암 · 갈색세포종 · 고환암 · 골육종 · 기형종1
난소암 · 뇌종양(뇌하수체 종양 · 수모세포종 · 신경교종(교모세포종 · 뇌간 교종 · 성상세포종 · 역형성성상세포종))
담관암 · 담낭암 · 대장암(용종증 · 직장암 · 충수암ㆍ항문암) · 두경부암(구강암(구순암 · 설암 · 치은암 · 치종암 · 침샘암 · 편도암) · 갑상샘암 · 비강암 · 비암 · 인두암 · 후두암)
방광암 · 복막암 · 부신암 · 비장암
소장암(십이지장암) · 식도암 · 신장암(윌름즈 종양) · 심장암(심방점액종)
악성중피종2 · 안암(망막아종) · 요관암 · 요도암 · 외음부암 · 외이도암 · 위암 · 유방암 · 음경암
자궁경부암 · 자궁내막암 · 전립선암 · 종격동암 · 질암
췌장암 · 척추암
카포시육종
폐암 · 피부암
혈액암(다발성 골수종 · 림프종 · 백혈병 · 진성적혈구증가증) · 횡문근육종
진행에 따른 종류(고형암)
0기
암세포가 상피층에만 국한되어 있음(상피내암)
1기
암이 원발 부위에 국한됨
2기
암이 크기가 커지거나, 주변 조직에 부분 침윤 또는 국소 림프절 전이
3기
암이 주변 림프절에 전이되거나 주변 조직 깊이 침범
4기
암이 다른 장기로 퍼짐(원격 전이)
말기
4기암 중에서도 항암 치료에 반응이 없는 상태
[ 각주 ]
1. 미성숙 기형종 한정
2. 복막에 발생한 악성복막중피종의 경우 복막암으로 분류됨
}}}}}}}}}
신장암
腎臟癌 | renal cancer
<colbgcolor=#3c6,#272727> 국제질병분류기호
(ICD-10)
<colbgcolor=#fff,#191919>C64
진료과 비뇨의학과, 이식외과, 내과
관련 증상 무증상, 복통, 옆구리 통증, 혈뇨, 복부종괴촉진
관련 질병

1. 개요 및 위험인자2. 증상3. 진단 및 치료4. 병기
4.1. T 병기4.2. N 병기4.3. M 병기4.4. 병기 설정
5. 신장암으로 사망한 인물들6. 예후

1. 개요 및 위험인자

/ renal cancer

콩팥에서 발생하는 . 약 85% 이상의 신장암이 원발성의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이며, 다음으로 흔한 것은 요로상피세포암(urothelial carcinoma)[1]으로 콩팥깔때기(신우)에서 발생한다. 후자는 방광암의 분류와 동일한 이름이다. 이하 내용은 대개 신세포암에 관한 내용.

약 2%의 신장암에서 상염색체우성적질병인 폰 히펠-린다우(VHL) 증후군으로 인한 가족력이 보이게 된다.

확실한 원인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위험인자와 관련이 있다.

2. 증상

엄밀하게는 무증상이 가장 많으며, 만일 증상이 발생한다면 가장 흔히 알려진 신장암의 증상으로 혈뇨, 측부통(flank pain) 및 복부종괴의 촉진(palpable mass)의 동반이 있으나, 실제로 신장암 환자의 10% 이하에게서만 이 증상들이 모두 보인다. 혈뇨는 신장암의 가장 흔한 증상으로 약 70%의 환자에게서 보인다. 옆구리가 아픈 측부통은 약 50%의 환자에게서, 옆구리 또는 복부에서 덩어리가 만져지는 현상은 약 40%의 환자에게서 나타난다. 그 외에 모든 에서 공통적으로 보일 수 있는 체중저하가 있다. 20% 이상의 환자에서 부신생물증후군(paraneoplastic syndrome)을 보이며, 간기능 저하, 고칼슘혈증 등의 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 이는 내과적 치료로는 호전이 어려우며 신장암에 대한 치료 이후 호전된다.

림프절 전이는 거의 하지 않고, 혈행성 전이를 주로 한다. 즉 CT 복강내 림프절이 여럿 커져 있다거나 하면 신장암이 아닐 가능성을 생각해야 한다. 다만 조직학적 아형이 나쁘면 드물게 전이를 하기도 한다. 암은 신정맥(renal vein)이나 하대정맥(IVC)을 통해 혈행(hematogenous)하여, , , 등으로 전이될 수 있다. 전이로 발견되는 경우도 가끔씩 있는 편이다.

3. 진단 및 치료

진단은 신장 초음파검사(US) 종괴를 스크리닝하게 되고 그 후 CT를 통해 확진 및 병기를 정하게 된다. 필요 시 PET-CT 등을 통해 원격전이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도 있다.

치료는 고전적으로는 근치적 신장절제술(radical nephrectomy)을 시행하지만, 수술기법의 발달로 작은 종괴의 경우 부분 신장절제술(Partial nephrectomy)을 시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신세포암은 간세포암 등과 마찬가지로 정상과 종양의 경계가 잘 지어지는 축에 속하기 때문에 수술 방법만 받쳐준다면 초기엔 종양의 완전적출이 쉬운 축에 속한다. 종양이 형태가 나쁘거나 침범이 의심되는 경우 부신을 같이 적출할 수 있다.

4. 병기

2025년 현재, 신장암의 병기는 2017년에 새로 개정된 TNM 병기분류법에 의해 결정되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빨간색 볼드체4기로 5년 생존율은 10~20% 밖에 되지 않다.

4.1. T 병기

T는 tumor(종양)의 약자로, 종양이 해당 위치에서 얼마나 커졌는지를 본다.
병기 설명
T0 암의 증거가 없음. (즉, 암이 아님)
T1 신장내에 국한되어 있는 7cm 이하의 종양
  • T1a: 4cm 이하
  • T1b: 4cm초과∼7cm이하
T2 신장내에 국한되어 있는 7cm 초과의 종양
  • T2a: 7cm초과 ~ 10cm이하
  • T2b: 10cm초과
T3 주요 정맥이나 신주위조직을 침범하였으나 신주위근막을 넘지 않고 동측 부신까지 침범하지 않은 경우
  • T3a: 신정맥 또는 그 분지 침윤이 있거나, 신우, 신배, 신주위 지방이나 신문부 지방 침범이 있는 경우
  • T3b: 횡격막 하부의 하대정맥을 침범한 경우
  • T3c: 횡격막 상부 하대정맥 침범이 있거나 하대정맥벽의 침윤이 있는 경우
T4 동측 부신의 직접 침윤 또는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을 넘어 주위장기로의 침범이 있는 경우

4.2. N 병기

N은 lymph Node(림프절)에서 node(마디)의 앞글자로, 부위 림프절(regional lymph node)[3] 전이가 얼마나 있는지를 본다. 신장은 간암과 마찬가지로 전이가 있다, 없다로만 판단한다.
병기 설명
N0 부위 림프절 전이의 증거가 없음.
N1[4]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4.3. M 병기

병기 설명
M0 원격전이의 증거가 없음
M1 원격전이가 있음

4.4. 병기 설정

크게 I, II, III, IV 기로 나누고 흔히 말하는 1기, 2기, 3기, 4기가 이 I, II, III, IV를 말한다. M1인 순간 무조건 IV기이다.
병기 설명 상세 설명
I기 T1N0M0 신장 내에 국한되어 있는 직경 7cm 이하의 종양
II기 T2N0M0 신장 내에 국한되어 있는 직경 7cm 초과 종양
III기 T3N0M0, T1-3N1M0 주요 정맥이나 신 주위 조직을 침범하였으나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은 넘지 않은 경우, 국소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
IV기 T4, M1 동측 부신의 직접 침윤 또는 신주위근막(Gerota근막)을 넘어 주위 장기로의 침범이 있거나 원격 전이가 있는 경우

5. 신장암으로 사망한 인물들

6. 예후

대부분 심각한 예후를 남기는 신부전, 사구체신염등과 달리 초기인 1기에도 자각증상이 있어, 방광암과 마찬가지로 혈뇨와 같은 증상으로 조기 발견되는 경우나, 옆구리 통증으로 근육통, 신경통, 신우신염 등을 의심하고 병원에 갔다가 신장암이 발견되기도 한다. 실제로 1기 환자의 비율이 70%를 넘고 진행 속도가 느려서 전체 생존율도 2018~2022년 기준으로 87.3%로 위암, 대장암보다 10% 정도 높은 편이나 # 4기가 되면 5년 생존율이 20%로 크게 떨어진다. 여운계, 박주아전태관의 사인이기도 하다.
신장암 병기별 5년 생존율
1기 97%
2기 74~85%
3기 46~60%
4기 15~20%


[1] 구 이행상피암(transitional cell carcinoma). 다만 업데이트가 되기 어려운 과에서는 이행상피암(TCC)이라는 말도 여전히 많이 쓴다...[2] NSAID의 일종. 국내에선 1982년부터 사용이 금지되었고, 아세트아미노펜으로 대체되었다.[3] 위 주위의 림프절이라고 정의된 림프절군을 말한다.[4] 간암과 방광암과는 달리 신장암은 림프절 전이가 되었다고 해서 무조건 4기 판정을 받는 것은 아니다. 다만, T1~T3인 상태에서 림프절 전이가 발견되면 그래도 3기이지만, T4는 얄짤없이 4기 판정을 받는다. M1이면...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