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20:39:10

시크릿 가든(드라마)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2006~2010
파일:사랑과 야망 로고.png
(2006)
파일:게임의 여왕 로고.png
(2006~2007)
파일:사랑에 미치다 로고.png
(2007)
파일:푸른 물고기 로고.png
(2007)
파일:불량 커플 로고.png
(2007)
파일:칼잡이 오수정 로고.png
(2007)
파일:조강지처 클럽 로고.png
(2007~2008)
파일:가문의 영광 SBS 로고.png
(2008~2009)
파일:찬란한 유산 로고.png
(2009)
파일:스타일 SBS 로고.png
(2009)
파일:그대 웃어요 로고.png
(2009~2010)
파일:인생은 아름다워 로고.png
(2010)
파일:시크릿가든_logo.png
(2010~2011)
}}}}}}}}}}}} ||
SBS 주말 특별기획
릿
(2010~2011)
Secret Garden
파일:시크릿 가든 포스터.jpg
<colbgcolor=#1f466a><colcolor=#FFFFFF> 방송 시간 · / 오후 09:50 ~
방송 기간 2010년 11월 13일 ~ 2011년 1월 16일
방송 횟수 20부작
채널 SBS
장르 로맨틱 코미디, 미스터리, 판타지 로맨스
제작 화앤담픽쳐스
연출 신우철, 권혁찬
극본 김은숙
출연 하지원, 현빈, 윤상현, 김사랑
타이틀곡 '나타나' - 김범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음원
시청 등급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주제, 선정성, 폭력성, 모방위험)
스트리밍
[[Wavve|
Wavve
]]
#!if 링크 != null
[[https://www.wavve.com/player/S01_V0000347780|▶]]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wavve.com/player/|▶]]
#!if 주석2 != null
^^^^
|
차량 협찬 BMW 그룹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기획의도3. 포스터4. 특징5. 등장인물6. 시청률7. 평가8. 옥에 티9. 여담10. 둘러보기

1. 개요

<nopad> 파일:시크릿 가든.gif
무술감독을 꿈꾸는 스턴트 우먼 길라임
2010년 11월 13일부터 2011년 1월 16일까지 방송된 SBS주말 드라마.

작가는 김은숙, 연출은 신우철 PD로 파리의 연인, 프라하의 연인, 온에어, 시티홀을 쭉 같이 작업했던 팀이다.

2. 기획의도

{{{#!wiki style="padding: 2px; background: linear-gradient(155deg, #213830, #3E3F78, #4DAE93, #7ABE58, #3C5838)"
파일:시크릿 가든 기획의도.jpg
{{{#!wiki style="margin-bottom: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c1d1f>
로맨틱 코미디와 판타지가 만났을 때


파일:시크릿가든_logo.png 공식 홈페이지
}}}}}}

3. 포스터

<colcolor=#fff>
파일:시크릿 가든 포스터.jpg 포스터 1 파일:시크릿 가든 포스터2.jpg 포스터 2 파일:시크릿 가든 포스터3.jpg 포스터 3

4. 특징

싸가지 없는 부잣집 도련님과 스턴트맨으로 하루하루 간신히 살아가는 도시 빈민 아가씨의 연애라는 설정, 거기에 남녀의 영혼이 뒤바뀐다는 클리셰를 사용하였다.

그런데 남주인공과 여주인공의 몸이 바뀔 것을 예상하지 못한 드라마 시청자들에게 많은 멘붕을 안겨주었다. 당시 베플도 "뭐야?"였다. 흔한 신데렐라 이야기라도 사람이 멋있는 여주인공과 남주인공이 매우 현실적이란 점이 큰 특징. 작중 모티브조차 신데렐라가 아닌 새드엔딩의 대표주자인 인어공주일 정도다.

방영 전엔 그다지 기대받지 못하였으나, 막상 드라마가 방영을 시작하고 나서 남녀 할 것 없이 인기 대폭발. 2010년대 전국적 신드롬을 일으킨 드라마 중 하나[1]로 당당히 손꼽힐 정도로 흥행했다. 특히, 김주원길라임이 커피숍에서 카푸치노를 마시며, 말싸움을 하다가 입에 묻은 카푸치노의 거품을 닦아주는 거품키스가 유명해졌다.

사실 예전에 사용한 설정들을 가져다 쓴 줄거리가 뻔하기 짝이 없는 드라마지만, 이 드라마의 진짜 매력은 강조된 캐릭터와 그 캐릭터를 훌륭하게 살려내는 주연들의 연기다. 한국 드라마계에 만연한 막장 코드가 거의 없었고, 그 외에도 극한으로 감정이 치달아 폭발한 뒤 그 긴장을 다시 완화시켜주는 코미디의 배치 역시 일품.[2]

왠지 남녀가 몸이 바뀌고 나더니 주원과 오스카의 브로맨스스러운 연출이 있다. 인생은 아름다워(SBS)의 후속작이라 그런지도 모른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시크릿 가든(드라마)/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크릿 가든(드라마)/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시크릿 가든(드라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시청률

<rowcolor=#141416> 회차 방영일 닐슨 시청률(%)
<colbgcolor=#f5f5f5,#2d2f34> 1회 2010.11.13 17.2
2회 2010.11.14 14.8
3회 2010.11.20 18.2
4회 2010.11.21 21.5
5회 2010.11.27 23.6
6회 2010.11.28 20.9
7회 2010.12.04 22.2
8회 2010.12.05 22.3
9회 2010.12.11 24.7
10회 2010.12.12 25.1
11회 2010.12.18 23.7
12회 2010.12.19 24.7
13회 2010.12.25 22.1
14회 2010.12.26 24.1
15회 2011.01.01 26.6
16회 2011.01.02 26.9
17회 2011.01.08 28.1
18회 2011.01.09 30.6
19회 2011.01.15 33.0
20회 2011.01.16 35.2
[범례] 최저 시청률최고 시청률

7. 평가

8. 옥에 티

9. 여담

10. 둘러보기

파일:백상예술대상_로고.png
파일:구백예대 트로피.png
TV 부문 드라마 작품상
제46회
(2010년)
제47회
(2011년)
제48회
(2012년)
아이리스 시크릿 가든 해를 품은 달
김은숙 작품 목록
{{{#!wiki style="color:#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2e2e2
드라마
파일:태양의 남쪽 로고.png
(2003)
파일:파리의 연인 로고(흑).png
(2004)
파일:프라하의 연인 로고.png
(2005)
파일:연인 2006 SBS 로고.png
(2006~2007)
파일:온에어 로고.png
(2008)
파일:시티홀 로고(흑).png
(2009)
파일:시크릿가든_logo.png
(2010~2011)
파일:신사의 품격 로고.png
(2012)
파일:상속자들(드라마) 로고.png
(2013)
파일:태양의 후예 로고(B).png
(2016)
파일:도깨비 로고 (가로 버전).png
(2016~2017)
파일:미스터션샤인로고.png
(2018)
파일:더 킹 영원의 군주 로고.png
(2020)
파일:더 글로리_로고 블랙.png
(2022~2023)
파일:다 이루어질지니_로고.png
(2025)
영화
백만장자의 첫사랑
(2006)
사랑하니까, 괜찮아
(2006)
}}}}}}}}}}}}}}} ||

파일:화앤담픽쳐스 LOGO.png 제작 작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드라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연도 채널 제목 작가
2009년 파일:KBS 2TV 로고.svg파일:KBS 2TV 로고 화이트.svg 열혈 장사꾼 홍승현, 유병우, 김경회
2010년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시크릿 가든 김은숙
2011년 미쓰 아줌마 송정림
2012년 신사의 품격 김은숙
가족의 탄생 김영인 → 김순옥
2013년 상속자들 김은숙
2014년 청담동 스캔들 김지은
파일:라인TV 로고.png파일:라인 TV 화이트 로고.svg 좋은 날 이미나
2015년 파일:tvN 로고(2012-2021).svg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풍선껌
파일:스튜디오드래곤 로고 화이트 2016.svg 인수
2016년 파일:tvN 로고(2012-2021).svg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김은숙
2017년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브라보 마이 라이프 정지우
2018년 파일:tvN 로고(2012-2021).svg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미스터 션샤인 김은숙
2019년 검색어를 입력하세요 WWW 권도은
2020년 파일:SBS 텍스트 로고.svg파일:SBS 텍스트 로고 화이트.svg 더 킹 : 영원의 군주 김은숙
2021년 파일:tvN 로고(2012-2021).svg파일:tvN 로고(2012-2021) White.svg 너는 나의 봄 이미나
파일:TVING 로고(2020-2022).svg파일:TVING 로고(2020-2022) 화이트.svg 당신의 운명을 쓰고 있습니다 은선우
2022년 파일:tvN 로고.svg파일:tvN 로고 White.svg 스물다섯 스물하나 권도은
파일:넷플릭스 로고.svg파일:넷플릭스 로고 화이트.svg 더 글로리 파트1 김은숙
2023년 더 글로리 파트2
2025년 다 이루어질지니 }}}}}}}}}

[1] 별에서 온 그대, 태양의 후예, 도깨비, SKY 캐슬 정도. 그 중에서도 시크릿 가든은 대표작으로 꼽힌다.[2] 막장 코드가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김주원의 어머니인 문분홍이 길라임을 절대 반대하는 부분에 막장 코드가 꽤 있었다. 다만 길라임(으로 변한 김주원)이 "먹고 떨어져"라는 식으로 준 을 "얼마에요?", "혹시 달마다 주시는 건가요?"라면서 받아치는 장면이나 문분홍이 길라임에게 뿌리려던 물을 무심한듯 시크하게 피하는 장면 등을 통해 코미디화시키며 막장 코드를 희석시켰다. 그러나 이것은 만연해 있는 막장코드를 개그로 승화시킨 점이라 볼 수 있다.[3] 물론 같은 방송국의 과거 드라마 발리에서 생긴 일도 그런 측면이 없진 않으나 시크릿가든 만큼 노골적이진 않았다. 오히려 발리의 주인공 집은 집 외부 장면이 잘 안 나오는 것도 모자라, 인물의 성격을 보여주려 했는지 몰라도 재벌 2세의 집 기준으로는 너무 좁은 느낌으로 세트를 만들었다. 자세히 보면 여주인공에게 구해준 오피스텔이 남주인공 본인 집보다 내부가 더 넓다.[4] 시크릿 가든이 인기리에 방영될 때 다른 드라마 속 재벌가 주인공들과 김주원의 경제력을 비교하는 기사도 나왔는데 김주원은 하위권이었다.[5] 실제로도 그런 경우가 있긴 하니까.. 하지만 삼성가 후손들처럼, 드라마의 김주원보다 한술 더 떠 경기도 교외가 아니라 서울 한복판에 땅값이 강남보다 훨씬 비싼 용산구 한남동 이태원동 일대 한복판에 대저택을 짓고 사는 경우도 있다. 평창동이나 성북동 대저택들도 있고.[6] 크기도 하지만 매우 한적한 곳이라 인적 있는 곳으로 가려면 차로 가야할만큼 한참 걸리게 묘사된다.[7] 백화점이 아니면 재벌이 웬만큼 악독한 인간이라도 저런 상황을 연출하기 힘들다. 백화점은 개장전까지 외부인들을 전혀 못 들어오게 하고 각층을 비울 수밖에 없으므로 저런게 가능하다. 일반 대기업은 업종과 무관하게 외부인 출입이나 직원들의 출입을 특정시간에 100퍼센트 통제하도록 하기 매우 어렵다. 여러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는 대기업 특성상 외부인이 아예 안 오게 하는거 자체가 불가능하며, 억지로 그런 짓을 하면 거래처 상대 업무에 큰 지장만 주기 때문. 외부인들 많은 상황에서 인사시킬 수는 있겠지만 이 드라마 장면처럼 외부인 아무도 없는데 혼자 인사 받는 것처럼 강력한 집중효과가 전혀 안 나타난다. 게다가 이 드라마가 나온 이후에 온라인 언론은 절정으로 발달했고, 스마트폰이 완전히 대중화되었고, 몰카 수준의 소형 영상 녹화 기기도 엄청나게 발달하고 대중화되었기에, 지금은 직원이 몰래 녹화했다가 퇴직하면서 온라인이나 언론에 뿌려 버려서 갑질논란을 쉽게 만들 수도 있으므로 백화점도 하기 힘들다. 실제로 2020년대에 중소기업에서 사장이나 전무급 간부가 저런 짓을 했다가 갑질과 괴롭힘 당한 직원들이 녹화해서 퇴직 후 실제 제보를 하여 언론에 나온 적도 몇번 있다.[8] 김주원이 이걸로 자신을 보러 오면서 아무런 설렘이나 준비도 없었다면서 대차게 깠다.[9] 설령 같은 시간대가 아니었다고 쳐도 오스카가 바래다 줬는지 물어볼 이유가 없다. 다만 17화에서 길라임도 알게되는 상황으로 보아 형식상 질문이었을수도 있다.[10] 전화기에 음성을 문자로 바꿔서 전송해주는 서비스를 쓰는 장면이 자주 나오니 오류는 아니긴 한데 다른 때는 요즘 스마트폰 음성인식 쓰듯이 화면과 버튼이 위로 오도록 들고 사용했다.[11] 해당 작품 외에도 제24 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에서는 SBS 자이언트, KBS 2TV 결혼해주세요, MBC 반짝반짝 빛나는이 최종 후보에 올랐으나 〈시크릿 가든〉과 똑같은 이유로 탈락했고 결국 제24 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은 수상작이 없었다.[12] 감수성에서의 '상처만'은 원곡에서 2키를 낮추고 속도도 느린데 반해, 타 방송에서는 원곡 그대로 삽입한다.[13] 드라마에서는 감정신에 주로 나온 음악이다.[14] 동기인 최기섭에게서 형은이보다도 드라마가 먼저냐, 연예인인데 행동 좀 조심하라는 훈계를 듣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