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21:42:33

수어지교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8000><tablebgcolor=#008000> 파일:Liu_Bei_Tang.jpg유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000><colcolor=#ece5b6> 생애 생애
평가 평가
가족 할아버지 유웅 · 아버지 유홍 · 아들 회제
기타 혈통 · 청두 유비혜릉 · 기타 창작물 · vs 조조쌍고검도원결의삼고초려수어지교삼영전여포
}}}}}}}}} ||
고사성어
물고기 어조사 사귈

1. 개요2. 유래3. 여담

[clearfix]

1. 개요

나에게 공명이 있는 것은 물고기에게 이 있는 것과 같소. 들은 다시 거론하지 않길 바라오.
- 유비(정사 삼국지)
물고기 같은 사이로 대단히 친밀한 사이를 뜻한다.

2. 유래

제갈량을 얻은 유비는 항상 제갈량과 같이 하여 식사를 할 때도 심지어 잠을 잘 때도 같은 방에서 잠을 청했다고 한다. 삼국지연의뿐 아니라 정사상으로도 나오는 사실인데 삼고초려 직후 관우, 장비가 이 일로 불평하자[1] 유비가 직접 내가 공명을 얻음은 물고기가 물을 만난 것과 같으니 그렇게 말하지 말라고 했고 두 사람은 이후 정말로 다시 그런 말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렇더라도 수십년을 거병 때부터 생사고락을 나눈 관우와 장비가 불쑥 나타나 끼어든 격인 아들뻘 제갈량에 대한 불만을 그렇게 쉽게 거둔다는 건 사서처럼 뚝딱 일어나지 않을 테니, 제갈량이 본인의 능력을 보여주며 경력을 쌓아 확실하게 입지를 다지는 한편 둘을 대할 때 굉장히 신중했으리라. 이후 제갈량이 관우를 염이라는 별명으로 부르고 관우 역시 제갈량에게 궁금한 것이 있으면 서신을 보내 묻기도 하고 제갈량이 아버지뻘인 그를 추켜세우자 주위에 자랑도 하는 등 사이가 괜찮았던 것 같다.[2]

상술된 예들에서 보듯이 의지할 데 없어 펄떡거리던 유비가 제갈량을 만나 살아난 셈이라 물 (水)는 제갈량, 물고기 (魚)는 유비로 해석하곤 한다. 애초 유비가 말한 수어지교 본래 의미가 이것이다. 물은 물고기를 찾지 않지만, 물고기는 물을 찾듯이 유비가 삼고초려를 하며 제갈량을 찾아가는 입장이였다.

3. 여담


[1] 유비 같은 최고 권력자의 암살을 막아야 하는 부하들 입장에서 평생을 같이 해온 아우들도 아니고 아직 신용도 할 수 없는 풋내기가 유비와 같이 잠을 청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었다. 먼 훗날 일본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카게무샤를 두고 한국사에서도 이러한 암살 방지 대책은 당연히 존재 했던 것을 생각하면 유비에게 충의를 가진 부하들이 유비에게 불만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다.[2] 정사에서 장비는 능력있는 사람은 우대하는 인물이니 성정이 강하고 직설적인 관우와 달리 제갈량의 능력을 확인하고서는 빠르게 수긍했을 것이다. 물론 관우도 인정할만한 사람은 인정하는 면모를 가졌다.[3] 태평어람 병부 4권 장수 하편 제갈량 병요 왈. 人之忠也, 猶魚之有淵. 魚失水則死, 人失忠則凶. 故良將守之, 志立而揚名.[4] 제위왕의 아들, 맹상군의 아버지 전영(田嬰). 설 땅을 분봉 받고 제나라의 실권을 쥔 사람이다.[5] 答曰:「君聞大魚乎? 網不能止, 繳不能絓也, 蕩而失水, 螻蟻得意焉. 今夫齊亦君之海也, 君長有齊, 奚以薛為? 君失齊, 雖隆薛城至於天猶無益也.[6] 너희 형제는 물과 고기처럼 화합하여 작위를 둘러싸고 다투지 마라. 만약 그렇지 못하면 반드시 이웃나라의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7]라고 하는 커다란 만두를 천하 사람들이 맛보게 하기 위해선, 그 누구도 먹어본 적이 없는 양념이 필요하다! 자넨 나의 양념이 되는 거야.”[8] 여담이지만 이 작품에서 유비는 제갈량과 첫만남에서 제갈량의 천하삼분 이야기를 듣고 천하는 만두처럼 쉽게 나눌 수 있는 게 아니라고 일갈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