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3 22:16:06

소벌도리

소벌공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사로 6촌 신라 6부 성씨 시조
알천 양산촌 급량부 이씨 알평
돌산 고허촌 사량부 최씨 소벌도리
취산 진지촌 본피부 정씨 지백호
무산 대수촌 점량부 손씨 구례마
금산 가리촌 한기부 배씨 지타
명활산 고야촌 습비부 설씨 호진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9px"
갈문왕
사요 갈문왕 허루 갈문왕 마제 갈문왕 일지 갈문왕
지소례 갈문왕 아도 갈문왕 세신 갈문왕 구도 갈문왕
이칠 갈문왕 내음 갈문왕 복승 갈문왕 만천 갈문왕
<rowcolor=#FBE673> 눌지 마립간 자비 마립간 소지 마립간 법흥왕
파호 갈문왕 습보 갈문왕 지도로 갈문왕
국왕 즉위
입종 갈문왕
<rowcolor=#FBE673> 진평왕 선덕여왕
진정 갈문왕 진안 갈문왕 문흥 갈문왕 음갈문왕
선덕여왕 국서
추존 국왕
은열왕 문열왕 감문왕 문의왕
장렬왕 장무왕 세조 태조 성한왕
문헌상 언급
문흥왕 흥무왕
비 왕족
개성왕 현성왕
신영왕 흥평왕 명덕왕 혜충왕
태자
익성왕 선강왕
태자 / 갈문왕
혜강왕 성덕왕
의공왕 혜성왕
진성여왕 국서
선성왕 흥렴왕
성무왕 성희왕 의흥왕 신흥왕
비정통 국왕
<rowcolor=#4a2d5b,#fff> 김인문
괴뢰왕
김헌창
장안왕
김범문
장안왕위 요구자
박언창
후사벌왕
}}}
{{{#!wiki style="margin: -29.5px -1px -11px"
문헌상 언급
이사지왕 낭자왕 각절왕
유탑왕 진솔왕 우류조부리지간
지고
}}}}}}}}}}}}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돌산 고허촌장
소벌도리 | 蘇伐都利
파일:소벌도리공기적비.jpg
경주시 탑동에 있는 소벌도리공기적비.
출생 연대 미상
고조선[1]
사망 연대 미상
사로국 돌산 고허촌
능묘 미상
재위기간 돌산 고허촌 촌장
기원전 69년[2][3] ~ 기원전 57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colcolor=#fbe673> 본관 신라계 최씨[4], (경주 소씨)[5]
소벌도리(蘇伐都利)
이명 소벌공(蘇伐公)[6]
직위 진한 사로국 돌산 고허촌 촌장 }}}}}}}}}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신라 건국기의 인물이자 개국공신. 최씨의 조상이다. 삼국유사에서는 소벌도리, 삼국사기에서는 소벌공(蘇伐公)으로 나온다.

2. 상세

사로국이 공식적으로 건국되기 전 경주시 지역의 6촌 중 돌산 고허촌(高墟村)의 촌장이었다. 훗날 신라 6부 중 사량부의 시조가 됐다. 이름의 '소벌'은 신라의 옛 이름인 서라벌과 같이 쇠벌을 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유사에서는 6촌 촌장이 될 사람들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하는데, 삼국사기에서는 6촌의 구성원이 고조선의 유민이라고 쓰고 있다. 학계에서는 이전에 멸망한 고조선 유민 세력들이 한반도 남부로 남하한 것으로 보고 있다. 준왕을 따르는 세력이 한반도 서남쪽으로 내려갔듯 동남쪽에도 유민 유입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사로 6촌의 촌장들 중 가장 나이가 많았던 것으로 전해져 온다.

박혁거세 탄생 설화에서는 소벌도리가 양산 밑의 나정에서 알에서 태어난 혁거세를 처음 발견하고 10살까지 집에서 양육하였다고 한다. 후에 다른 촌장들과 함께 혁거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어느 날 고허촌장 소벌공(혹은 소벌도리)이 양산 기슭을 바라보니 나정 곁의 숲 사이에 말 한 마리가 무릎을 꿇고 울고 있었다. 그래서 가 보니 갑자기 말은 보이지 않고 큰 알이 한개 있어 깨뜨려보니 한 아이가 나왔다. 소벌공은 그 아이를 데리고 와서 잘 길렀는데, 10여 세가 되자 유달리 숙성하였다. 6부 사람들은 그 아이의 출생이 신기했으므로 모두 우러러 받들어 왕으로 모셨다. 진한 사람들은 표주박을 박(朴)이라고 하였는데, 혁거세가 난 커다란 알의 모양이 표주박 같이 생겨서 성을 박으로 하였다.
《삼국사기》
그의 아들 최대벌리(崔大伐利) 혈통으로 25세손 최치원경주 최씨의 시조가 되고, 다른 아들 소해리(蘇解理)의 24대손 소경(알천)이 진주 소씨의 시조가 됐다고 한다. 다만 알천은 태종 무열왕의 형이라는 이야기도 있어서 다소 불확실하다.[7][8]

[1] 삼국사기 에서는 고조선의 유민, 삼국유사 에서는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되어있다.[2] 대략 양부로서 혁거세 거서간이 12세 때 까지 재위 하였다고 나와있다.[3] 촌장이니 만큼 재위보다도 왕이 어리니 양육을 해주었던 것에 가깝다.[4] 본관으론 해주, 전주, 경주, 강릉 등이 있다. 충주(중국 기원), 수성 최씨(본래 성 김씨)는 신라계 최씨에 포함되지 않는다.[5] 소씨의 시조인 알천이 소벌공의 후손이 정설일 경우.[6] 사기.[7] '소벌'을 '쇠벌'로 추정한다면, 소(蘇)·최(崔)는 김(金)과 '쇠'라는 의미를 공유한다는 뜻이니 이들이 근연관계일 수는 있다.[8] 경주 최씨 대종회에서는 소벌도리를 소씨의 조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