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일반 |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 우마무스메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
인게임 정보 |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목록)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 |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 ||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도주 시스터즈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 ||
기타 |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 사건 사고 | 원화가 트위터 논란 | 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 (전개(10월 이후)・간담회・환불 소송 사건) | 이병진 의원 망언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중문 표기 | 라이브 | }}}}}}}}} |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
| |
Seize the crowns . Seize glory. 자랑스러운 왕관을 잡는 것입니다. | |
St. Lite セントライト 세인트 라이트 | |
성우 | 노토 마미코 |
생일 | 4월 2일 |
신장 | - |
체중 | - |
쓰리사이즈 | - |
사상 최초의 클래식 삼관 우마무스메. 영국의 고명한 귀족 아래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자란 그녀는 일찍 자신의 사명을 자각. "레이스계에 자랑스러운 영관의 길을 만든다"를 훌륭하게 달성한 뒤 현역 생활을 1년 만에 은퇴했다. 현재는 고향에 은거해 레이스 사업을 지원중. |
[clearfix]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모티브는 동명의 경주마 세인트 라이트.2. 캐릭터 소개
3. 애플리케이션
3.1. 프로필
초기 해방 | |
캐치프레이즈 | - |
자기소개 | - |
직업 | - |
생일 | 4월 2일 |
3.2. 작중 행적
The Twinkle Legends 시나리오에서 하이세이코, 스피드 심볼리와 함께 이전 세대의 우마무스메로 등장한다.4. 기타
- 원본마가 1938년생으로, 세 여신을 제외한 모든 캐릭터의 모티브 중 가장 먼저 태어났다.
한편 원본마가 워낙 과거에 활동한데다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원본마의 자료가 다수 소실되어 실장 발표 당시 넷케이바 공식 X 계정이 처음으로 원본마의 사진을 게시하지 못하는 소소한 해프닝이 발생했다. *
- 본인의 이름을 딴 레이스가 인게임에 등장하는 최초의 우마무스메이다.[2]
- 영국 귀족의 자식으로 일본에서 활약했다는 설정이 있는데, 이는 원본마가 영국의 귀족이었던 휴고 허스트[3]의 소유마이자 일본에 처음으로 수입된 클래식 우승마 다이올라이트의 자마라는 점에서 따온 것이다. 모마인 플리펀시도 영국 출신. 현역 생활을 1년 만에 은퇴했다는 소개글 또한 압도적인 실력으로 인해 급격하게 무거워진 핸디캡 때문에[4] 어쩔 수 없이 은퇴했단 것을 그대로 고증한 것이다.
- 원색이 진하게 섞인 원본 승부복과는 달리, 보석에만 해당 색상을 반영한 옅은 의상이 되었는데 이는 세인트 라이트가 활약할 당시엔 컬러촬영이 발달하지 않은 시절이라 TV나 사진으로 봤을 땐 흰색으로 보였던 것을 반영한 것이다.
[1] 정확히는 세인트 라이트 기념이 센트라이트 기념으로 번역되었다. 원본마의 영문명이 St. Lite인데, 약칭을 사용하는 경우 '세인트'가 아닌 '선트'라고 읽는 경우도 가끔 존재해서 해당 번역 용례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2] 하야카와 타즈나의 원본마이며 세인트 라이트와 마찬가지로 본인의 이름을 딴 레이스가 존재하는 토키노 미노루의 경우, 인게임에선 교도통신배에 부제가 붙지 않도록 구현되었다. JRA 중상경주 중에서 특정 경주마의 이름을 딴 대회는 현재 세인트 라이트 기념과 교도통신배 외에 야요이상과 신잔 기념, 폐지된 경주를 포함하면 쿠모하타 기념, 카부토야마 기념이 있는데, 이중 신잔과 쿠모하타, 카부토야마는 실장 예정이 없고 딥 임팩트는 실장이 결정되었다가 라이선스 문제로 취소되었다.[3] 초대 허스트 남작(1st Baron Hirst).[4] 더비 우승 후부터 요즘 경주마라면 상상할 수 없는 60kg 이상의 부중을 가지고 뛰었으며, 은퇴의 계기가 되었던 제실어상전(현재의 텐노상 봄)에선 무려 72kg을 감당하란 부중이 나와 현역마 생활을 포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