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일본의 경주마}}}에 대한 내용은 [[세인트 라이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세인트 라이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세인트 라이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일본의 경주마: }}}[[세인트 라이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세인트 라이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세인트 라이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
<bgcolor=#e87f8d,#010101>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일반 |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
인게임 정보 |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목록)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 |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 | 리그 오브 히어로스 | ||
트레이너 기능 시험 | 레이싱 카니발 | 마스터즈 챌린지 | 먼슬리 매치 | 한정 미션 및 이벤트 | 상시 이벤트 | ||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 ||
기타 |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 |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축전 | 라이브 | 중문 표기 | ||
사건 사고 (원화가 트위터 논란・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이병진 의원 망언) |
||<table align=center><table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 ||
| |
Seize the crowns. Seize glory. 자랑스러운 왕관을 잡는 것입니다. | |
St. Lite セントライト 세인트 라이트 | |
성우 | 노토 마미코 |
생일 | 4월 2일 |
신장 | 158cm[X] |
체중 | - |
쓰리사이즈 | - |
사상 최초의 클래식 삼관 우마무스메. 영국의 고명한 귀족 아래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자란 그녀는 일찍 자신의 사명을 자각. "레이스계에 자랑스러운 영관의 길을 만든다"를 훌륭하게 달성한 뒤 현역 생활을 1년 만에 은퇴했다. 현재는 고향에 은거해 레이스 사업을 지원중. |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모티브는 동명의 경주마 세인트 라이트.2. 캐릭터 소개
3. 애플리케이션
3.1. 프로필
초기 해방 | |
캐치프레이즈 | 위업을 행하는 모습을 보여 준, 일본 최초의 3관 우마무스메 |
자기소개 | 세인트 라이트. 일본에서 처음으로 '3영관'을 손에 넣은 자로서 그대들에게 지혜와 축복을 내려 드리겠습니다. |
직업 | 후원자 |
생일 | 4월 2일 |
3.2. 작중 행적
Legends 시나리오에서 하이세이코, 스피드 심볼리와 함께 이전 세대의 우마무스메로 등장한다. 설정상 3관 달성 후 바로 은퇴한지라 1년밖에 활동하지 않은 전설의 우마무스메이며 부모님이 영국의 귀족이라는 소문이며 본인도 귀족으로 보인다. 그래서 드림 페스트 기획을 위해 일본에 왔을 때는 초고급 호텔을 아예 하나 사서 그곳을 거점으로 삼아서 활동하고 있다. 초대 3관마답게 서 있는 것만으로도 압도적인 분위기를 보여주며, 만나면 일단 도발하기 바쁜 젠틸돈나와 오르페브르가 세인트 라이트 앞에서는 얌전히 있을 정도의 카리스마를 보여준다. 그리고 외국 출신이라서 심볼리 크리스 에스처럼 영어를 섞어서 말하는데, 크리스 에스보다 영어를 사용하는 비중이 높은 편.3.3. 기타 정보
3.3.1. 비밀
세인트 라이트 |
세인트 라이트의 비밀 ① 사실은 발도술의 달인. |
4. 기타
- 원본마는 1938년생으로, 세 여신을 제외한 모든 말 중 가장 먼저 태어났다. 당연하게도 우마무스메 중에서 최연장자 취급을 받으며, 하야카와 타즈나를 "타즈나 짱"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2][3]
- 한국 서버에서 명칭이 '센트라이트'로 명명된 점 때문에,[4] 추후 한국 서버에 등장했을 때 세인트 라이트로 정정되거나 그대로 밀고 나가서 이 문서 제목이 센트라이트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5]
- 본인의 이름을 딴 레이스가 인게임에 등장한 최초의 우마무스메이다.[6]
- 영국 귀족의 자식으로 일본에서 활약했다는 설정이 있는데, 이는 원본마가 영국의 귀족이었던 휴고 허스트[7]의 소유마이자 일본에 처음으로 수입된 클래식 우승마 다이올라이트의 자마라는 점에서 따온 것이다. 모마인 플리펀시도 영국 출신. 현역 생활을 1년 만에 은퇴했다는 소개글 또한 압도적인 실력으로 인해 급격하게 무거워진 핸디캡 때문에[8] 어쩔 수 없이 은퇴했단 것을 그대로 고증한 것이다.
- 현역 시기가 여태껏 묘사된 바 없던 일본 제국 시절이다보니, 세인트 라이트를 주연으로 삼은 개그성 2차 창작과 괴문서도 그를 당시의 상식에 머물러 있는 인물로 간주하곤 한다. 음해성 주제로는 일본의 귀축영미 사상에 동조해 미국 출신 우마무스메들을 적대하거나 아예 다이와 스칼렛이나 사쿠라 커머스 소속 우마무스메를 필두로 하는 재일을 죽이려 드는 조센징 슬레이어 속성까지도 나온다. 반대로 카토 유사쿠 마주가 도쿄 대공습에서 폭사당한 비극을 반영해 사이렌 소리를 극도로 두려워하는 모습으로 묘사하기도 한다.
- 원색이 진하게 섞인 원본 승부복과는 달리, 보석에만 해당 색상을 반영한 옅은 의상이 되었는데 이는 세인트 라이트가 활약할 당시엔 컬러촬영이 발달하지 않은 시절이라 TV나 사진으로 봤을 땐 흰색으로 보였던 것을 반영한 것이다.
- 쓰리사이즈가 공개되진 않았지만 일러스트만 봐도 상당한 글래머 체형임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원본마가 현역시절 체중이 500kg이 넘고 체고(앞발바닥에서 목과 등의 경계까지의 길이) 역시 166cm나 되는 거구의 말이었음을 고증한 것으로 보인다.[9]
- 시나리오 스토리 중에서 세인트 라이트 옆에 일본도가 놓여진 그림 아래에 오르페브르와 젠틸돈나가 서 있는 장면이 나오기도 한다. 1940~1943년경의 5대 클래식 경주(사츠키상, 일본 더비, 국화상, 벚꽃상, 오크스)의 우승마 마주에게 보내는 포상 중 하나가 일본도인데, 해당 장면에 묘사된 일본도는 실제로 원본마가 제10 회 일본 유순(더비) 우승 기념으로 받은 일본도와 동일한 것이라고. 이런 설정을 반영하여 세인트 라이트의 비밀 ①에선 아예 발도술의 달인이라는 설정도 나온다.
- 세인트 라이트가 "소 쨩"이라는 애칭으로 부르는 우마무스메 전속 운전기사가 있는데, 이 인물은 단순 운전업무 외에도 세인트 라이트의 스케쥴 관리나 수발까지 담당하는 등 직책명만 운전기사지 사실상 수행비서의 역할까지 맡고 있으며, 고용주인 세인트 라이트와는 평소에도 허물없이 편하게 대화하는 등 단순 고용관계를 넘어선 매우 친밀한 사이로 묘사되고 있다.
이 운전기사의 모티브는 1941년 '마사 국방 헌금경주 나카야마 4세 암말 특별(현 오카상)' 우승마인 '브랜드 솔'로 추측되고 있다. 브랜드 솔은 세인트 라이트와 같은 1941년 클래식 세대에 같은 목장 출신, 같은 마주와 조교사 밑에 있었으며 둘 사이에도 자마를 3두를 보는 등 세인트 라이트와 깊은 인연을 가지고 있다. 애칭인 소 쨩은 '브랜드 솔'에서 따와서 지은것으로 추정되며, 또한 극중 운전기사의 이름이 바뀌었다는 뉘앙스의 대사도 나오는데 이는 브랜드 솔이 현역 은퇴후 번식암말로 전환될때 '골드 웨딩'으로 개명한 것(그래서 넷케이바에도 골드 웨딩으로 등록되어 있다.)을 고증한 것으로 보인다.
[X] 데이터마이닝을 통해 확인된 비공식 데이터.[2] 고증대로라면 세인트 라이트는 타즈나보다 10살 연상일 것이다.[3] 참고로 세인트 라이트와 토키노 미노루는 다나카 와이치로 조교사에게 훈련받은 인연이 있다.[4] 정확히는 세인트 라이트 기념이 센트라이트 기념으로 번역되었다. 원본마의 영문명이 St. Lite인데, 약칭을 사용하는 경우 '세인트'가 아닌 '선트'라고 읽는 경우도 가끔 존재해서 해당 번역 용례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5] 전자의 예로는 초기 번역명이 마르젠스키였던 마루젠스키, 메지로 아르단이었던 메지로 아르당 등이 있고, 후자의 예로는 유저들 사이에서 비르시나로 통용되었던 베르시나가 있다.[6] 하야카와 타즈나의 정체로 유력시되며, 본인의 이름이 경기 부제로 걸린 토키노 미노루는 교도통신배에 부제가 붙지 않도록 구현되었다. JRA 중상경주 중에서 특정 경주마의 이름을 딴 대회는 현재 세인트 라이트 기념과 교도통신배 외에 야요이상 딥 임팩트 기념과 신잔 기념, 폐지된 경주를 포함하면 쿠모하타 기념, 카부토야마 기념이 있는데, 이중 신잔과 쿠모하타, 카부토야마는 실장 예정이 없고 딥 임팩트는 실장이 결정되었다가 라이선스 문제로 취소되었다.[7] 초대 허스트 남작(1st Baron Hirst).[8] 더비 우승 후부터 요즘 경주마라면 상상할 수 없는 60kg 이상의 부중을 가지고 뛰었으며, 은퇴의 계기가 되었던 제실어상전<現 천황상 (봄)>에선 무려 72kg을 감당하란 부중이 나와 현역마 생활을 포기한 것이다. 텐포인트의 마지막 경기 때 부중이 66.5kg였던 걸 생각하면 말 그대로 살인적인 수준의 부중이였던 것.[9] 21세기인 현 경마계 기준으로도 이정도면 충분히 거구의 경주마로 분류되는데, 지금보다 경주마 평균체구가 훨씬 작았던 1940년대 당시엔 엄청나게 커다란 말로 평가되었다. 실제로 당시 일본 경주마의 체고는 164cm 미만으로 제한되었는데, 세인트 라이트는 체고 측정당시 일부러 앞발을 딛는 땅을 살짝 파서 겨우 기준을 맞췄다는 일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