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03:14:16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A-WEB 가입국 (2024년 기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아시아 (23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대한민국 파일:대만 국기.svg대만 파일:동티모르 국기.svg동티모르 파일:레바논 국기.svg레바논 파일:몰디브 국기.svg몰디브 파일:몽골 국기.svg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미얀마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방글라데시 파일:부탄 국기.svg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스리랑카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아프가니스탄 파일:예멘 국기.svg예멘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이라크 파일:인도 국기.svg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인도네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카자흐스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캄보디아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키르기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필리핀
오세아니아 (6개국)
파일:바누아투 국기.svg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사모아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솔로몬 제도 파일:통가 국기.svg통가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피지
유럽 (18개국)
파일:라트비아 국기.svg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루마니아 파일:몰도바 국기.svg몰도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벨라루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세르비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아르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알바니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조지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코소보 국기.svg코소보 파일:튀르키예 국기.svg튀르키예 파일:포르투갈 국기.svg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프랑스 파일:헝가리 국기.svg헝가리
아메리카 (25개국)
파일:가이아나 국기.svg가이아나 파일:과테말라 국기.svg과테말라 파일:니카라과 국기.svg니카라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도미니카 공화국 파일:멕시코 국기.svg멕시코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바하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베네수엘라 파일:볼리비아 국기.svg볼리비아 파일:브라질 국기.svg브라질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세인트루시아 파일:수리남 국기.svg수리남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아르헨티나 파일:아이티 국기.svg아이티 파일:에콰도르 국기.svg에콰도르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엘살바도르 파일:자메이카 국기.svg자메이카 파일:캐나다 국기.svg캐나다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코스타리카 파일:콜롬비아 국기.svg콜롬비아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트리니다드 토바고 파일:파나마 국기.svg파나마 파일:파라과이 국기.svg파라과이 파일:페루 국기.svg페루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푸에르토리코
아프리카 (36개국)
파일:가나 국기.svg가나 파일:가봉 국기.svg가봉 파일:감비아 국기.svg감비아 파일:기니 국기.svg기니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나이지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라이베리아 파일:레소토 국기.svg레소토 파일:르완다 국기.svg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말라위 파일:말리 국기.svg말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모리셔스 파일:모잠비크 국기.svg모잠비크 파일:베냉 국기.svg베냉 파일:부룬디 국기.svg부룬디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부르키나파소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상투메 프린시페 파일:세네갈 국기.svg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소말리아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시에라리온 파일:앙골라 국기.svg앙골라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이집트 파일:잠비아 국기.svg잠비아 파일:지부티 국기.svg지부티 파일:카메룬 국기.svg카메룬
파일:케냐 국기.svg케냐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콩고민주공화국 파일:탄자니아 국기.svg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튀니지


}}}}}}}}} ||

<colbgcolor=#113768><colcolor=white>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
<nopad> 파일:A-WEB-logo.png
<nopad>
설립 <colbgcolor=#fff> 2013년 10월 14일
본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인천광역시 연수구 아트센터대로 175 G타워 24층
유형 국제기구
위원장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Hernan Penagos Giraldo
부위원장 파일:필리핀 국기.svg Aimee Pecson Ferolino
사무총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인식
이메일 [email protected]
가입국 109개국[기준]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설립 배경3. 연혁4. 주요 기관
4.1. 조직4.2. 회원 자격
5. 가입 국가 및 단체
5.1. 아시아5.2. 오세아니아5.3. 유럽5.4. 아메리카5.5. 아프리카5.6. 파트너 기관
6. 사건 사고
6.1. 한국산 전자개표기 논란
6.1.1. 이라크6.1.2. 콩고민주공화국
7. 관련 기사8. 기타

[clearfix]

1. 개요

2. 설립 배경

3. 연혁

<colbgcolor=#113768><colcolor=white> 날짜 <colbgcolor=#ffffff> 연혁
11년 06월 ·A-WEB 설립에 대한 초기 제안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NEC)는 헝가리에서 열린 ACEEEO 20주년 기념 대회에서
신흥 민주주의 국가 민주적 선거의 구조적 지원과
확고한 정착을 위한 글로벌 협회 설립을 제안했습니다.
11년 10월 ·A-WEB 설립 결의안 채택
- 서울에서 열린 A-WEB 설립 포럼에서 A-WEB 설립 결의안 채택
12년 5월 ·제1차 실무그룹 회의(서울, 대한민국)
- 실무그룹은 A-WEB 비전 및 사명에 대한 합의에 도달
12년 9월 ·제2차 실무 그룹 회의(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실무 그룹은 A-WEB의 역할, 구성원, 구조 및 재정에 대한 합의에 도달했고
NEC는 총회 회의까지 사무국 기능을 제공하며 사무국을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13년 3월 ·제3차 실무그룹 회의(대한민국 제주)
- 실무그룹은 A-WEB 헌장에 관해 논의하고 합의에 도달했습니다.
13년 5월 ·A-WEB 사무국 입지 확보
-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G타워 24층에 사무국 설립
13년 10월 ·A-WEB 창립총회
- A-WEB 설립이 공식 발표 되었고 헌장이 승인되었습니다.
(의장, 부의장, 사무총장, 임원회 위원, 감독 및 감사 위원회 위원 선출), 제1차 임원회 회의
13년 11월 ·A-WEB 임시 사무소 설립 및 운영
14년 4월 ·송도에 A-WEB 사무국 출범 및 제2차 임원회 회의
14년 5월 ·첫 번째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
14년 8월 ·첫 번째 역량 강화 프로젝트
8월 18일부터 28일까지 6개국(케냐, 말리, 카자흐스탄, 벨로루시, 콜롬비아, 우즈베키스탄)의
18명의 선거 관리자가 이 세미나에 참여했습니다.
첫 번째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성공은 후속 역량 강화 프로그램으로 이어졌습니다.
15년 1월 ·KOICA와 양해각서 체결
15년 3월 ·IEBC와 양해각서 체결
- A-WEB는 케냐 공화국 독립 선거 및 경계 위원회와 협력하여
선거 관리에 있어 위원회의 전반적인 역량을 구축하기 시작했으며 제3차 임원회 회의가 있었음
15년 4월 ·CEC와 양해각서 체결했고 키르기스 공화국 중앙선거국민투표위원회(CEC)가
2015년 의회선거를 위한 기술적 준비를 지원하도록 합의했습니다.
15년 8월 ·제2차 총회 회의
16년 1월 ·ECES와 양해각서 체결
16년 2월 ·A-WEB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간 MOC 서명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몰디브EC 간 MOU 체결
·제4회 임원회 회의
16년 3월 ·대한민국의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
16년 4월 ·A-WEB와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간 MOC 서명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엘살바도르TSE 간 MOU 체결
·A-WEB와 인도네시아KPU 간 MOU 체결
16년 10월 ·A-WEB와 사모아OEC 간 MOU 체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BiH)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EVP)
17년 2월 ·A-WEB와 에콰도르CNE 간 MOU 체결(2017년 총선 및 2017년 2월 19일 국민투표 관찰 절차)
·A-WEB와 기니CENI, 아랍EMB, 아프가니스탄IEC, 이라크IHEC, 튀니지HIAE MOU 체결
·제5회 임원회 회의
·에콰도르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EVP)
17년 3월 ·A-WEB와 피지FEO 간 협의 기록 서명
17년 4월 ·2017 에콰도르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EVP)-대선 2차 투표
·선거 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17년 5월 ·선거 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에티오피아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A-WEB 사무국 선거 연구 투어
17년 7월 ·오페라 팝 테너 임형주, A-WEB 홍보대사 및 한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고문 위촉
·선거 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 유권자의 정보에 입각한 선택 지원
17년 8월 ·제3차 총회 회의
17년 10월 ·선거 ICT 역량 강화 프로그램
18년 2월 ·A-WEB와 에콰도르CNE 간 MOU 체결
·에콰도르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EVP)-국민투표
·스리랑카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EVP)-지방 자치 단체 선거
18년 3월 ·엘살바도르 선거 방문자 프로그램(EVP)-의회 및 지방 선거
·제6차 임원회 회의
18년 4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1기)
18년 5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2기)
18년 6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3기)
·헌장 개정에 관한 특별위원회의 시작 회의
·ICT 기반 선거관리 전문교육과정(1차)
18년 7월 ·ICT 기반 선거관리 전문교육과정(2기)
18년 8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4기)
·ICT 기반 선거관리 전문교육과정(3, 4차)
·A-WEB와 사모아OEC 간 협의 기록 서명
·A-WEB와 파푸아뉴기니 선거관리위원회(PNGEC) 간 논의 기록 서명
18년 9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5기)
·ICT 기반 선거관리 전문교육과정(5, 6차)
18년 10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6기)
·ICT 기반 선거관리 전문교육과정(7, 8차)
18년 11월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7기)
·사모아 OEC를 위한 선거 ICT 역량 강화 프로그램
·파푸아뉴기니 선거관리위원회를 위한 선거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19년 2월 ·제7회 임원회 회의
19년 3월 ·피지 선거 사무소 정보 보안 교육
·선거관리 역량강화 프로그램(1차)
19년 4월 ·선거 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A-WEB와 ANFREL 간 양해각서 체결
19년 5월 ·피지 선거 관리 사무소를 위한 정보 보안 집중 교육
19년 6월 ·선거 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19년 9월 ·제4차 총회 회의
19년 10월 ·선거 관리 역량 강화 프로그램
19년 11월 ·선거 관리자를 위한 IT 서비스 관리(ITSM) 교육
20년 1월 ·CEC 대만의 자발적 기부금 기부식
20년 6월 ·제8회 임원회 서면 회의
·A-WEB 사무국과 한국민주주의시민교육원(KOCEI) 간 MOU 체결
20년 11월 ·A-WEB 사무국과 국제의회연구센터(ICPS) 간 MOU 체결
21년 3월 ·제9회 임원회 서면 회의
21년 4월 ·A-WEB 사무국과 국제의원대회(IPC) 간 MOU 체결
22년 3월 ·제10차 임원회 서면 회의
22년 10월 ·제5차 총회 회의
23년 7월 ·제11회 임원회 회의
23년 10월 ·10주년 기념 글로벌 컨퍼런스
24년 3월 ·제12회 임원회 회의
24년 10월 ·제6차 총회 회의
*전체 내용은 A-WEB 홈페이지 연혁을 바탕으로 옮겼음.

4. 주요 기관

4.1. 조직

4.2. 회원 자격

회원은 매년 10,000달러의 연회비를 납부합니다. 각 회원은 자체 계정을 가지고 있으며 회원이 납부한 연회비는 개별적으로 관리됩니다.

5. 가입 국가 및 단체

5.1. 아시아

로고[6] 단체명[7] 설립일 가입일 직원/회원 수
아프가니스탄 독립선거관리위원회 2004년 2013년 7/0
아프가니스탄 독립 선거 불만 위원회 2005년 2019년 7/411
방글라데시 선거 관리 위원회 1956년 3월 23일 2013년 5/4,840
부탄 선거 관리 위원회 2006년 1월 16일 2013년 0/3
캄보디아 국가선거위원회 1997년 2019년 9/400
인도 선거 관리 위원회 1950년 1월 25일 2013년 0/3
인도네시아 총선거관리위원회 1999년 2013년 0/7
인도네시아 총선거감독청 2007년 2019년 0/5
이라크 독립 고위 선거 관리 위원회 2004년 2013년 0/9
카자흐스탄 공화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89년 2013년 0/7
키르기스스탄 중앙선거 및 ​​국민투표위원회 1991년 2013년 0/12
레바논 내무부 및 레바논 지방 자치부 1943년 2013년 /
몰디브 공화국 선거 관리 위원회 2008년 2013년 0/5
몽골 총선거관리위원회 1992년 2013년 /
미얀마 연방 선거 관리 위원회 2010년 2013년 위원 5명[8]/0
파키스탄 선거 관리 위원회 1956년 2013년 위원 5 /
팔레스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2년 2013년 /
필리핀 선거위원회 1940년 2013년 0/7
파일:중앙선거관리위원회 CI.svg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63년 1월 21일 2013년 0/9
스리랑카 선거관리위원회 2015년 2013년 0/3
대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80년 2013년 위원장1, 부위원장1, 위원9
태국 선거 관리 위원회 사무실 BE 2540 2013년 0/7
동티모르 국가선거위원회(CNE) 2007년 2013년 위원장1, 부위원장1, 서기1, 위원4
우즈베키스탄 공화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3년 21/0
예멘 선거 및 국민투표를 위한 최고위원회 2013년 10/0

5.2. 오세아니아

로고 단체명 설립일 가입일 직원/회원 수
피지 선거 사무소 2014년 2015년 100~200명
파푸아뉴기니 선거관리위원회 1975년 9월 16일 2017년 81~104명
사모아 선거 관리 위원회 사무실 2005년 2013년 /
솔로몬 제도 선거 관리 위원회 2020년 /
통가 선거 관리 위원회 2010년 2013년 위원3 상임직원5 투표관리자576
바누아투 선거 사무소 2013년 위원장1, 위원2

5.3. 유럽

로고 단체명 설립일 가입일 직원/회원 수
알바니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0년 2013년 /
아르메니아 공화국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 1991년 2023년 7/0
벨라루스 공화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89년 2013년 0/12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01년 2013년 0/7
불가리아 공화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3년 /
파일:프랑스 헌법위원회 로고.png 프랑스 헌법위원회 1958년 2013년 9/0
조지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0년 2013년 12/0
헝가리 국립선거관리소 /
코소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03년 2013년 51~200/
라트비아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2년 2013년 0/9
몰도바 공화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7년 2013년 0/9
폴란드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1991년 2013년 0/9
포르투갈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NE) 1978년 2013년 0/10
루마니아 상임 선거 관리 기관 2004년 2013년 3/0
러시아 연방 중앙선거관리위원회[9]] 1993년 2013년 292/15
세르비아 공화국 선거 관리 위원회 2013년 /
터키 공화국 최고 선거 위원회 1950년 2013년 0/11
우크라이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1997년 2019년 0/17

5.4. 아메리카

로고 단체명 설립일 가입일 직원/회원 수
아르헨티나 국가 선거 관리국(DINE) 2015년 /
바하마 의회 등록부 1992년 2013년 /
바베이도스 선거 및 경계 위원회 1976년 2013년 0/5
볼리비아 최고 선거 재판소(OEP) 2013년 /
브라질 고등선거법원(TSE) 1932년 2015년 0/7
캐나다 선거관리위원회 1920년 2013년 상임 임원500명, 직원235,000명
콜롬비아 공화국 국가 시민 등록부(RNEC) 1935년 2013년 1 등록자
콜롬비아 공화국 국가 선거 위원회(CNE) 1988년 2017년 0/9
코스타리카 최고 선거 법원(TSE) 1949년 2013년 판사3명 대리인3명
도미니카 선거 관리 사무소 1978년 2013년 0/6
도미니카 공화국 중앙 선거 관리 위원회(JCE) 1923년 2013년 0/5
도미니카 공화국 선거관리위원회(TSE) 2011년 2013년 선거관리위원 5명
에콰도르 국가 선거 위원회(CNE) 2008년 2013년 0/5
에콰도르 선거 분쟁 재판소(TCE) 2008년 2015년 6/
엘살바도르 최고선거재판소(TSE) 1991년 2013년 5
과테말라 최고선거재판소(TSE) 1910년&1983년년 2013년 판사5명, 대리인5명
가이아나 선거 관리 위원회 2007년 2013년 0/7
아이티 임시 선거 관리 위원회(CEP) 1987년 2013년 9/0
자메이카 선거 관리 위원회 2006년 2013년 4/
멕시코 국립 선거 관리 위원회(INE) 1990년 2013년 /
니카라과 최고 선거 위원회(CSE) 2013년 /
파나마 선거재판소(TE) 1956년 2013년 판사3명
파라과이 선거사법원 2015년 /
페루 선거 국가 배심원단(JNE) 2015년 /
페루의 신원 및 시민 신분 국가 등록부(RENIEC) 2017년 /
페루 선거 과정 국가 사무소(ONPE) 1993년 2023년 374/0
푸에르토리코 선거에 관한 주 위원회 1977년 2013년 /
세인트 루시아 선거 관리국 2013년 /
수리남 독립 선거 위원회 2013년 /
트리니다드 토바고 선거 및 경계 위원회 1976년 2013년 /
베네수엘라 국가 선거 위원회(CNE) 2013년 /

5.5. 아프리카

로고 단체명 설립일 가입일 직원/회원 수
앙골라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NE) 1992년 2013년 0/11
베냉 자치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ENA) 1995년 2013년 0/5
부르키나파소 독립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2001년 2013년 15
부룬디 독립국가선거위원회(CENI) 2005년 2013년 7
선거 카메룬 2006년 2013년 18
코트디부아르 독립선거위원회(CEI) 2001년 2013년 /
지부티 독립선거위원회(CENI) 2013년 7
DR콩고 독립선거위원회(CENI) 2005년 2013년 21
이집트 국가 선거 관리 기관 2017년 2013년 이사회 10
에티오피아 국가선거관리위원회 1985년 2013년 이사회 5
가봉 자치 및 상설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ENAP) 2013년 /
감비아 독립 선거 관리 위원회 1997년 2015년 5
가나 선거관리위원회 1993년 2013년 7
기니 독립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2007년 2013년 25
케냐 독립 선거 및 경계 위원회 2011년 2013년 위원7, CEO 1
레소토 독립 선거 관리 위원회 1992년 2022년 4
라이베리아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2021년 /
리비아 고위 국가 선거 위원회 2012년 1월 18일 2013년 /
마다가스카르 독립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ENI) 2010년 2013년 9
말라위 선거관리위원회 1994년 2013년 위원6인, 직원수 260명
말리 독립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ENI) 1997년 2013년 여,야,시민사회5명 총15명
말리 영토 공동체 총국 2011년 2013년 /
모리셔스 선거관리위원회 사무실 1958년 2019년 1/8
모잠비크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NE) 2013년 2013년 0/17
나이지리아 독립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1998년 2013년 0/13
르완다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2000년 2013년 /
상투메 프린시페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CEN) 2013년 /
세네갈 국가자치선거관리위원회(CENA) 1997년 2013년 /
시에라리온 정당 등록 위원회 2002년 2019년 4
시에라리온 선거관리위원회 2005년 2013년 5
소말리아 국립 독립 선거 관리 위원회 2015년 2017년 9
남아프리카 선거 관리 위원회(IEC) 1996년 2013년 5
남수단 국가선거관리위원회 2012년 2013년 /
탄자니아 잔지바르 선거관리위원회 1984년 2013년 /
탄자니아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1993년 2013년 7
토고 독립 국가 선거 관리 위원회 2000년 2013년 17
튀니지 선거를 위한 독립 고위 기관 2011년 2015년 /
우간다 선거 관리 위원회 1995년 2013년 /
잠비아 선거 관리 위원회 2016년 2013년 /

5.6. 파트너 기관

로고 단체명
파일:UNDP_logo.svg.png 유엔 개발 계획(UNDP)
파일:i-idea logo.png I-IDEA
파일:IFES Logo.png IFES
EIP
CDES
RECEF
EISA
파일:USAID-Identity.svg 미국 국제개발처(USAID)[10]
Democracy International
NDI
IRI
ACE
파일:KOICAlogo.png 한국국제협력단(KOICA)
The Asia Foundation
OAS
ECES
아시아선거기관협의회(AAEA)
유럽선거기관협의회(ACEEEO)

6. 사건 사고

6.1. 한국산 전자개표기 논란

6.1.1. 이라크


* 2018년 5월 12일 이라크에서는 총선이 있었고, 개표 결과가 나온 뒤 부정 선거 논란이 불거짐.
이 때문에 재검표를 하기로 한 상황에서 2018년 6월 10일 바그다드 내 투표함이 보관된 창고 4곳 중 한곳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화재가 발생했고 이라크 내 일부 정당은 방화 의혹을 제기하며 전면 재투표를 해야 한다고 주장한 상황. MBC뉴스

6.1.2. 콩고민주공화국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을 지낸 김용희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사무총장이 콩고민주공화국에 터치스크린투표시스템(TVS)를 수출하는 데 국내 특정업체를 부당하게 지원했다는 의혹이 커졌고, 2018년 10월 16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열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대한 국정 감사를 통해 밝혔다. 이날 국감장에는 김대년 前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당시 김민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김용희 사무총장에게 "DR콩고에 납품되도록 도움을 준적이 있냐"고 물었고 김 총장은 "소개해준적이 있다"고 답했다.
2018년 3월 중앙선관위는 콩고민주공화국에 한국의 특정업체가 터치스크린 투표기를 수출하도록 혜택을 준 혐의로 김용희 사무총장을 검찰에 수사 의뢰했고, 콩고민주공화국 시민단체 대표단은 문맹률이 높은 현지 사정상 전자투표기를 이용한 부정선거가 우려된다며 지난 8월 중앙선관위를 항의 방문했다.[13] [14]

7. 관련 기사

8. 기타




[기준] 2024년 기준[2]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총회 개최 Archived 2017년 4월 29일 - 웨이백 머신《한국경영뉴스》2015년 8월 21일 김영권 기자[3] 사전투표제, 세계선거기관협 관계자 이목 집중《인천일보》2014년 6월 1일 구자영·이미나 기자[4] '세계선거기관협의회' 초대의장 이인복 대법관《법률신문》2013년 11월 1일 좌영길 기자[5] ‘세계선거기관협의회’ 창설한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문상부《신동아》2013년 10월 23일 허만섭·박해윤 기자[6] 파일 정리 필요[7] A-WEB 대륙별 순서 적용[8] 회장이 임명[9] 현재 이용 불[10] 트럼프USAID 해체 추진으로 인해 아카이브 링크 첨부[11] 오마이뉴스 자료 첨부[12] 관련기사 연합뉴스[13] KBS 뉴스[14] SBS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