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131230><tablealign=center><tablebgcolor=#131230>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px -34px" | | | | |||
국무부 | 재무부 | 국방부 | ||||
육군부 | 해군부 | 공군부 | ||||
}}} {{{#!wiki style="margin: -5px -1px;" | | | | |||
법무부 | 내무부 | 농무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 | | | |||
상무부 | 노동부 | 보건사회복지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 | | | |||
주택도시개발부 | 운수부 | 에너지부 | ||||
}}}{{{#!wiki style="margin: -5px -1px;" | | | | |||
교육부 | 제대군인부 | 국토안보부 | ||||
}}}}}}}}}}}} |
<colcolor=#fff><colbgcolor=#003458> 미합중국 국제개발처 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 |
| |
국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설립일 | 1961년 11월 3일 ([age(1961-11-03)]주년) |
전신 | 국제협력청(ICA) |
상급기관 | 미국 국무부 |
처장 | 마코 루비오 (임시) |
주소 | 워싱턴 D.C. 로널드 레이건 빌딩 |
모토 | "From the American people" |
직원 수 | 10,235명(2016) |
예산 | 약 272억 달러(2016) |
|
[clearfix]
1. 개요
미국 국제개발처(United State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SAID)는 미국의 공적개발원조기구이자 국무부 산하 기관이다. 한국의 KOICA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하며, 주 업무는 저개발 국가 원조 및 재난 국가 긴급 구호활동 등이다. 해당 기관 명칭의 약자는 USAID인데, Aid가 "돕다, 원조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본 기관의 성격과 정확히 맞아떨어진다.비군사적 원조라는 원칙을 내세워, 전원 민간 공무원으로 구성되어 활동하고 있지만, 각종 인프라가 부족한 저개발국가에 대한 파견이 많은 만큼, 전세계에 파병되어있는 미군의 군수 수송시스템의 도움을 받기도 한다. 해외 긴급 원조를 위해 대규모 인력과 물자 수송이 필요할때는 십중팔구 미군의 C-17 수송기를 이용한다.#
2. 역사
USAID는 미국 의회에 의해 1961년 9월 4일 통과된 해외지원법(Foreign Assistance Act)을 계기로 창설되었다. 해당 법은 미국의 해외원조 시스템을 개편하고,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기관의 창설을 명시한 법으로써, 이 법에 대한 후속조치로 존 F. 케네디 대통령은 행정명령을 통해 미국 국제개발처(USAID)의 창설을 공식화했다. 이전에는 연방정부 차원의 전문적인 국제원조기구가 없어 수십개의 국제원조 담당 부서가 산재해 있었는데, 이들을 하나의 기관으로 통합함으로써 전문 국제원조기구가 탄생하였다. 직원은 약 1만여명이다.2025년 2월 2일부터 홈페이지 접속도 되지 않으며, X(구 트위터) 계정도 삭제시켰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1월 20일 이스라엘과 이집트를 제외한 국가에 대한 해외 원조를 전면 중단시켰으며, USAID 직원의 대규모 정리해고에 착수했다. 트럼프 정부는 USAID를 축소해 국무부 산하로 격하할 계획이다.# 특히 임시 부처인 미국 정부효율부(DOGE)를 이끄는 일론 머스크가 USAID가 돈낭비이고 좌파 의제를 지원한다고 주장하며 적극적으로 갈아엎으려 하고 있다. USAID 제한구역에 있는 기밀 자료를 머스크의 조사팀에 넘기는 것을 거부했다가 최고 보안 책임자 2명을 포함해 100여 명이 정직 처분을 당했다.#
코로나의 중국발 음모론(즉, 중국과학원 우한 바이러스 연구소에서 치명적인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SARS-CoV-2 등)이 만들어졌다)에 USAID의 재정 지원이 연루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 USAID 폐지를 밀어붙이고 있는 일론 머스크도 이를 리트윗했는데, 이를 통해 폐지 결정을 정당화하려는 의도로 여겨진다.
3. 비밀공작 기구로서의 면모
USAID는 순수히 인도주의적 원조활동만을 하지는 않았는데, 미국 정부 산하기관이기 때문에 해외 원조를 명목으로 제3세계 국가에 대한 내정 활동에 간섭하고 특정 세력에 자원을 지원해주는 등 미국 정부에 의해 정치적으로 이용되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과거 미국 중앙정보국(CIA)에서 군부를 조종해 수행하던 정권교체 등의 해외공작이 시대가 바뀌면서 전미 민주주의기금(NED)과 USAID가 수행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USAID는 2009년초 이후 베네수엘라, 코스타리카, 페루 등지의 청년들을 쿠바에서 반체제 정치 활동가를 모집할 목적으로 의료 지원 등 민간 프로그램을 수행 명목으로 위장 입국시켰으며 2009∼2012년 '순수네오'(ZunZuneo)라는 쿠바인 전용 트위터를 만들어 쿠바 내 반정부 세력을 조직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파했고##[3], 2014~2017년 니카라과 반정부 세력에게 500만 달러를 지원했다.# 중남미뿐만 아니라 과거 이집트의 무함마드 무르시 정권에 대한 반정부 세력에게도 자금지원을 했다. 로페스 오브라도르 전임 멕시코 대통령은 USAID가 멕시코 NGO에 대해 자금지원하는 것을 내정간섭, 쿠데타 음모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4. 기타
- 미국 연방재난관리청과 기능이 비슷하지만 엄연히 서로 다른 기관이다. FEMA는 미국 국무부가 아닌 미국 국토안보부 소속 기관인데다가 미국 국내의 재난 관리 및 구호를 담당하는 한편, USAID는 미국을 제외한 해외 재난구호 및 원조활동을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