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오세훈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e61e2b> 생애 | 생애 · 서울시정 (33·34대 · 38·39대) | |
가족 | 아버지 오범환 · 어머니 사문화 · 배우자 송현옥 | ||
활동 | 공직선거법 · 정치자금법 · 정당법 · 일조권 · 환경운동연합 · 꼬마버스 타요 | ||
정책 | 디자인서울 (서울서체 · 서울창포원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북서울꿈의숲 · DDP · 서울링) · 한강 르네상스 프로젝트 (반포한강공원 · 한강 수상택시 · 한강버스 · 세빛섬 · 노들섬) · U-Smartway (신월여의지하도로 · 서부간선지하도로) · 가족배려주차장 ( | ||
비판 및 논란 | 비판 및 논란 (38·39대 서울시장 시절 · 내곡동 토지 셀프보상 · 전직 대통령 사면 건의) | ||
사건사고 | 무상급식 주민투표 · 대진연의 선거 운동 방해 · 경계경보 오발령 | ||
기타 | 별명 · 여담 · 사상 및 견해 · 대권주자로서의 장단점 · 오세훈계 · 오세훈 마이너 갤러리 |
서울특별시의 공원 | |||
서울창포원 Seoul Iris Garde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본어 | ソウル菖蒲院 | |
중국어 | 서울菖蒲院 | }}}}}}}}} | |
<colbgcolor=#129E01><colcolor=#fff> 주소 | 서울특별시 도봉구 마들로 916 (도봉동 4-1) | ||
개원일 | 2009년 6월 7일 | ||
면적 | 52,417㎡ | ||
분류 | 식물원 | ||
개방 기간 | 연중무휴 | ||
개방 시간 | 05:00~22:00 | ||
이용료 | 무료 | ||
관리 | 서울특별시 푸른도시국 북부공원여가센터 | ||
전화번호 | 02-954-0031 | ||
홈페이지 |
1. 개요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에 위치한 서울시립식물원,생태공원이다.2. 역사
과거엔 비닐하우스가 많은 도시 미관을 해치는 곳이였다. 서울시는 2006년 11월부터 서울창포원조성사업을 시작하였고, 서울식물생태원조성사업의 추진으로 2009년 6월 7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최선길 도봉구청장 등 관계 인사들과 주민 2천명이 보는 개원식에서 정식 개원하였다.3. 특징
서울 강북의 끝자락에 위치한 도봉산과 수락산 사이에 세계 4대 꽃 중 하나로 꼽히는 붓꽃이 가득한 특수 식물원이자 생태공원으로 지정된 서울창포원은 약 1만 6천 평에 붓꽃원, 약용식물원, 습지원 등 12개 테마로 구분 조성되었다.붓꽃원에는 노랑꽃창포, 부처 붓꽃, 타레붓꽃, 범부채 등 '붓'모양의 꽃봉오리로 된 붓꽃류 130여 종의 다양한 붓꽃 30만 본을 심어 매우 아름답다. 또한 약용식물원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약용식물의 대부분을 한자리에서 관찰할 수 있으며, 습지원에서는 각종 수생식물과 습지생물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덱이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 초화원에는 꽃 나리, 튤립 등 화려한 꽃들이 계절별로 피어나기 때문에 계절마다 가는 것도 좋다.
4. 주요 시설
5. 주변 시설
서울창포원 근처엔 대전차 장애물(도봉시민아파트)을 부분 철거 및 보존해 리모델링한 복합문화공간인 평화문화진지가 있고 평화문화진지 북쪽으로 바로 다락원체육공원이 나온다. 게이트볼장과 배드민턴장,테니스장,축구장이 있다. 창포원 동쪽으로 중랑천 자전거길이 잘되어있다. 따릉이 대여소도 있으니 자전거 타기도 추천한다.6. 연계 교통
6.1. 버스
의 연계 교통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