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시내/농어촌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0 -10px;" | <colbgcolor=#8c8c70><colcolor=#fff>천안시 | · · | ||
아산시 | · | <colbgcolor=#8c8c70><colcolor=#fff>공주시 | ||
당진시 | 논산시 | |||
서산시 | 계룡시 | |||
보령시 | 금산군 | |||
홍성군 | 부여군 | |||
예산군 | 서천군 | |||
청양군 | 태안군 |
서산시 교통체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color=#ffffff> 도로 | <colbgcolor=#23ac38><colcolor=#ffffff> 고속도로 | 서해안선 해미IC22, 서산IC23 / |
국도 | 29, 32, 38, 45, 77 | ||
국지도 | 70, 96 | ||
지방도 | 609, 618, 634, 647, 649 | ||
버스 | 시내버스 | 서산시 시내버스(서령버스) | |
버스 터미널 | 서산공용버스터미널, 대산버스터미널 | ||
중간 정류소 | 음암정류소, 운산정류소, 해미정류소, 한서대학교정류소, 고북정류소, 어송리정류소 | ||
시외 · 고속버스 | 시외버스 · 고속버스 노선 | ||
공항 | |||
항구 | 대산항국제여객터미널 | ||
[1]: 2028년 이후 개항 추진 | |||
충청남도의 교통 | }}}}}}}}} |
1. 개요
충청남도 서산시의 시내버스를 담당하고 있는 회사다. 홈페이지 차고지는 충청남도 서산시 고운로 348 (잠홍동)에 있다.수년간 임금체불 등 노사문제를 일으키고 서산시 시내버스의 파행운행을 거듭하더니, 2023년 12월 22일 노동조합에서 법정관리를 신청하여 2024년 5월 13일 법정관리가 개시되었다.
2. 역사
1981년 충남교통운수(현 충남고속)에서 차량 26대(정규차 24대, 예비차 2대)를 분리독립해 설립했으며 이후로 꾸준히 증차해 1988년에 76대 중 서산 본사에 56대, 태안에 20대를 배치했다가 동년 말 태안영업소를 개설했다.1990년에 좌석버스를 운행 개시했으며, 1994년에 시내버스를 운행 개시했다. 2010년 12월에 환승제가 도입됐다. 환승제를 도입하면서 전 버스에 전광판을 설치했고, 노선번호제를 실시했다. 환승시간은 최초 하차 태그 후 60분[1]이며 동일 노선도 환승이 가능하다.
2015년 상반기 즈음부터 버스 정류장 안내방송을 시작했다. 그 이전에도 시범방송을 했으나 하다 안하다를 반복하다가 2015년 상반기를 기점으로 대부분 차량이 안내방송을 시작했다.[2] 그러나 차량 내부에 LED 안내판이 없다는 게 단점이다.[3]
2.1. 운행중단 및 임금체불
서령버스가 보조금 부족으로 인한 경유 부족 사태로 인해 운영을 지속할 수 없다면서 2023년 12월 14일 첫차부터 운행을 전면 중단했다.
서산시 측에서는 심각한 방만경영을 한 걸 시 탓으로 돌렸다고 분노했다. 한편 서령버스는 시가 인수하라고 주장하고, 서산시 측에서는 폐업 및 청산 후에나 공영제 등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대부분의 차량인 내연기관 차량들이 운행 중단에 들어갔으나 전기·수소를 연료로 사용중인 일렉시티 및 카운티 EV 차량은 정상운행을 하고 있으며, 비상수송 체제에 돌입, 전세버스 차량들을 위주로 비상수송차량으로 도입해 임시 노선을 운행하였다. 2023년 12월 22일 62대 중 55대의 운행이 재개되었고, 나머지 7대는 늦어도 12월 26일까지 정비를 마치고 운행한다.
심각한 방만 경영과 그로 인한 임금체불, 버스 노후화로 인한 각종 문제들이 터져나가는 중이다.
3. 면허 체계
- 충남 72자 55##호
4. 노선
서령버스 홈페이지 방문 후 버스시간표로 이동후 각 방면별 시간표 및 노선을 볼 수 있다.2023년 1월 8일 서령버스 운전기사 부족으로 일부 운행노선의 시간표가 변경되었다.
서산시 시내버스 시간표 변경 안내
자세한 시간표는 서령버스 홈페이지 참조.
- 서산시 시내버스/1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2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3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4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5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600번대
- 태안군 농어촌버스/800번대: 660~1번과 820번은 이 문서를 참조.
- 서산시 시내버스/7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800번대
- 서산시 시내버스/900번대
5. 요금
시내버스종류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현금 | 1,600원 | 1,280원 | 800원 |
교통카드 | 1,500원 | 910원 | 700원 |
좌석버스
종류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 |
현금 | 2,000원 | 1,600원 | 1,000원 |
교통카드 | 1,900원 | 1,230원 | 900원 |
교통카드로 지불 시 100원 할인. |
2020년 7월 20일부터 충청남도 시내/농어촌 버스요금이 200원 인상됐다. 단 청소년 교통카드 요금은 작년과 똑같이 270원(20%) 추가할인.
6. 버스정보시스템(BIS)/안내방송
부천시와 협력해 구축 공사를 마쳤으며 2017년 3월 21일에 버스정보시스템 서비스가 시작됐다. 현재 BIS가 운영중이며 카카오맵, 구글맵, 전국 스마트 버스에서 실시간 버스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안내기는 시내 일부 정류장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데, 특이하게 차내 BIS 단말기가 윈도우 10이 탑재된 태블릿이고, 차내 안내방송도 이비 교통카드 기기가 아닌 BIS 단말기에서 송출된다. 목소리는 윈도우 기본 TTS었다가 밑의 마이비 안내방송으로 교체됐다.다만 마이비, 캐시비 카드단말기의 GPS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이전에 사용했던 태블릿형 단말기에서 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기기를 설정해 둔다.
동시에 안내방송을 켜면 중복 송출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기는 2개 다 설정해 두되, 안내방송 소리의 음량을 조정해 2개의 단말기 중 하나의 단말기에서만 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부천시에서 지원받아 구축중인 BIS 사용을 위해 기존 태블릿형 단말기와 마이비, 캐시비형 카드단말기를 동시에 켜 두며, 카드단말기에서 안내방송이 송출되도록 개선중에 있다. 태블릿형 단말기에서 안내방송이 송출되는 경우, TTS음이 좋지 않으며, 카드단말기에서 송출되는 경우 차임음이 울리면서 안내방송이 송출된다.
2019년 11월부터 BIS를 활용한 실시간 도착 정보가 지원된다. 다만 기점(터미널)에서 바로 출발한 노선의 경우, 삼성생명(작은 정류장/환승 정류장)이나, 한림병원을 지나야 버스위치가 뜨기 시작하므로, 터미널에서의 출발시간을 기준으로 정류장을 선택해 확인하는 것을 권장한다. 네이버, 다음(카카오)지도의 정류장 표시를 찍거나, 정류장 번호,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BIS가 운영중에 있고 포털사이트와 연동이 되어있어, 쉽고 편리하게 이용 할 수 있다. 다만 태블릿형 단말기의 설정 상태에 따라 버스 위치가 뜨지 않을 수 있다. (태블릿형 BIS 단말기가 없거나 꺼져있는 경우, 멈춘 경우, 오설정, 미설정 한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2019년에도 시범적으로 안내방송 기기를 설치했으나, 설비의 상태가 좋지 않았으며, 현재는 2020년부터 청주, 부산, 울산 등지에서 사용하는 마이비 TTS 안내방송이 나오고 있다. 26초부터 안내방송이 나온다.
7. 차량
지역 연고업체이다 보니 독점권을 당연하게 가져갔지만 도농복합시 특성상 구간 수요가 적고 장거리 수요가 대부분이라 수지타산이 맞지 않아, 서산시 예산으로 구입한 차량도 일부 운용한다. 그나마 서산은 시내가 어느 정도 규모가 있고, 대산읍과 지곡 그리고 성연에 대기업과 중소기업체가 많이 입주해서 다른 지역업체들보다는 자금 사정이 나은 편이다. 덕분에 일부 노후차량은 긴급배치용으로만 사용할 뿐, 차량은 내구연한이 도래한 차량을 찾기 어려울 정도다. 그리고 해안가를 달리다 보면 소금기를 머금은 바닷바람(+ 저렴한 만큼 부식에 취약한 차체) 덕분에 부식이 잘 되는 경우가 많은데 서산에서는 부식된 차체를 보기 어려울 정도로 관리가 잘 되는 편이다. 같은 요금체계지만 차 관리는 전국구로 악명높은 천안과 비교된다.2016년에는 좌석버스 차량으로 FX II 116 전중문형을 도입해 화제가 됐다.[4] 거기에 2017년에는 FX116 하모니 전문형도 증차분으로 1대 도입했다.[현재는] 이는 충청남도 시내버스로 좌석버스 노선에 고급좌석버스를 도입한 세 째 업체이다.[6] 서쪽 태안은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동쪽 당진은 BS106과 레스타로 충당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과거엔 주로 자일대우버스로 구성되어 었었지만 간간히 현대버스도 도입했으며 1980년대에는 동아자동차(쌍용자동차의 전신)의 HA20도 운행했다[7].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현대버스 도입량도 많아지고 있다.
도색은 시내버스의 경우 과거 대전/충남 공통 구도색을 여전히 신차에도 적용시키며 사용 중이다. 시내순환버스는 과거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구도색(1981년 제정 녹색 도색)에 주황색 라인이 추가된 도색을 사용하다가 현재에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지선버스 도색과 동일한 녹색 단색도색을 사용하며[8], 한때 시내순환버스 일부 차량에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도색(1995년 제정 도색)과 유사한 도색을 사용하기도 했다. 좌석버스는 과거 BM090 기본도색[9]을 사용하다가 현재에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의 광역버스 도색과 동일한 빨강색 단색도색을 사용한다.
2019년부터 전 차량에 시내버스용 공용 와이파이가 제공되고 있다.
충남에서 아산시 시내버스에 이어 두 번째로 일렉시티 EV를 출고했으며[10], 일렉시티 FCEV도 출고했다.
2022년에는 전기버스로 일렉시티와 함께 카운티 뉴 브리즈 EV 3대를 도입했다.
2024년에는 KGM커머셜의 스마트 110 EV 모델을 도입했다.
8. 현재 보유차량
8.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카운티 디젤[11]
-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전기버스
- 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F/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일렉시티 수소전기버스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12]
8.2. 자일대우버스
8.3. KGM커머셜
9. 과거 보유차량
9.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F/L 디젤
- 신진 FB100LK 가솔린
- GMK BD50DL 디젤
- GMK / 새한 BD098 디젤
- 새한 BF101 디젤
- 대우 BF101(Q) 디젤[13]
- 대우 BF105 디젤
- 대우 BS105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디젤
- 대우 BS110CN F/L 디젤
- 대우 FX II 116 크루징 애로우 디젤
- 대우 FX116 하모니 디젤
9.2. 현대자동차
9.3. 기아
9.4. KG모빌리티
10. 둘러보기
충청남도 시내버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계룡시 | 공주시 | 금산군 | 논산시 | 당진시 |
보령시 | 부여군 | 서산시 | 서천군 | 아산시 | |
예산군 | 천안시 | 청양군 | 태안군 | 홍성군 | }}}}}}}}} |
[1] 2018년 12월까지는 40분이었다.[2] 본격적으로 안내방송이 도입된 시기는 충남에 마이비 단말기가 보급된 2020년 1분기이다.[3] 2000년대 중후반에는 광고 용도로 있었는데 광고 수입이 안 났는지 2010년 이후부터 찾아볼 수가 없다.[4] 2016년 당시 서산에 좌석버스들 중 단 1대 남아 있던 BS106 로얄시티 2006년형 대차분이다. 이 외 서산의 좌석버스들은 모두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모델이었다.[현재는] 두 차량 모두 말소되었다.[6] 첫 번째는 대천여객, 두 번째는 경익버스. 다만, 대천여객은 중부운수 출신 중고 에어로 스페이스 LS를 들여왔다.[7] 1996년에 아시아 AM937E를 도입했고, 1997~1998년과 2000년에 에어로시티 540을 도입하기도 했다.[8] 시내순환버스에는 자체도색을 사용하니 앞으로 신차 들어올 때 경기도 시내버스의 현재 도시형(일반)버스 도색을 적용한 차량이 들어올 가능성도 있다.[9] 현재 창녕군 영신버스와 울진군 울진여객에서 사용 중인 도색.[10] 전기버스 전체로 보면 당진여객의 에디슨 NEW E-화이버드에 이어 세 번째다.[11] 주로 대산착발 노선인 200번대에 자주 투입되며 가끔씩 시내외의 노선에서 굴리는 경우가 있다.[12] 한양고속 출신 차량이며 내구연한이 만료되어 자가용 면허로 등록해 직원 수송용 버스로 쓰인다. #[13] 중기형(2쌍 원형 전조등)과 후기형(1쌍 사각 전조등)이 있었는데 특이하게 중기형에 일체형 유리창 전문조합인 차량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