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1:49:25

상촌중학교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수원시 CI_White.svg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색중학교 곡반중학교 곡선중학교
구운중학교 규장중학교 권선중학교
남수원중학교 능실중학교 상촌중학교
서호중학교 세류중학교 영신중학교
칠보중학교 호매실중학교 화홍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164194><colcolor=#fff> 상촌중학교
Sangchon Middle School
파일:external/sangchons.ms.kr/logo.png
개교 2007년 3월 1일
유형 일반계 중학교
성별 남녀 공학
형태 공립
교장 곽태훈
교감 박상덕
교화 개나리
교목 소나무
교조 까치
학생 수 1,011명[기준]
교직원 수 71명[기준]
관할청 경기도수원교육지원청
주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금곡로73번길 60
(금곡동 497-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학교 연혁3. 교훈 및 상징
3.1. 상징석
4. 학교 시설
4.1. 본관4.2. 신관4.3. 옥외
5. 학교 특징
5.1. 복장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8. 사건 사고9. 기타

1. 개요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에 위치한 공립 남녀공학 중학교로, 2007년 개교했다.

2. 학교 연혁

2006. 08. 16. 건물준공
2007. 01. 08. 설립인가 (개교 6학급, 완성 21학급)
2007. 03. 01. 초대 김영득 교장 취임
2008. 09. 01. 제2대 윤용대 교장 취임
2010. 02. 10. 제1회 졸업식 (6학급 203명)
2010. 09. 01. 제3대 이은수 교장 취임
2011. 02. 10. 제2회 졸업식 (6학급 208명)
2011. 11. 29. 신관준공 (15개 교실)
2012. 02. 07. 제3회 졸업식 (8학급 267명)
2012. 09. 01. 제4대 맹기호 교장 취임
2013. 02. 08. 제4회 졸업식 (8학급 269명)
2013. 03. 04. 제7회 입학식 (376명)
2014. 02. 14. 제5회 졸업식 (8학급 271명)
2014. 03. 03. 제8회 입학식 (360명)
2015. 02. 10. 제6회 졸업식 (11학급 373명)
2015. 03. 02. 제9회 입학식 (319명)
2015. 09. 01. 제5대 이창현 교장 취임
2016. 02. 05. 제7회 졸업식 (11학급 376명)
2016. 03. 02. 제10회 입학식 (11학급 364명)
2017. 02. 08. 제8회 졸업식 (10학급 343명)
출처

3. 교훈 및 상징

3.1. 상징석

파일:20160216141138.jpg
네 꿈의 고향을 묻거든 상촌중학교라 대답하라

본교에 부임했던 교장이 매탄고등학교로 간 뒤 그곳에 같은 상징석을 세웠다고 한다. 내용이 학교명만 바뀌고 완전히 일치한다. 하지만 애초부터 이 돌은 상촌중학교가 원조가 아니다. 망포중학교가 더 먼저 이 문구를 사용했다

4. 학교 시설

제외 시설: 화장실, 학급 교실, 탈의실

4.1. 본관


각도가 큰 ㄱ자 형태로 되어있으며 양쪽에 교실이 4개씩 들어간다. 2층과 3층에는 신관으로 이어지는 다리가 있다.

4.2. 신관


신관은 몇 년 전에 지어져서 시설이 좋다.

2022년 기준 신관의 시설은 본관과는 다를 바 없는 시설이다. 신관 교실은 채광이 좋지 않다.

신관은 화장실이 습식이 아닌 건식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시설은 본관과 비교도 안 될 만큼 우수하다. 화장실 안에는 클래식 음악이 흐른다.

4.3. 옥외


서편에 정문 1개, 남편에 후문 1개가 있지만 등교시 후문은 막아두어 LG빌리지 4단지를 마주하고 있는 정문만 쓸 수 있다. 건물에 달린 문도 본관 6개[8], 신관 2개[9]가 있지만 본관은 3개를, 신관은 1개만 사용한다. 사용하지 않는 문은 잠겨있다. (급식실 옆 계단 제외)

5. 학교 특징

5.1. 복장

파일:external/kinimage.naver.net/925043_1179305606.jpg
파일:external/kinimage.naver.net/945041_1179305596.jpg
파일:external/kinimage.naver.net/287033_1179305601.jpg

현재 디자인이 많이 변경되었고 마이는 사라졌다. 이젠 후드집업을 입는다.

여학생들은 바지를 추가로 사서 입을 수 있으며 하복도 남자 교복을 사서 입는 학생이 있다. 또 몇몇 학생들은 하복의 리본을 뜯는 패션을 완성하기도 한다. 또한 하복 생활복 바지를 살 때 긴 바지는 별 필요가 없다.
긴 바지는 사 봤자 잘 입지도 않는다.

또한 남학생들 중 어디서 놀다가 바지를 찢어먹고 비슷하게 생긴 사복 바지를 입는 학생이 있다. 사실 꽤나 많다! 검은색이나 감색 바지를 사서 입고 다니면 걸릴 확률이 꽤 적다.

참고로, 동복 체육복 바지가 남색이고 두줄이라 하얀색 줄에 걸린 학년은 아디다스 남색 3줄바지를 사다 입으면 안 걸릴 확률이 있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3월 입학·시업식, 영재학급 발대식
4월 EBS 영어듣기평가, 공개 수업, 현장체험학습, 지진대피훈련, 학교주변 봉사활동
5월 구강 내 불소 도포, 미술·음악 예능경연대회, PAPS 측정, 졸업사진 촬영, 소변검사[10], 직업인 강의
6월 개교기념일 (6월 5일), 환경 문예대회, 작은 음악회, 3학년 진단평가
7월 2,3학년 기말고사, 시 창작 대회, 영시 암송 대회, 팝송 경연 대회, 안전 그리기 대회, 소마큐브 대회, 과학동산 체험 프로그램, 방학식
8월 방학
9월 EBS 영어듣기평가
10월 상촌제, 체육대회[11]
11월 독도 팜플렛 만들기 대회
12월 3학년 기말고사, 2학년 기말고사[12], 3학년 합창대회, 학생회장·부회장 선거, 3학년 소풍, 3학년 UCC 경진대회, 세계시민교육, 방학식
익년 1월 종·졸업식

중간고사를 보지 않는다.

아래에는 학교 생활에 관한 팁이 정리되어 있다.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상촌중학교 앞에는 버스 정류장이 없다. LG빌리지3차아파트, LG빌리지2차아파트, 호매실역서희스타힐스 정류장에서 내려 2~5분 정도 걸어야 한다.
스쿨버스(통학버스)가 비공식적으로 존재한다. 학교에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통학용 버스 기사 아저씨들이 돈 받고 태워다 주는 것. 버스 수용 인원이 많지 않아 당수동이나 칠보를 가는 버스는 완전 닭장. 타려는 학생들도 무지 많아 종례 후 뛰어가지 않으면 금방 줄이 길어져 있다. 이에 새치기를 하는 무개념 학생이 많으니 자기 자리는 잘 지키자. 사실 새치기가 일반 새치기도 아니고 아예 밀고 당기고 팔꿈치로 때리고 아주 난리도 아니다. 운 나쁘면 선배들이 자기를 친 애 얼굴을 기억했다가 다음 날 반에 찾아오기도 한다는 소문도 있다. 한 번 타는 데 1000원이 든다고 하는데, 이는 수도권 시내버스 청소년 카드 비용과 동일하다.

8. 사건 사고

9. 기타


[기준] 2024년 3월 1일[기준] [3] 급식실 옆에 떨어져 있는 교실이라 따로 통로가 없다. 가려면 건물 밖으로 나와서 다시 걸어가야 한다.[4] 구강 내 불소 도포, 졸업사진 촬영 등 학년 단위 중 앞·뒷반이 따로 하는 행사는 주로 여기서 한다. 종종 영화를 보여주기도 한다![5] 원래 3층에 있었는데 1층 음악실 옆 탁구실으로 이동(병합)했다가 2021년 동아리시간 소음 문제로 음악실과 위치가 바뀌었다. 기존 3층 테라스는 동아리 사용 공간으로 공사했다.[6] 서향관에서 책마루 도서관으로 2015년에 개칭되었다.[7] 2017 입학생부터는 새 컴퓨터를 쓴다.[8] 정문, 급식실 옆 계단, 급식실 앞, 신관 다리 아래와 그 맞은편, 동측 문[9] 신관 다리 아래, 북측 문(자동문)[10] 6월에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11] 이때 3월부터 시작한 줄넘기대회 최종 경기를 하는데, 1등상금이 15만원이다! 체육대회 반별 점수 1등 상금보다 많은 수준. 자세한 내용은 후술할 내용 참조.[12] 내신 처리 문제로 두 학년이 시험을 따로 본다. 3학년이 약 1주일가량 먼저 본다[13] 4회(2014년)에는 반별 부스를 없애고 바자회 형식으로만 운영해 정말 재미가 없었다. 참고로 매번 단골 부스는 삼겹살 구이. 대패삼겹살을 구워 두 세 조각에 쿠폰 한 장으로 판매한다. 하지만 이 삼겹살 부스 전통도 5회(2016년)에 사라졌다.[14] 요리 체험, 분식 판매 부스[15] 2014년은 오목천동의 한 교회, 2016년은 칠보고등학교 체육관.[16] 만약 등교 중 헬멧을 안 쓰고 주행하는 모습을 학생부 교사들이 목격이라도 하면 그날은...[17] 당수동에 사는 학생들은 대부분 스쿨버스를 타고 오지만 몇몇은 버스를 타고 온다. 하지만 매주 월, 수, 금에는 수인산업도로에 헬게이트가 열려서 버스가 엄청 늦게 오는 경우가 대반사다. 게다가 배차 시간도 막히지 않아야 20분 정도. 그래도 비교적 아침 8시 20분까지는 막히지 않는다.[18] 삼익3차, 강남아파트를 가지 않아 이용 학생이 별로 없다.[19] 호매실동에서 회차하는 방식이니 이용할때 주의하자[20] 이 네 자리수 버스들은 비싸기도 한데다가 칠보입구에서 바로 홈플러스로 직행하는 노선이라 학생들의 이용이 드물다. 그래도 타지에서 오는 학생들은 가끔 탄다.[21] 호매실 - 강남을 잇는 버스다.[22] 화재 예방 교육을 할 때마다 학생들이 느릿느릿 걸어서 대피했는데, 이때만은 정말 신속하게 대피했다.[23] 사실 이는 당수동 개발 시절 중학교 부지를 선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한다.[24] 기존 흰 카라티 + 하복 체육복 → 지정 카라티 + 지정 반바지.[25] 2015학년도 2학년은 일본어 지원 인원이 두 반이 넘쳐서 교사들이 일본어 지원 학생들을 설득해서 중국어로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