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퀘벡 주의회의 원내 정당}}}에 대한 내용은 [[퀘벡당]]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퀘벡당#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퀘벡당#|]]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퀘벡 주의회의 원내 정당: }}}[[퀘벡당]]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퀘벡당#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퀘벡당#|]]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캐나다 서민원 원내 구성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왕 폐하의 정부 | ||
자유당 169석 | |||
국왕 폐하의 가장 충성스러운 야당 | |||
보수당 143석 | |||
교섭단체 야당 | |||
퀘벡 블록 22석 | |||
비교섭단체 야당 | |||
신민당 7석 | 녹색당 1석 | ||
재적 343석 | }}}}}}}}} |
| |
Bloc Québécois (블록 케베쿠아) | |
프랑스어 명칭 | Bloc Québécois |
한국어 통칭 | 퀘벡 블록 |
창당일 | 1991년 |
이념 | 퀘벡 분리주의 퀘벡 내셔널리즘 사회민주주의 생태주의 |
정치적 스펙트럼 | 중도좌파 |
당 색 | 하늘색 |
당사 위치 |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
당원 수 | 19,000 |
당대표 | 이브-프랑수아 블랑셰 (퀘벡주 벨로유-샴블리 선거구) |
총재 | 이브 페롱(Yves Perron) |
상원 의석 수 | 0석[1] / 105석 (0%) |
하원 의석 수 | 32석 / 338석 (9.5%) |
웹사이트 |
1. 개요
캐나다의 정당. 퀘벡주 지역의 이권을 대변하고 보호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정당이다. 약칭은 BQ이나, 실제로는 영어로든 불어로든 그냥 블록이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초기에는 공화주의를 내세우는 정당임에도 '여왕 폐하의 가장 충성스러운 야당'[2]에 등극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지만,[3] 2011년 총선에선 당시 신민당 대표였던 잭 레이튼의 퀘벡 주 하드캐리에 떡실신, 4석에 그치는 수모를 당했다. 이후로도 2010년대 계속된 침체로 인해 원외로 퇴출되는거 아닌가 하는 의견도 나왔지만,[4] 2019년 연방총선에서 원내 3당으로 부활했다.2. 이념 및 주요 지지층
이념적으로는 중도좌파, 사민주의 정당에 가깝다. 주요 의제로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확대 및 기후위기 대응 강화[5], 성소수자 권리 지지, 조력 자살권 지지, 임신중절권 지지, 투표연령의 16세로의 하향, 공화주의, 상원 폐지 등을 주장한다.허나 하나 눈에 띄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다문화주의 반대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연방 전체의 다문화주의는 큰 불만이 없지만 퀘벡은 빼달라는 것이다. 사실 이런 행태는 미국 예외주의 등 세계에서 종종 보이는 현상이긴 하나, 이들에게는 더 절박한 이유가 있다. 캐나다 프랑스어 및 퀘벡 문화 보존이라는 가치는 이민자 유입에 의한 문화적 다양성 제고와 상충할 수밖에 없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상식적으로 전세계에서 몰려드는 이민자들이 영어와 불어 중 어떤 언어를 더 잘하겠는가? 이 때문에 캐나다의 일부 유권자들(특히 불어를 못하는 앵글로폰들)은 "퀘벡 블록은 내로남불의 인종주의 정당이다!"라는 비판을 보내기도 한다. 특히 캐나다 정치지형상 주요 정당 중 가장 좌측에 있는 신민당은 인도계인 자그미트 싱 당수가 의사진행 중 퀘벡 블록 원내대표 알랭 테리앙 의원을 인종주의자라고 비난하다 퇴장당하는 일도 있었다. 프랑스를 본받은듯 라이시테를 명분삼아 무슬림 여성의 니캅과 히잡, 시크교인 남성의 터번을 금하자는 주장을 내놓기도 했다.
사실 이 당은 이념 스펙트럼은 둘째치고 퀘벡의 주권과 퀘벡 독립운동 대변자로서의 포지션에 더 주목할 필요가 있다.[6] 이 당은 애초부터 퀘벡을 위해 출범한 정당이기 때문에 퀘벡주 외 타지에서는 후보도 잘 안내고 설령 내더라도 표를 별로 못받고 있다. 그럼에도 온타리오 주 다음가는 의석수를 자랑하는 퀘벡 주의 규모 덕분에 선거마다 상당한 의석수를 확보할 수 있었다.
허나 2010년대 들어선 그 퀘벡 주에서도 자유당이나 신민당에 대거 의석을 내주며 유일했던 지지 기반마저 흔들리는 모양새를 보였다. 특히 자유당도 자유당이지만 신민당에게 입은 타격이 막심했다. 다만 쥐스탱 트뤼도 집권 이후 서서히 지지 세력을 회복하는데 성공, 2019년엔 퀘벡 주에 걸린 의석 총 78석 중 32석을 차지할 정도의 기반은 되찾았다. 2021년에도 같은 성적을 받았다.
퀘벡주는 대체로 자유당의 텃밭이라는 인식이 있지만 실제 자유당의 성적은 반타작 정도에 그치는 편인데, 그 원인이 이들이다. 몬트리올 등 대도시권에서는 자유당이 우세하고 간혹 캐나다 보수당도 몬트리올과 퀘벡시티 주변 일부 지역구에서 의석을 따내곤 하지만, 그 외 백인 위주의 교외지역 선거구에서는 퀘벡 블록이 굉장한 존재감을 보이며 수십석을 가져가곤 한다.
한편, 분명 이념만 놓고 보면 자유당과 신민당의 파이만 뺏어먹어야 할 것 같은데, 실제로는 미묘하게도 보수 파이를 상당히 많이 뺏어먹는다. 1995년 퀘벡주 주민투표에서의 선거구별 승패를 분류할 시 가티노~몬트리올 일대의 영어도 꽤 쓰이는 대도시권과 북극권 원주민 거주지에서 독립 반대 여론이 강하고 생로랑강 최하류 도시들을 중심으로 찬성 의견이 우세했는데, 이 구도가 퀘벡 블록의 오늘날 주요 지지기반과도 대강 일치한다. 퀘벡주에서 캐나다 보수당은 인기가 별로 없기 때문에[7] 퀘벡 블록이 연방선거시엔 자유당의 라이벌 포지션을 점하는 경우가 많다. 실제 보수당은 1993년 퀘벡 블록의 연방선거 데뷔 이래 퀘벡의 연방정치 헤게모니를 되찾아오지 못하고 있다. 1993년 진보보수당의 역사적인 패망의 원인 중 하나로 장 크레티앵 안면장애 조롱, 개혁당 등장 못지 않게 퀘벡 블록의 연방선거 첫 도전을 지목하는 의견도 있을 정도다. 아닌게 아니라, 브라이언 멀로니 총리[8]가 진보보수당의 퀘벡주 연방총선 승리를 이끌고 무리하게 고향 퀘벡주의 자치권을 제고하려다 동서 대분열이 일어난 결과가 서쪽의 캐나다 개혁당과 동쪽의 퀘벡 블록이다고 봐도 된다.
사실 퀘벡 블록 창당멤버로서 초대 당수를 지내고 훗날 퀘벡당 당수로서 퀘벡 주총리를 지내는 뤼시앵 부샤르(Lucien Bouchard)는 라발 대학교 시절부터 멀로니 총리의 친우[9]이자 동지로서 진보보수당에서 환경장관까지 하다가 멀로니 총리의 자치권 확대 드라이브가 좌초되며 장관직을 그만두고 탈당한 인물이었다. 즉, 퀘벡 블록은 태생적으로 보수정당에서 분당한 정당에 가깝다.[10] 멀로니 총리가 무리하게 자치권 확대를 추진하기 전까지 퀘벡주는 연방선거에서 밀어주던 자유당이 점차 힘을 잃어가고 진보보수당이 기세를 타던 흐름이었다. 허나 그렇게 보수화되나 싶던 퀘벡이 자기네 연방정당을 만들면서 연방 보수 세력에게서 멀어져버렸으니 보수당으로서는 환장할 노릇.(...)[11]
이런 복합적인 모습에서 알 수 있듯, 이 당은 좌우 스펙트럼만으로만 보기엔 복잡한 면모가 많다. 심지어 캐나다라는 나라 자체를 향한 미국의 침략욕이 가시화하는 2025년 기준으로는 독립 열기가 식은 수준을 넘어 퀘벡의 프랑코폰들이 캐나다의 주권을 가장 절실히 지키려 하는(...) 기묘한 정치지형이 형성되다보니 이 당의 앞날도 어찌 될런지 속단할 수 없어졌다. 영미권의 전통적인 잣대 말고도 프랑스어 및 문화적 정체성 제고를 향한 퀘벡의 강박관념과 프랑스식 정치문화의 특수성까지 가미된 정당이기 때문에 다방면으로 복합적인 분석이 요구되는 정당이다. 지역주의 정당이자 분리주의 정당이였지만, 지금은 또 캐나다의 독자적 정체성을 상징하는 아이콘으로 주목받는등 캐나다와 미국의 다른 정체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한 발자국을 남긴 정당이라고 할 수 있다.
3. 퀘벡 주 내에서의 위치
블록은 퀘벡 주의회 총선거에 후보를 내지 않는다. 대신 퀘벡당(Parti Québécois)이라는 정당에서 출마하는 후보자를 지지하며, 연방 총선때는 반대로 퀘벡당이 블록의 후보자를 지지해주는 형식으로 연대하고 있다.헌데 정작 두 정당은 공식적으로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별개의 정당이다. 즉, 퀘벡 블록의 퀘벡주 지부가 퀘벡당이라고 하면 틀린 말이라는 의미. 물론 서류상으론 별개의 정당이지만 사이가 좋긴 해서, 퀘벡 주 내에서는 퀘벡당 소속으로 연방의회에서는 퀘벡 블록 소속으로 활동하는 이중당적 사례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마리오 볼리외 전 대표이다.
4. 역사
4.1. 2019년 캐나다 연방 선거
선거 전 여론조사에선 대체적으로 제3야당의 지위를 유지할 것이 점쳐졌으나, 퀘벡 주의 열렬한 지지세와 신민주당의 부진으로 예측을 깨고 11년 만에 제2야당 자리를 탈환하였다.4.2. 2021년 캐나다 연방 선거
2021년 캐나다 연방 선거에서도 약 7.7%의 득표율로 지난 선거와 거의 비슷한 득표율이 나왔고, 의석 또한 32석을 차지하며 원내 3당 입지를 굳혔다.4.3. 2025년 캐나다 연방 선거
2025년 3월, 예상보다 반년 가량 빠른 4월 28일자로 조기 총선을 치를 것이 확정되었다. 연초만 해도 그냥저냥 反자유당 정서로 큰 변화 없는 지지율을 기록 중이었는데, 도널드 트럼프가 취임하고 캐나다 합병론과 미국-캐나다·멕시코 무역 전쟁 등 도발을 이어가자 캐나다인들의 애국심 결집이 퀘벡주에서도 나타나며 자유당의 지지세가 치솟아 블록도 지지율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그나마 마크 카니 총리가 퀘벡 민영방송 TVA[12]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당수들간 TV토론회를 출연을 거부하고 퀘벡주의 불어 증진 정책(Loi 96, Bill 96, 96호 법안)[13]에 비판적인 태도를 내비치자 맹공에 나서고 있다. 그리고 미국 무역대표부에서 퀘벡주 96호 법안을 관세장벽으로 규정[14]해버리자 트럼프와 함께 카니까지 싸잡아 비판[15]하는등 프랑코폰 표심 결집을 도모하고 있다. 대체로 비슷한 포지션의 신민당과 마찬가지로 지지율이 하락세에 있지만, 퀘벡주 동부 시골~교외지역의 여러 지역구에서 아직 블록의 우위가 건재하고 퀘벡 민족주의를 자극할만한 대외 변수도 꾸준히 터져주고 있다. 이 때문에 블록의 상황은 의석수가 많이 줄긴 하겠지만 자그미트 싱 대표마저 낙선하고 한자릿수 의석으로까지 쪼그라들 위기에 놓인 신민당만큼까지 심각하지는 않다는 전망이 나온다. 퀘벡에 걸린 연방의회 78석 중 40석 이상이 자유당으로 넘어갈 것으로 확실시되는 가운데 나머지 의석을 보수당보다는 많이 가져가는, 운이 따라주면 경합지에서 자유당을 꺾고 20석까지도 노리는 정도가 현실적인 목표로 여겨졌다.
선거 개표 결과 예상과 비슷한 22석의 성적을 거뒀다. 구조적으로 기울어진 정세 속에서 치러진 선거였기 때문에 텃밭을 전부 사수할 수는 없으리라 여겨졌고 현실적으로도 보수당보다 뒤지지 않는 선, 욕심내면 20석대 중반까지가 최대의 목표일 것으로 여겨졌는데, 역시나 장기간 지배하던 여러 텃밭 지역구에서 보수당과 자유당에게 패하고 말았다. 시간대가 달라 대서양주와 같은 시간에 개표가 시작된 가스페 반도 최동단 지역구(Gaspésie—Les Îles-de-la-Madeleine—Listuguj)에서 자유당 현역 의원, 그것도 트뤼도 내각에서 해양수산장관을 역임하던 3선의 다이앤 르부틸리에(Diane Lebouthillier) 의원을 꺾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지만, 몽레알과 퀘벡시 인근 지역구 경합지에서 잇단 비보가 들려왔다. 로베르 부라사 수력발전소를 끼고 있는 북극권(Abitibi—Baie-James—Nunavik—Eeyou)과 퀘벡시 근교 몽모랑시-샤를부아에서도 패배했으며, 몽레알 광역권의 테르본느 지역구에서는 주의회 보궐선거에서 퀘벡당이 승리한 여운이 남아있던 가운데 승리를 기대했으나 선거 다음날 한낮까지 사전투표함을 열어보는 접전 끝에 35표차 석패를 맛보았다. 신민당의 자그미트 싱 대표와의 설전으로 잘 알려졌던 알랭 테리엥 원내대표가 낙선하는등 블록의 주요 고위 당직자들도 생환하지 못했지만, 블랑셰 대표는 피에르 폴리에브, 자그미트 싱 등 야당 대표들이 낙선하는 가운데 생환하며 체면치레를 했다. 블랑셰 대표가 불어 및 영어 토론에서 일관적으로 맹공을 펼친데다 트럼프 행정부의 아이티 이민자 추방 가능성 등 反이민 정서를 자극하는 이슈도 터져주며 선거 막판 지지율 결집에 성공했다.
블랑셰 대표는 총선이 자유당의 169석 과반 미달 승리로 끝난 후 내각불신임 등 정부를 뒤흔드는 공세는 당분간 없을 것이라며 카니 총리와 자유당 정부에 협조할 의사를 밝혔다. 어차피 다른 야당들이 당수의 낙선으로 반신불수 신세가 되어버린 마당에 과반에 고작 3석 모자란 정도로는 제대로 된 공세를 펼칠 수도 없는 상황이라 어찌 해볼 도리가 없기도 하다.
5. 역대 선거
연도 | 대표 | 의석수 (점유율) | 순위 | 득표율 | 득표율증감 | 비고 |
1993 | 뤼시앵 부샤르 | 54석/295석 (18.3%) | 2위 | 13.52% | - | 비집권 제1야당 |
1997 | 질 뒤셉 | 44석/301석 (14.6%) | 3위 | 10.67% | -2.85 | 비집권 |
2000 | 38석/301석 (12.6%) | 3위 | 10.72% | +0.04 | 비집권 | |
2004 | 54석/308석 (17.5%) | 3위 | 12.39% | +1.67 | 비집권 | |
2006 | 51석/308석 (16.6%) | 3위 | 10.48% | -1.91 | 비집권 | |
2008 | 49석/308석 (15.9%) | 3위 | 9.98% | -0.50 | 비집권 | |
2011 | 4석/308석 (1.3%) | 4위 | 6.04% | -3.94 | 비집권 | |
2015 | 10석/338석 (3.0%) | 4위 | 4.67% | -1.38 | 비집권 | |
2019 | 이브-프랑수아 블랑셰 | 32석/338석 (9.47%) | 3위 | 7.63% | +3.03 | 비집권 |
2021 | 32석/338석 (9.47%) | 3위 | 7.64% | +0.01 | 비집권 | |
2025 | 23석/338석 (6.4%) | 3위 | 6.3% | -1.34 | 비집권 |
6. 기타
- 캐나다 영어권의 (주로) 자유당 지지자들은 앨버타와 서스캐처원의 분리독립 및 미국 편입을 주장하는 웩시트(Wexit)론자들을 레드넥이라고 욕하는데, 이를 블록의 당명과 결합하여 Bloc Rednecois, 블록 레드네쿠아(...)라고 조롱하기도 한다. 이는 웩시트론자들 중에도 알려져 있는 멸칭이다.Macleans 당연하지만 캐나다에서 아무데서나 이런 말을 함부로 했다가는 인종주의 모욕으로 간주되어 경찰서 정모를 하고 캐나다 생활이 험난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 퀘벡과 마찬가지로 불어가 통용되는 뉴브런즈윅에도 지지자들이 어느 정도 있으며, 블록에게 후보를 내라 요청하기도 한다. 그러나 블랑셰 대표는 13년만의 뉴브런즈윅 방문(CBC 보도)에서 "퀘벡의 독립을 위해서는 다른 지역에는 출마하지 않아야 한다"며 단순한 정치적 연대를 넘어선 뭔가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 표기에 관하여 주캐나다 대한민국 대사관은 '퀘벡 블록'으로 공식 SNS에서 표기한 사례가 있고, 재캐나다 한인들의 신문인 벤쿠버 중앙일보에서는 '블록퀘벡당'이라 표기한다. 다만 영어로는 불영번역 없이 그냥 Bloc Québécois 또는 Bloc Quebecois라는 표기를 고수한다. 뤼시앵 부샤르 초대 당수 이래 당에서 고집하는 중요한 규범 중 하나가 불어 사용에 관한 완고하고 비타협적인 고집이기 때문에 심지어 선관위 등록시에도 영어 정당명을 생략해버렸을 정도이다.[16]
- 퀘벡 독립운동의 노선을 논할 때 블록은 일단 '주권파(Souverainistes)'로 분류되지만, 막상 퀘벡주 정계로부터는 사회민주주의 중도좌파 퀘벡당과 극좌 성향의 퀘벡연대[17] 등의 주권파 세력이 엉성하게 뭉친 빅텐트 정도로만 인식되어 결속력이 약하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블록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하기 이전 퀘벡당 소속의 주의원으로서 퀘벡주 환경장관직을 역임했던 이브-프랑수아 블랑셰 당수조차도 어떤 사안을 두고 자유당 또는 보수당과 협력한다는 발언을 할 때면 어김없이 퀘벡당에게 따끔한 일침을 들을 정도이다. 한편 블록의 인사들 중엔 퀘벡미래연합 창당 당시 동참한 인사들도 일부 있는데, 이 정당은 오늘날에는 주권파와는 구분되는 '자치파(Autonomistes)'라는 별도의 세력으로 분류되고 심지어 CAQ의 프랑수아 르고 퀘벡주총리가 연방선거에서 블록이 아닌 캐나다 보수당을 지지할 의향을 내비친 적도 있을 정도라서 주권파 빅텐트 성격의 블록과는 간극이 다소 벌어진 상태이다. 반대로 독립에 극구 반대하는 '연방파(Fédéralistes)'들은 연방정치에서 매일 키배를 벌이는 자유당과 보수당이 퀘벡주 한정으로 퀘벡 자유당을 빅텐트삼아 뭉치는 기현상도 관찰된다.[18]
[1] 상원 폐지를 당론으로 밀고 있는 당이라 상원에 진출하지 않는다. 참고로 캐나다는 하원의 권한이 상원보다 크며, 상원은 일종의 추천제로 직접 선거로 뽑는 자리가 아니다.[2] =제1야당[3] 첫 연방선거 도전이었던 1993년 총선 때의 일로, 당시 킴 캠밸 총리의 진보보수당은 당시 자유당 대표였던 장 크레티엥의 안면장애를 비웃는(...) 캠페인을 TV 광고로 내는 자폭을 저질러서 146석을 잃어 2석만 남기고 패망했고, 캐나다 서부를 중심으로 한창 떠오르던 신생 보수정당 캐나다 개혁당은 패망한 진보보수당 후보들에게 표가 갈리는 바람에 52석에 그쳤고 54석의 퀘벡 블록에 이은 원내 3당에 만족해야했다. 이후 암흑기를 거친 개혁당과 진보보수당 등 보수 정당들은 2003년 보수당으로 통합된다.[4] 질 뒤셉 대표가 2015년 사임한 후 당 대표가 축출되는 등 혼란이 있었지만(심지어 2018년에는 잠깐이지만 퀘벡 블록 의원 5명이 탈당을 선언하고 자기들끼리 회파를 구성하기도 했다), 2019년 1월 이브-프랑수아 블랑셰 대표가 취임한 이후 어느 정도 안정을 되찾았다.[5] 퀘벡주의 에너지 공기업인 이드로 퀘벡이 세계 최대급의 수력발전 기업이기 때문에 연방 차원에서 친환경 정책을 밀수록 퀘벡주는 유리할 수밖에 없다. 퀘벡만큼은 아니지만 온타리오주 역시 나이아가라 폭포 등 수력발전으로 이득을 챙기고 오대호 연안 미국 주들에게 에너지를 팔고 있기 때문에 기후위기와 환경보호 문제에서는 퀘벡과 호흡이 잘 맞는 편이다. 대서양주들의 경우 석유 및 천연자원이 나는 곳이 꽤 있지만 아무래도 앨버타만큼 딸린 인구가 많진 않고 석유에 절실히 의존하는 편까진 아니다보니 동부의 의제에 적당히 묻어가는 편. 반대로 앨버타, 서스캐처원 등 중서부 산유주들은 탄소세같은 소리가 나올 때마다 부들부들하며 보수당의 석유산업 친화정책에 호응한다.[6] 영미권에서 유사한 성격의 정당으로는 스코틀랜드 국민당이 있다. 다만 영국에서는 석유가 스코틀랜드 앞바다에서 터졌다(...)는 차이가 있다.[7] 보수당의 홈그라운드인 앨버타, 서스캐처원 등의 산유주로서의 이권과 프랑스어권에 무심한 태도 등이 퀘벡에게 유리한 기후위기 대응 의제와 이중언어체제와는 정면으로 충돌하기 때문.[8] 보수당이 자유당 피에르 트뤼도 총리의 장기 집권에 따른 만년 야당 신세를 타개하고자 퀘벡주 출신 멀로니를 밀어줬다. 이름만 보면 흔한 앵글로폰 같아보이지만 실제로는 보수정당 역사상 보기 드문 퀘벡주 출신 모태 바이링구얼이자 애향심이 지극한 퀘벡인이었기에 진보보수당이 프레리를 넘어 퀘벡까지 접수하리라는 기대를 모았다.[9] 멀로니의 딸인 캐롤라인은 10대 시절 부샤르의 선거운동 캠프에서 일한 적도 했다. 그랬던 친한 아저씨가 아버지와 갈라서고 아버지의 당을 박살내버릴 때엔 큰 배신감을 느꼈다고. 이 캐롤라인은 2025년 현재 온타리오 주의회에서 장관급 각료로 활동하고 있다.[10] 원래는 미치 호 협정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진보보수당과 자유당의 주권파 의원들이 잠시 초당적 협력을 하던 협의체였으나, 미치 호 협정을 문제삼은 장 샤레(Jean Charest) 의원의 보고서가 나오자 이에 반발한 환경장관 부샤르 의원이 다른 퀘벡 지역구 토리 의원 5명과 함께 블록에 입당했고 자유당 출신 2명도 합류하며 본격적으로 연방정치를 시작했다. 얄굿게도 부샤르는 훗날 퀘벡당의 당수 겸 퀘벡주총리로 재임하는 동안 장 샤레가 퀘벡 자유당의 당수로 올라서며 퀘벡주 정치판에서 숙명의 라이벌로 대결하게 된다.[11] 퀘벡은 20세기 오랜기간 자유당의 텃밭으로 알려졌고 틀린 말도 아니지만, 1980년대는 달랐다. 피에르 트뤼도의 말년 분위기를 알아볼 필요가 있는데, 트뤼도는 총리 재임기간 말년에는 퀘벡주민들로부터의 평가가 미묘하게 나빠지던 편이었다. 1982년 캐나다 자치령의 캐나다국(國)으로의 체제 전환을 선포하는 개헌 과정에서 퀘벡주의 동의 서명을 받지 않고 밀어붙인 사건, 그리고 자유당 거물들이 휘말린 여러 스캔들로 몸살을 앓기도 했다. 결국 1984년 트뤼도의 정계 은퇴 선언 이후, 자유당은 존 터너 총리 체제에서 열린 선거에서 퀘벡의 패권을 상실하다시피 한다. 진보보수당은 이 시기 브라이언 멀로니라는 퀘벡 출신 모태 바이링구얼 보수정치인이 당수로 전면에 나서며 퀘벡의 헤게모니를 뺏어오고 총리에 등극했다. 멀로니는 취임 직후부터 신자유주의 정책으로 캐나다 경제 호황을 이끌었지만, 퀘벡 자치권 확대 정책 때문에 서부의 집토끼들이 분노하는 역설적인 흐름 덕에 실각했다. 결국 1993년에는 서부 BC 출신인 킴 캠벨 총리에게 정권을 넘긴 상태로 총선을 열었으나, 본 문서의 주인공인 퀘벡 블록의 연방선거 데뷔가 이 해였다.[12] 원래 연방정부가 직접 제작하는 양 언어별 1회씩의 토론을 개최하여 국영 Radio-Canada와 CBC를 통해 생방송하지만, 전통적으로 정당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민영방송에서 한 차례씩 TV토론을 더 개최해왔다. 불어권 TV토론은 TVA에서 주로 개최했지만, 이 제작비가 너무 비싸니 내기 싫다는 이유로 카니가 출연을 거부했다.[13] 2022년 퀘벡미래연합의 주도로 도입된 퀘벡주 법안으로, 기존의 불어 보호 정책을 한층 강화하여 공공기관에서 불어를 퀘벡의 유일무이한 공용어로 사용함은 물론 25인 이상의 기업은 반드시 업무시 불어를 사용해야 한다는 등 한층 강화된 매운맛(?) 불어 보호정책이다.[14] 이 법안에 따르면 각종 제품 및 상품의 패키지에도 불어 설명을 다른 언어에 비해 우선하여 혹은 잘 두드러져보이게끔 표기해야 하는데, 캐나다산보다도 미국산 수입품들이 가장 큰 타격을 입는다.[15] 카니는 퀘벡주 96호 법안에 대해 과도하다는 취지로 비판한 적이 있었다. 몬트리올, 가티노, 셔브룩 등의 영어친화적 도시에 사는 앙글로폰 거주민들은 실제로 자녀의 학군이나 의료기관 같은 민감한 영역에서도 이 규제가 적용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 그러나 아직도 캐나다 사회에서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 싸우고 있는 주권파의 입장에서는 가재는 게편이라고 맹비난할 수밖에.[16] 이와 비슷한 단일언어정당으로는 2025년 2월을 끝으로 해산한 매버릭당(The Maverick Party)이 있는데, 이 쪽은 영어만 고집하며 불어 쓰는 저 놈들 함께해서 더러웠고 다신 만나지 말자(...)는 이유로 퀘벡 독립을 열렬히 지지하는 앨버타 분리주의 정당이었다.[17] 스펙트럼상 신민당과 비슷하지만 신민당은 2024년까지 자체적으로 지역단위 퀘벡 신민당과 연대하다 퀘벡 신민당이 해산하고는 공식적으로 퀘벡주에서는 지역정당과의 제휴관계가 없다.[18] 퀘벡 보수당이라는 연대정당이 있긴 있는데 과거 문 닫은 정당을 2009년에 되살린 정당이고 그나마 있는 퀘벡 보수 풀뿌리 표심을 퀘벡자유당과 퀘벡미래연합이 많이 가져가다보니 지지세 확장은 요원하기만 하다. 그나마 2022년 주 총선에서야 겨우 전체 득표수 기준 두자릿수 퍼센티지를 기록했으나 0석 원외정당의 신세는 면하지 못한 상태. 이 때문에 캐나다 보수당은 퀘벡 보수당의 자력갱생을 하염없이 기다리기보다는 퀘벡미래연합과의 관계 개선에 집중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