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스 세계 챔피언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2대 엠마누엘 라스커 | 4대 알렉산더 알레킨 | ||
| 5대 막스 오이베 | 6대 미하일 보트비닉 | 8대 미하일 탈 | ||
| 10대 보리스 스파스키 | 11대 바비 피셔 | 12대 아나톨리 카르포프 | ||
| 13대 가리 카스파로프 | 14대 블라디미르 크램닉 | 15대 비스와나탄 아난드 | 16대 망누스 칼센 | |
| 17대 딩리런 | 18대 구케시 디 | }}}}}}}}} |
| <colbgcolor=#F4DFC1,#F4DFC1><colcolor=#8F5432,#8F5432> 제14대 체스 세계 챔피언 Vladimir Kramnik Влади́мир Бори́сович Кра́мник 블라디미르 보리소비치 크람니크 | |
| 출생 | 1975년 6월 25일([age(1975-06-25)]세) |
러시아 SFSR 크라스노다르 지방 투압세 | |
| 국적 | |
| 타이틀 | GM (1992) |
| 세계 챔피언 | 2000-2006 (PCA) 2006-2007(통합) |
| Elo 레이팅 | 2817 (최대 레이팅) |
| 최고 랭킹 | 1위 |
| | |
1. 개요
블라디미르 크램닉은 러시아의 체스 선수이자 14대 세계 챔피언이다.2. 선수 경력
2.1. 초기 경력
1992년, GM이 되었다.2.2. 1990년대
1995년 가리 카스파로프 vs 비스와나탄 아난드의 대결에서 카스파로프의 보조로 활동하였다.1996년 처음으로 세계 1위에 등극하였다. 그렇게 당시 10년넘게 이어지던 가리 카스파로프의 1위 기록은 깨지게 되었다.[1] 여담으로, 당시 크램닉은 최연소 세계 1위였으며, 이 기록은 14년 후 망누스 칼센에 의해 깨지게 된다.
2.3. 2000년 PCA 월드 챔피언십
2000년 가리 카스파로프를 상대로 단 한 경기도 내주지 않고 승리하여 챔피언이 되었다. 크램닉의 승리는 20세기 체스계 최대 이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2.4. vs 딥 프릿츠
| 딥 프릿츠와 경기하고 있는 크램닉[2] |
[include(틀:체스게임, info=Deep Fritz vs Kramnik,
a8=, b8=, c8=, d8=, e8=, f8=Nw, g8=, h8=Kb,
a7=Qb, b7=, c7=, d7=, e7=, f7=, g7=Pb, h7=,
a6=, b6=, c6=, d6=, e6=, f6=, g6=, h6=Pb,
a5=, b5=, c5=, d5=, e5=Pw, f5=, g5=, h5=,
a4=Pb, b4=Pb, c4=, d4=, e4=Qw, f4=, g4=, h4=,
a3=, b3=, c3=, d3=, e3=, f3=, g3=, h3=,
a2=, b2=Pw, c2=, d2=, e2=, f2=, g2=Pw, h2=Pw,
a1=, b1=, c1=Bb, d1=, e1=, f1=, g1=, h1=Kw,
caption=흑차례)]
딥 프릿츠와의 2경기에서 딥 프릿츠(백)는 다음 수에 Qh7로 체크메이트를 노리고 있다. 하지만 크램닉(흑)은 1수 메이트 위험을 보지 못하고 다른 수를 두어 게임에서 패배했다.(34...Qe3?? 35.Qh7#) 세계 최고수가 스탠다드 경기에서 1수 메이트를 못 본건 유례가 없던 일이다. 이는 세기의 블런더로 불리며 체스 역사에서 최악의 수를 뽑을 때 항상 들어가곤 한다(...) 체스베이스 사이트는 게임 평가에서 이 수에 대해 ???를, GM 수잔 폴가는 ?????를 주었다.
2.5. 2004년 PCA 월드 챔피언십
2004년 크램닉은 페테르 레코를 상대로 타이틀 방어전을 치루었고, 13라운드까지 1점 뒤쳐졌으나, 14라운드에서 승리하여 동점을 만들었고, 당시 규정에 의해 동점이었음에도 챔피언이던 크램닉이 타이틀을 방어하게 되었다. [3]2.6. 2006년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2006년 FIDE 챔피언 베셀린 토팔로프와의 통합 챔피언전에서 승리하며 1992년 이후 다시 유일한 챔피언이 되었다.2.7. 2007년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2007년 비스와나탄 아난드에게 타이틀을 빼앗긴다.2.8. 2008년 세계체스연맹 월드 챔피언십
2008년, 아난드에게 도전하였으나, 6.5대 4.5로 패배하였다.2.9. 2012년 도전자 결정전
2012년 도전자 결정전에서 4강에서 탈락하였다.2.10. 2013년 도전자 결정전
2013년 도전자 결정전에서 망누스 칼센과 동점을 기록했으나, 타이브레이크 규정에 의해 우승은 칼센이 차지했다.2.11. 2014년 도전자 결정전
2014년 도전자 결정전에서 3위를 기록하였다.2.12. 은퇴
2019년에 은퇴를 선언했고 경쟁 게임에는 출전하지 않고 있다.2020년 Google DeepMind와 협업해서 AlphaZero와 무승부를 줄이고 더 참신한 오프닝 이론이 나올 수 있는 변형 체스를 연구했다.# 크램닉은 캐슬링을 금지한다면 킹이 더 오래 위험한 위치에 있게 되므로 공격적이고 역동적인 게임을 유도한다고 평가했다. 그래서 2021년에 직접 아난드와 No-castling chess 이벤트 매치를 열어서 경기했다.
3. 기풍
약점이 없는 단단한 기풍으로 굉장히 꺾기 힘든 선수로 꼽혔다. 변칙적인 수를 두기보단 메인라인 연구를 극한까지 파고들어 오프닝 이론과 엔드게임 스킬에서 우위를 가지는 스타일이었다. 그래서인지 인공지능 일치도가 가리 카스파로프보다 높으며, 현 챔피언 망누스 칼센에 이은 역대 2위이다."백으로 이기고 흑으로 비긴다."는 전략을 잘 썼다. 오늘날 흑의 드로우 웨폰으로 악명높은 루이 로페즈의 베를린 디펜스도 크램닉이 카스파로프와의 챔피언전에서 주무기로 사용한 이후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페트로프 디펜스의 전문가기도 했다.
4. 논란
4.1. 부적절한 치팅 음모론 제기
크램닉은 자신을 "온라인 체스의 청렴성을 지키는 수호자"로 자처하며 대대적인 반-치팅 운동을 벌이고 있다.하지만 치팅 의혹을 제시하면서도 자신은 그저 “흥미로운 통계”를 제시할 뿐이라며 말을 돌리고, 객관적인 통계를 제시한다고 하지만 스스로도 통계학의 기본도 이해하지 못한 궤변을 일삼고 있다. 체스에서의 치팅은 매우 심각한 문제이기는 하고 탑 플레이어들은 치터들이 많다는 문제의식 자체에는 공감하기에 옹호받기도 하지만, 일반 팬들 사이에서는 거의 노망난 사람 취급하는 분위기이다.
- 한스 니먼 치팅 논란 — 크램닉은 체스닷컴 블리츠 경기에서 니먼에게 패배한 뒤 프로필 문구를 치터를 비난하는 내용으로 바꾸었다. 이후 재경기에서 1. ...f6 2. ...g5를 두며 치팅 항의 의사를 표현했고, 니먼은 3. Qh5#을 두지 않고 기권했다#.
- 히카루 나카무라 - 같은 해 히카루 나카무라가 체스닷컴 블리츠 레이팅 최고 기록을 세우자 인간이 세울 수 없는 기록이라며 의혹을 제기하기도 했다. 정확히는 점수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한 것이 아니라, 연승 기록이 이상하다며 의혹 제기를 한 것이다. 다만 이는 크램닉이 확률론에 대해 무지하여 생긴 억지 의혹으로, 무승부가 없고 승패가 반반의 랜덤 확률이라고 하면 10연승을 할 확률은 0.1% 미만이지만 몇 천 판을 하면서 10연승을 한 번이라도 할 확률은 매우 높아진다는 점을 간과한 것이다. 특정 수가 의심스럽다고 한 것도 아니고 연승한 것 자체만 문제를 삼았기 때문에 사실상 크램닉의 주장에는 근거가 전혀 없다.
심지어 히카루는 블리츠 실력으로는 역대급으로 평가받는 선수이고 체스닷컴에서 몇만 판을 플레이했으며, 연승 기록의 대부분은 자신보다 한 수 아래의 선수와 계속 재대결을 하면서 쌓은 것이다. 히카루 스스로도 증초 없는 블리츠에서는 고수가 실수해서 불리한 포지션으로 들어가더라도 버티면서 시간승할 수가 있기 때문에 업셋이 더 힘들고, 상대가 연패하다 보면 멘탈이 나가기 때문에 자기가 연승 기록을 쌓기가 점점 더 쉬워진다며 연승의 원천을 설명한 바 있다. 심지어 히카루는 방송하면서 체스를 뒀고, 수의 의미를 실시간으로 설명하며 뒀기에 치팅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다.
이후 2023년 12월 24일 체스닷컴이 히카루의 블리츠 경기에 대한 2,000건 가량의 보고서를 생성하여 분석하였으나 어떠한 부정행위의 증거도 찾지 못했다고 발표하였다. 그와 함께 크램닉의 의혹 제시가 너무 공격적이고 근거가 빈약하다는 이유로 그의 체스닷컴 블로그를 폐쇄하며 이 의혹은 사실상 거짓 주장인 것으로 확정되었다.
- 호세 마르티네스 알칸타라 — 크램닉은 페루 출신 GM 마르티네스(Jospem)의 온라인 성적이 오프라인보다 과도하게 높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양측은 2024년 6월과 8월 하이브리드 매치를 진행했고, 결과적으로 마르티네스가 승리했다. 공식 판정은 없었으며, 커뮤니티에서는 크램닉의 근거없는 지목에 대한 비판이 강했다#.
- 데이비드 나바라 — 2024년 체코의 GM 나바라는 크램닉이 운영한 "Cheating Tuesdays" 목록에 포함되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나바라는 자신의 대국 데이터를 공개하며 크램닉의 분석이 오류와 왜곡에 근거했다고 반박했다#.
4.1.1. 다니엘 나로디츠키 치팅 의혹 제기
2024년 10월 16일에는 속기에서는 수위를 다투는 미국의 GM 다니엘 나로디츠키에게 치팅 의혹을 제기했다. # 나로디츠키가 온라인 경기 중 눈을 벽 쪽에 힐끔거리거나 온라인 블리츠 경기에서 뒀던 수 Bc8이 인간의 직관에는 어긋나는 엔진수라는 것이다. 나로디츠키는 본인의 스트리밍 환경을 공개하는 영상을 제작하여 맞섰으나, 이에 대해 이안 네폼니아치가 본인도 Bc8이 조금 이상하게 느껴졌다며 크램닉의 주장에 동조하는 트윗을 올리는 등 # 논란의 물결은 더욱 거세졌다.2025년 10월 18일, 나로디츠키는 평소와 달리 신체적,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로 마지막 스트리밍을 진행했다. 시청자들은 "그의 턱이 떨리고 눈이 커졌으며 말을 더듬었다"고 회상했고#, 마지막 방송에서 크램닉의 이름을 직접 언급하며 "자신이 계속 이겨서 증명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치팅이라 의심할 것"이라는 부담감을 토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스트리밍 이후, VOD가 삭제되자 크램닉은 X에서 나로디츠키의 VOD삭제와 이상행동을 문제삼으며 치팅과 약물 복용을 암시하는 글을 올렸다. #
다음 날 나로디츠키는 갑작스럽게 생을 마감하였다. 나로디츠키의 사망 발표 이후로도 크램닉은 추모나 반성은 커녕 본인의 X에 '비싼 값을 치렀다, 주변 사람들이 그의 문제를 숨기고 증거를 인멸했다'는 식으로 책임을 회피하고 적반하장으로 나로디츠키의 주변 사람을 비난하는 발언을 게시하면서[4] 전 세계 체스 팬들의 어마어마한 지탄을 받고 있다.
현재까지 사망 원인과 크램닉의 발언 사이의 직접적 인과관계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 사건은 체스계에서 "근거 없는 의혹 제기가 나로디츠키의 사망까지 이어졌다"는 인식이 지배적이다. 나로디츠키가 좋은 강의 퀄리티와 깔끔한 해설, 친절한 성품으로 커뮤니티의 절대적 지지를 받던 인물임까지 더해져, 원래도 없다시피 했던 크램닉의 평판은 실시간으로 급격히 추락하는 중이다.[5]
이에 망누스 칼센, 히카루 나카무라, 니할 사린 등 저명한 선수들이 크램닉을 공개적으로 비난했다.
한국 시간 10월 23일 목요일 오전 2시 15분에 세계체스연맹 회장이 나로디츠키에게 행한 모든 관련 공개 발언을 검토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했다[6]. 같은 날, 크램닉은 나다로츠키의 죽음이 "비극"이라고 했으며, 경찰 당국이 조사해야 하며 당국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자신을 허위사실로 비난하는 이들에게는 법적 조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5. 기타
체스를 둘 때 화장실을 많이 가기로 유명했다. 통합 챔피언전을 할 때, 그 전부터 서로 앙숙이었던 토팔로프가 크램닉이 화장실 가는 것에 치팅을 하기 위해 가는 것 아니냐는 신경전을 벌였고 이에 크램닉은 통합전을 거부하였고 한 게임을 부전패 당하는 해프닝이 있었다. 사이가 매우 안 좋았던 둘은 체스 두는 도중에 자유롭게 먹으라고 준비해둔 간식 종류와 간식 먹는 시간까지 규제하는 등 사소한 것에서까지 신경전을 벌였다. 화장실같은 경우도 치팅 안 하는 거 다 알고 있지만 멘탈을 긁기 위해 태클을 걸었다는 것이 중론이다.청소년 시절부터 담배를 피웠다. 비스와나탄 아난드가 청소년 크램닉을 만났을 때도 담배를 피고 있었다고.
카스파로프를 꺾고 챔피언에 올랐지만 정작 Elo 레이팅은 여전히 카스파로프가 1위였고, 카스파로프가 은퇴할 때까지 넘지 못했기 때문에 최강자 대우는 못받은 콩라인이다.
키가 195cm로 엄청난 장신이다. 또한 강직성 척추염을 앓고 있어 건강 문제가 은퇴 전까지 대회 참여에 많은 악영향을 줬다.
6. 둘러보기
|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1886 | | | 10 | 5 | | |
| 1889 | | | 10½ | 6½ | | |
| 1890 | | | 10½ | 8½ | | |
| 1892 | | | 12½ | 10½ | | |
| 1894 | | | 7 | 12 | | |
| 1896 | | | 12½ | 4½ | | |
| 1907 | | | 10½ | 5½ | | |
| 1908 | 뮌헨 | | 10½ | 5½ | | |
| 1910 | | | 9½ | 1½ | | |
| 1921 | | | 5 | 9 | | |
| 1927 | | | 3 | 6 | | |
| 1929 | | | 15½ | 10½ | | |
| 1934 | | | 15½ | 10½ | | |
| 1935 | | | 14½ | 15½ | | |
| 1937 | | | 9½ | 15½ | |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1948* | | 14 | | |||
| 1951 | | | 12 | 12 | | |
| 1954 | | | 12 | 12 | | |
| 1957 | | | 9½ | 12½ | | |
| 1958 | | | 10½ | 12½ | | |
| 1960 | | | 8½ | 12½ | | |
| 1961 | | | 8 | 13 | | |
| 1963 | | | 9½ | 12½ | | |
| 1966 | | | 12½ | 11½ | | |
| 1969 | | | 10½ | 12½ | | |
| 1972 | | | 8½ | 12½ | | |
| | - | | | |||
| 1978 | | | 6 | 5 | | |
| 1981 | | | 6 | 2 | | |
| 1984*** | | | 5 | 3 | | |
| 1985 | | | 11 | 13 | | |
| 1986 | | | 12½ | 11½ | | |
| 1987 | | | 12 | 12 | | |
| 1990 | | | 12½ | 11½ | |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장기화로 인한 중단, 무승부 포함 25:23 | ||||||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1993 | | | 12½ | 7½ | | |
| 1995 | | | 10½ | 7½ | | |
| 2000 | | | 6½ | 8½ | | |
| 2004 | | | 7 | 7 | |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wiki style="margin: -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 2006 | | | 6 [2½] | 6 [1½] | (FIDE 챔피언) | |
| 2007* | | | 8 | 9 | | |
| 2008 | | | 6½ | 4½ | | |
| 2010 | | | 6½ | 5½ | | |
| 2012 | | | 6 [2½] | 6 [1½] | | |
| 2013 | | | 3½ | 6½ | | |
| 2014 | | | 6½ | 4½ | | |
| 2016 | | | 6 [3] | 6 [1] | | |
| 2018 | | | 6 [3] | 6 [0] | | |
| 2021 | | | 7½ | 3½ | | |
| 2023** | | | 7 [1½] | 7 [2½] | | |
| 2024 | | | 6½ | 7½ | | |
| 2026 |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 ||||||
[1] 당시 크램닉과 카스파로프의 레이팅은 2775로 같았으나, 크램닉이 더 많은 경기를 했기에, 크램닉이 1위에 올랐다.[2] 하술되어 있는 34...Qe3?? 블런더를 두기 직전의 상황을 촬영한 사진이다.[3] 여담으로 14라운드에서 레코는 M2포지션에서 기권하였다. 그가 얼마나 간절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4] 이 문단에서 언급된 선수가 많은 만큼 크램닉의 행동들은 단순 의심병 환자 혹은 노망난 행동으로 볼 여지가 있었으나 다냐의 사망 소식 직후에조차 대놓고 그를 조롱하는 식의 내용을 개시하는 등 명백한 고인모독까지 시전하는 중.[5] 그 바비 피셔조차 차별, 증오 발언 및 피해망상이 문제였지 크램닉처럼 본인 때문에 죽었을지도 모르는 체스 선수를 두고 고인모독을 행하지는 않았다.[6] 하지만 체스 팬덤에서는 이러한 대응을 오히려 늑장 대응이라고 비판하고 있는데, 크램닉의 이러한 태도와 행각은 하루이틀 일이 아니었는데 결국 나로디츠키가 실제로 사망한 후에야 조사한다고 밝히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