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2 13:32:00

북면(인제)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9894>
파일:인제군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인제읍
기린면 남면 북면 상남면 서화면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미수복지역*
이포리 (서화면)
*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능이 없다.
}}}}}}}}} ||
인제군
북면
北面 | Buk-myeon
<colbgcolor=#00989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강원특별자치도
기초자치단체 인제군
행정표준코드 4331035
관할 법정리 4리
하위 행정구역 18행정리 86반
면적 349.10㎢
인구 7,893명[1]
인구밀도 22.61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양수 (재선)
강원특별자치도의원 | 인제군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엄윤순 (초선)
인제군의원 | 가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도형 (3선)

파일:zsdkl3gasdg.svg
신동성 (초선)

파일:zsdkl3gasdg.svg
이수현 (초선) }}}}}}}}}
행정복지센터 금강로 55 (원통리 658-3)
1. 개요2. 특징3. 하위 행정구역4. 교통5. 여담
[clearfix]

1. 개요

인제군 북부에 위치한 면. 면소재지는 원통리이다.

2. 특징

면의 중심가이자, 면사무소 소재지인 원통리라는 유명한 리가 있다. 원통버스터미널도 있고, 심지어 원통면이나 원통읍으로 잘못 불리는 경우도 흔하다. 그래서인지 아예 이름을 원통면으로 바꾸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2023년 현재에도 지지부진한 상태이다.기사

서울과 동해안을 이어주는 교통의 요지에 있는 곳이라 명실상부 인제읍에 이은 제2 번화가로 통하나 막상 인구 증가세는 그렇게 뚜렷하지 않은 편이다.

군부대를 제외하고는 삼림이 대부분인지라 공기가 좋아서 반딧불이도 볼 수 있으며, 주말에는 영동고속도로서울양양고속도로헬게이트를 피해 44번 국도가 있는 이 동네로 우회하여 속초 쪽으로 가는 수입차들을 의외로 좀 볼 수 있다. 용대리 일대에 설악산국립공원백담사, 오세암이 있다. 설악산국립공원과 그 주변에 계곡 및 폭포들도 많으며 백담사 만해마을, 용대리 황태마을도 있다.

3. 하위 행정구역

원통리* 월학리 한계리 용대리
* : 면사무소 소재지

4. 교통

한계령을 통해 양양군 서면으로, 미시령을 통해 속초시[4], 진부령을 통해 고성군 간성읍으로 갈 수 있다. 그래서 속초, 양양, 고성(간성, 거진, 대진) 등을 오고가는 시외버스들이 원통에서 중간 승하차한다.

2027년에 춘천속초선이 개통하면 원통리에는 인제역, 용대리에는 백담역이 생기고 서울행 KTX-이음이 운행할 예정이다.

5. 여담

2006년 7월 15일에 한계령으로 가는 길목인 한계리에서 수해가 발생해 큰 피해를 입은 곳이다. 가 보면 알겠지만 한계리 일대에 민박집이 꽤 있는 편인지라 이쪽으로 다니는 금강고속의 농어촌버스 행선판도 "민박촌"으로 표기할 정도인데, 수해 때문에 제대로 직격탄을 맞았다.


[1] 2023년 5월 주민등록인구[2] 지역마다 다르지만 영남권은 홍천(대구, 울산, 부산, 경주, 포항방면), 원주(주로 창원, 안동, 영주방면) 등지로 환승하러 간다. 호남/충남/서부경남은 동서울 확정. 상봉 노선은 운휴라고 쓰고 사실상 폐지됐다.[3] 그 전에는 용대리에서 원통으로 가는 중간에 "ㄱ"자 도로가 있었다.[4] 지리상 고성군 토성면을 먼저 거쳐야 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4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