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5:57:34

부산 버스 강서9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6ebf46>
파일:강서구(부산광역시) CI_White.svg
부산광역시
강서구 마을버스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A] 2[A] 5 6
7[A] 7-2[A] 8 9[A]
9-1[A] 11[A] 12[A] 13
15[A] 16[A] 19 20
21 22
강서1-1/6-1/7-1/12-1은 다람쥐버스 틀 참고
[A] :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 ||

파일:부산강서구_9번.jpg
성산 단축이전의 모습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차량5. 특징
5.1. 개편 이후
6. 시간표
6.1. 노선

1. 개요

녹산버스에서 운행하는 부산광역시 강서구 마을버스 노선이다.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9번
기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신호동(신호마을) 종점 부산광역시 강서구 녹산동(성산)
종점
첫차 06:00 기점
첫차 06:25
막차 21:00 막차 21:25
배차간격 60~90분
운수사명 녹산버스 인가대수 1대
노선 신호마을 - 신호농협 - 르노코리아남문 - 서번산업 - 세주정공 - 우방아이유쉘아파트 - 녹산중학교 - 성산

3. 역사

4. 차량

파일:1472284500.jpg
2004년 하단역[3]에서 촬영된 사진으로서 신호교통에서 녹산마을버스로 넘어간지 얼마 안된 시절이였다.[4] 차량의 노후화가 심한 지 앞부분은 도색도 제대로 안되어있고 청테이프로 회사명을 붙이고 다녔다.[5] 덧붙이자면 해당 차량에는 바닥에 구멍이 뚫려 있었다. 그저 대형버스라는 것을 위안삼아야 할 판이었다. 또한 예비차가 부족하면 태영버스 시내버스 예비차를 빌려와 행선판만 부착한 채 운행한 적도 있었다.[6]

동일 회사의 다른 차량같으면 에어로타운 뒷문 이후 부분을 빙 둘러앉는 형식의 롱시트 형태로 개조한 차량도 있었다. 에어로시티 입석형 2인석을 뜯어와서 지하철 롱시트와 유사한 배치를 한 것도 있었다. 부산의 제부여객이라 봐도 될 정도로 재정상황부터 임기응변식 대처까지 매우 비슷한 상황이었다.[7]

파일:강서9번.jpg
무려 구도색에다 구형 번호판이다(...). 차급이 확 내려가긴 했지만 그래도 같은 회사, 같은 노선이라고 하기엔 위 사진에 비하면 개과천선 그 자체.[8]

5. 특징

===# 개편 이전 #===

5.1. 개편 이후

6. 시간표

상시 운행하지않는다고 봐야한다. 부산시 교통국에서 경고지시가 내려올때만 랜덤 운행한다.

6.1.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강서9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낙동남로
명지시장 ▼▲ 을숙도
르노대로
진목 ▼▲ 명지시장
낙동남로
산양마을입구 ▼▲ 녹산농협
녹산화전로
▲ 산양마을입구
화전산단3로
세주정공 ▼
화전산단6로
부산은행화전공단지점 ▼▲ 세주정공
화전산단2로
사암마을 ▼▲ LS산전
녹산화전로
삼성자동차출고사무소 ▼▲ 삼성자동차출고사무소
녹산산업북로
▲ 삼성서비스센터
녹산산업대로
신호하수처리장 ▼
르노대로
신호윌아파트105동 ▼▲ 삼성자동차정문
신호산단2로
신호윌아파트 ▼▲ 신호윌아파트105동
신호산단3로
▲ 신호윌아파트
신호산단4로64번길
신호마을 ▼▲ 신호소방서
신호산단1로
}}}}}}}}} ||

[1] 그 중에는 BS106L도 있었다.[2] 2010년 7월 1일 녹산버스로 변경[3] 그 당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없었다.[4] 해당 차량은 용일여객 출신 중고차량이었다고 한다.[5] 사진은 녹산교통으로 넘어간 직후로, 신호교통 시절에는 사명이 제대로 붙어 있었으나 녹산교통으로 넘어가면서 저렇게 대충 때워붙인 것이다. 위 차량은 2번 대차되어 강서20번, 강서20-1번, 강서9-2번에서 운행하다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개선형 저상으로 대차되어 강서20번으로 이동되었다.[6] 강서9번 포함 구.강서10번, 강서16번도 간혹 시내버스 예비차를 투입한 사례가 있었다.[7] 당시 제부여객도 눈물 없이는 볼 수 없는 역사가 많았다. 좌석버스에 입석시트라는 민원이 들어오자 폐차장에서 시트 떼어서 박아넣고 우등도색 115H를 녹슨 채로 운행하던 시절이 있었다. 지금은 녹산버스, 제부여객 모두 주인을 잘 만나서 꽤 나아졌다.[8] 위 차량은 레스타로 대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