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7:06:20

법부

파일: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문장.svg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경각부 | 京各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황제
의정부
,내각,
궁내부 중추원
,중추부,
원수부
,친위부,
내부
,이조,
외부
,통리,
탁지부
,호조,
군부
,병조,
규장각
비서원

시종원
장례원
종부사
법부
,형조,
학부
,예조,
농상공부
,공조,
경부
,포도,
고려 중앙정치기구 · 조선 중앙정치기구
}}}}}}}}} ||
<colbgcolor=#29176e> 법부
法府
Ministry of Justice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colcolor=#ffd700> 설립일 개국 503년 법무아문
폐지일 융희 4년 8월 29일 국권피탈
대신 고영희 (말대), 32대
소재지

법부 청사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문화회관
1. 개요2. 상세3. 청사4. 법부대신

[clearfix]

1. 개요

法府(Ministry of Justice/Judicature)

조선 말기부터 대한제국까지 법무 행정을 관장하던 관청. 지금의 대한민국 법무부와 비슷한 역할을 하였다.

2. 상세

파일:대한제국 국장 겸 황실 문장.svg
대한제국 법부
大韓帝國 法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법부
,법관양성소, ,· 대신관방,
평리원
,고등재판소,
특별법원 대심원
,공소원,
,지방재판소,
,구재판소,
회계국 민사국 형사국 검사국
한성재판소 지방재판소 개항장재판소 순회재판소
}}}}}}}}} ||

1894년 형조의 소관 업무를 계승하였던 법무아문을 개칭한 것으로 사법 형정·사면·복권 및 재판소의 감독에 관한 일을 담당하였다. 관원으로는 대신 1인, 협판 1인, 참의 1인 국장 4인, 검사 3인, 참서관 7인, 주사 28인을 정원으로 하였다. 그 뒤 1899년에 국장 1인, 참서관 2인, 주사 10인 등을 감원하였다.

법부 안에는 대신관방·민사국·형사국·검사국·회계국 등을 설치하였고, 특별 법원과 고등 재판소, 지방 재판소와 법관 양성소 등을 관할하였다. 그 뒤 1899년에 법부 4국은 사리국·법무국·회계국으로 변경되었고, 1907년 내부경시청의 속해있던 감옥서가 법부 관할 기관으로 이전되어 감옥이란 명칭으로 개칭되었다. 1909년 '한국의 사법 및 감옥 사무를 일본 정부에 위탁하는 건에 관한 각서'가 체결되면서 법부의 기능은 정지되어 소멸되었다.

아래는 법부에 속해있던 관서들이다.

3. 청사

파일:형조다운로드 (3).jpg
파일:2_00000.jpg
<colbgcolor=#29176e> 대한제국 법부청사

법부청사는 육조거리의 형조 건물을 사용하였다. 현재 당시 사진이 전해지는게 없는 관계로 청사 내부의 업무 모습이나 법부청사 건물의 정확한 모습은 확인이 불가능하다.

4. 법부대신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7054c, #29176e 20%, #29176e 80%, #07054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de0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서광범
제2대

장석주
제3대

조병직
제4대

이범진
제5대

한규설
제6대

조병식
제7대

한규설
제8대

조병식
제9대

이유인
제10대

조병직
제11대

신기선
제12대

서정순
제13대

한규설
제14대

윤웅렬
제15대

이도재
제16대

유기환
제17대

권재형
제18대

신기선
제19대

한규설
제20대

이재극
제21대

이지용
제22대

박제순
제23대

김가진
제24대

권중현
제25대

박제순
제26대

이지용
제27대

이근호
제28대

박제순
제29대

민영기
제30대

이근택
제31대

권중현
제32대

박용대
제33대

이하영
제34대

조중응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제34대

조중응
제35대

고영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