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일준 Park Il Joon | |
| |
<colbgcolor=#008000><colcolor=#fff> 본명 | 박양엽 |
출생 | 1954년 5월 31일 ([age(1954-05-31)]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 |
신체 | B형 |
데뷔 | 1977년 노래 '오 진아' |
가족 | 배우자 임경애, 아들 박형우, 딸 박혜나[1] |
종교 | 불교[2] |
직업 | 가수 |
사이트 |
1. 개요
대한민국의 트로트 가수.미군이었던 부친과 한국인인 모친 사이에서 태어난 혼혈이다.
전성기 이후에 한때 사업 실패와 그로 인한 잦은 음주로 인해 사망 일보 직전까지 갔지만, 간신히 회복했고, 지금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으며, 또한 손주도 넷이나 둔 할아버지가 되었다.
인순이, 한현민, 전태풍 등과 함께 한흑혼혈이라 불리는 아프로아시아인이다보니 '오! 진아', '잘가요' 같은 히트곡에도 30년이 넘도록 혼혈 가수라는 꼬리표가 따라다녀 고생했다고 한다. 특히 그의 활동 초기 시기에는 혼혈아의 부모를 타민족에게 몸을 팔았다며 '튀기'라는 멸칭으로 부르기도 했기 때문에 더더욱 인종차별의 아픔을 겪었을 듯 하다.
오죽하면 아내도 토크쇼 나와 90년대 말하길, 결혼해서 임신하자 우유를 그리도 많이 마시는 미신같은 짓을 했다고 회고했다. 되도록이며 피부가 검지 말라고 우유를 마셨다며 지금 생각하면 얼마나 바보같은 짓이냐고 하겠지만 그때는 그랬다고 씁쓸하게 말했다. 이러한 아픔 때문에 버락 오바마의 미합중국 대통령 당선 당시 한국에서 유색인종에 대한 이미지가 나아질 것이라며 다문화 가정에 희망을 주었다고 눈물이 나올 정도로 기쁘다고 표현하기도 했다. # 실제로 미국에서도 오바마의 당선을 계기로 흑인혼혈인 등에 대한 대우에 대한 문제가 조명되었었는데, 이 영향인지 박일준이 본래는 외모로 인해 한국 국적이 아닐 것이라며 미국 공항에서 실랑이가 잦았는데, 현재는 바로 통과할 수 있다고 한다.
한창 전성기였을때 개그맨이나 영화배우로서도 활동한 적이 있다. 80년대 초반 MBC 폭소대작전에서 햄버거 집에서 일어나는 에피소드들을 보여주는 '다섯 식구들'이라는 코너가 있었다. 배일집과 정애자가 가게 주인 내외이고, 종업원으로 박일준 이규혁이 나왔는데, 박일준이 촐싹맞은 사고뭉치로 나와 제법 코미디 연기를 잘 보여줬다. 하지만 배우로선 가수에 비해 그다지 성공하지 못했는데 90년대 토크쇼에 나와 이야기하길 미국에서 영화 촬영차 바이크 타고 길을 가다가 미국 경찰에게 멈추라는 말을 듣고 이야기를 하는데, 박일준 본인도 영어는 제법 하며 의사소통까지는 문제가 없었으나... 그 백인 경찰이 "당신 직업이 뭐요?"라고 하기에 배우라고 하자 마구 웃더니 "거짓말 마시오. 내가 영화 무척 좋아하여 엄청 영화 많이 보는데 당신은 전혀 처음 보오."라고 말하기에 미국이 아니라 타국에서 활동한다고 하자 "아... 그래요?" 라는 반응이었다고 한다.
그밖에도 사우디아라비아에 무슨 일이 있어 갔는데, 자신을 한국인이라는 걸 믿지 않던 공항 경찰이 상사가 그 사람 혼혈이다라는 듯이 말한 거 같더라(사우디아라비아어를 몰라서) 그러자 그 경찰이 영어로 "아, 믹서 꼬레?"라고 말하기에 박일준 본인이 그렇다라는 듯이 대하자 통과시키던 일화도 박일준이 토크쇼에서 직접 말한 바 있다.
2. 경력
3. 수상
4. 앨범
- 1977년 오! 진아[3]
- 1978년 잘가요 / 파란 마음 / 아가씨
- 1979년 누나야 / 당신뿐인데
- 1980년 꽃네야 / 타인의 가방
- 1981년 닻 / 참아야만 하겠지
- 1983년 잊을길 정말 없어요 / 누가 와 나를 찾으면
- 1985년 아내의 기도 / 분홍빛 사연은 모르지만
- 1986년 그 사람 / 이 세상 끝까지
- 1991년 사랑은 3.14 / 너는 지금 어디에
- 2005년 왜 왜 왜[4]
- 2008년 2008 트위스트 박
- 2011년 꽃바람 불면
- 2012년 남자도 가끔 / 올레길 / 꽃바람 불면
- 2012년 박일준
- 2014년 놀아봅시다
- 2016년 한박자 쉬고
- 2016년 꽃네야 / 타인의 가방
- 2016년 닻 / 참아야만 하겠지
- 2018년 미웠다가 그리웠다가
- 2019년 죽고 못 사는 웬수 / 이젠 너의 삶이다
- 2022년 인생은[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