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27 18:35:41

미스터 앤더슨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매트릭스 시리즈의 주인공 토마스 앤더슨}}}에 대한 내용은 [[네오(매트릭스 시리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네오(매트릭스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네오(매트릭스 시리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매트릭스 시리즈의 주인공 토마스 앤더슨: }}}[[네오(매트릭스 시리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네오(매트릭스 시리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네오(매트릭스 시리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3bbea2db65cd94dc-600x338.jpg
MR. ANDERSON

1. 프로필2. 소개3. 커리어4. 피니시 무브5. 평가6. 여담7. 둘러보기

1. 프로필

이름 Kenneth Anderson
생년월일 1976년 3월 6일 ([age(1976-03-06)]세)
출생지 미국 위스콘신 주 위스콘신래피즈[1]
신체조건 188cm, 110kg
레슬링 데뷔 1999년
챔피언 경력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2회
WWE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챔피언 1회
머니 인 더 뱅크 매치 우승 (2007)
ACW 헤비웨이트 챔피언 4회
ACW 태그팀 챔피언 3회
ACW 텔레비전 챔피언 1회
BL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cOw / WPWI 유나이티드 챔피언 1회
GL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MA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A 미드웨스트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NWE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PWP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UPCW 태그팀 챔피언 1회
WAW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XICW 태그팀 챔피언 1회
피니쉬 무브 마이크 체크
그린베이 플런지
켄턴 밤
유형 쇼맨
테마곡 Wreckin' Ball
Turn Up The Trouble V1
Turn Up The Trouble V2
Turn Up The Trouble V3
Turn Up The Trouble V4
Feedback

2. 소개

미국프로레슬러. 본명은 케네스 앤더슨(Kenneth Anderson). TNA에서의 링네임 미스터 앤더슨은 자신의 성인 '앤더슨'에서, WWE 활동 당시의 미스터 케네디는 자신의 이름인 케네스의 변형 이름이자 빈스 맥마흔의 미들네임에서 따왔다.

3. 커리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미스터 앤더슨/커리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 앤더슨/커리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미스터 앤더슨/커리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피니시 무브

초기에 사용한 피니쉬는 그린베이 플런지[2]로, 2단로프에서 상대를 스팀롤러 드롭으로 떨어지는 기술이었다. 레슬매니아 23에서는 사다리 위에서 혼스워글에게 그린베이 플런지를 날리는 무시무시한 모습도 보여줬다. 그러나 시전자의 목에 부담을 주는 기술이라 봉인된 후 스탠딩 자세의 일반기인 JFK(Just Finished by Kennedy)란 이름으로 사용했다.[3]

파일:external/i718.photobucket.com/KentonBomb.gif

이후 피니쉬 무브로 제프 하디의 스완턴 밤과 동일기인 켄턴 밤을 사용하지만 제프 하디에 비해 시전이 불안하고, 제프 하디와 중복된다는 이유로 봉인했다.

그리고 상대방의 다리를 걸어 위력을 강화한 리버스 STO를 '마이크 체크'란 이름으로 방출 전까지 사용했다.

5. 평가

강렬한 마이크웍과 찌질한 연기로 많은 인기를 끌면서 메인이벤터로서의 가능성을 보였으나 결정적일 때 치고 올라가지 못했다. 그리고 경기력이 좋은 편이지만 꽤 불안정했다는 것이 문제였다. 경기 중 예정에 없던 공격을 하고, 서로 합을 맞췄을 때보다 강한 공격을 하거나, 부주의로 상대를 부상 입히거나 입힐 뻔했다는 일화가 은근 많다. 이런 이유로 존 시나, 랜디 오턴, 에디 게레로, 핀레이, 매트 하디 등 위상 & 경기 스타일 & 성격이 제각각 다른 선수들이 입을 모아 미스터 케네디의 경기방식에 대해 문제를 지적할 정도였다. 결국 이 문제로 인해 케네디는 WWE에서의 생활을 접어야 했다.

이는 케네디의 잘못도 있긴 하지만 그의 불운도 한 몫 했다. 푸쉬를 받을만 하면 부상을 입거나, 약물에 걸리거나, 심지어는 의료진의 오심으로 인한 휴식 등으로 푸쉬가 끊겨서 다시 올라와야 했다. 언더테이커와 대립을 하거나 머니 인 더 뱅크에서 우승을 하기도 하고, DQ나 여러 요인들이 있지만 매인 이벤터와의 경기에서도 이기는등 생각보다 푸쉬를 줄려는 기미는 많이 보였다.

6. 여담


* 링 아나운서가 해줘야 할 자기 프로필 소개를 천장에서 내려오는 마이크를 받아서 본인 스스로 하는 독특한 방식을 취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실상 그의 상징과도 같은 세그먼트. 이중에서도 미스타아아아아아아아아아아 케네뒤이이이이이이이이!!!!!!!!!! (몇초 쉼) 케네디이!! 라고 자기 이름을 두 번 외치는 것이 백미. 꼭 두 번이어야 한다. 때로 세그먼트 중 한 번만 케네디!를 외친 후, 떠날 것처럼 하다 급작스럽게 돌아와서 한 번 더 외칠 때도 있었다. WWE를 떠난 이후에도 이 독특한 자기소개 세그먼트는 계속 사용 중이다.
참고로 이 세그먼트는 본인의 학창시절 경험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탄생했다고 한다. 고등학교 때 교내 아나운서로 활동했는데, 어느날 열린 모교 농구 경기를 라디오 중계하던 중, 친구가 선수 소개를 할 때, 성을 두 번 부르면 재미있을 것 같다는 아이디어를 제공하길래, 그대로 써먹었더니 반응이 좋았고, 이걸 살짝 변형해 '미스터 케네디' 기믹으로 이어간 것이라고 한다.
미스터 케네디 상대 6명의 챔피언 기록
순서 로스터 상대자 날짜 일정 쇼 및 PPV 결과 기타
#1 부커 T 2005년 9월 1일 스맥다운 [7]
#2 레이 미스테리오 2005년 9월 23일 스맥다운 [8]
#3 바티스타 2006년 7월 23일 그레이트 아메리칸 배쉬 2006 (DQ)승 [9]
#4 언더테이커 2006년 10월 08일 노 머시 2006 (DQ)승 [10]
#5 케인 2006년 10월 27일 스맥다운 [11] [12]
#6 크리스 벤와 2007년 1월 5일 스맥다운 [13]

7. 둘러보기

파일:프로레슬링 옵저버 로고.png 레슬링 옵저버 선정 최고의 기믹
존 브래드쇼 레이필드
(2004)
미스터 케네디
(2005)
라틴 아메리칸 익스체인지
(2006)
파일:external/www.wwe.com/MoneyInTheBank_0--25745c993d0d1c6d7df0306a42110b9d.png 역대 머니 인 더 뱅크 우승자
랍 밴 댐
(2006)
미스터 케네디
(2007)
CM 펑크
(2008, 2009)
파일:BoundGloryLogo2010.png
역대 바운드 포 글로리 메인이벤트[★]
2010.10.10 TN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커트 앵글 vs 제프 하디 vs 미스터 앤더슨
파일:1casda.jpg
{{{#!folding 【 IMMORTAL 】 해체 선언 당시의 멤버
에릭 비숍 거너 릭 플레어 불리 레이 커트 앵글
전 멤버
어비스 헐크 호건 제프 하디 머피 잭슨 제임스
랍 테리 매트 하디 카렌 제럿 타미 드리머 크리스 해리스
스캇 스타이너 미스터 앤더슨
연합 그룹 서브 그룹
포튠 하디 보이즈
}}} ||

[1] 링 위에서는 위스콘신 주 그린베이 출신으로 소개[2] 자신의 고향에서 이름을 따왔다.[3] 핀레이의 '핀레이 롤'과 동일기. 셰이머스도 동일기를 쓴다.[4] 그레이트 칼리의 매니저[5] 셸턴 벤자민과 MVP도 WWE 1기 말기 때 푸대접으로 WWE를 퇴사했으나, WWE와 원만한 관계로 지내서 복귀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미스터 앤더슨은 WWE 퇴사 후 랜디 오턴트리플 H의 비판을 넘어 조롱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복귀 가능성이 적다. 현재 자기 관리도 실패하여 꽤나 좋지 않은 몸매에, 미즈와 캐릭터가 겹치기에 WWE가 그를 재영입할 이유도 없다.[6] 당연히 클린한 승리는 아니었고 반칙이나 난입 등의 도움을 얻은 승리였다.[7] 크리스찬과 부커 T의 아네 샤멜이 다투는 중에, 부커 T가 경기에 집중을 못한 채, 그의 그린베이 플런지 피니쉬를 날려 핀폴 승.[8] 말을 타고 있는 JBL이 나타나 레이를 방해하여, 그의 그린베이 플런지 피니쉬를 날려 핀폴 승.[9] 턴 버클에서 바티스타한테 무차별인 공격을 당해 DQ 승.[10] 본인의 US 타이틀을 들고 링에 올라, 주심 찰스 로빈슨이 케네디를 말렸는데, 케네디의 US 타이틀을 들었던 언더테이커가 그에게 벨트샷을 날려 DQ승.[11] 이 매치는 NO DQ 매치다.[12] MVP가 난입해 턴버클에 오른 케인을 밀치는데다가 쵸크슬램을 시전하는 중에 체어샷에 맞아, 핀폴 하는 중, 케네디를 도와 케네디 승.[13] 이 매치는 비트 더 스프린트 클락(Beat the Sprint Clock) 매치다. 링 턴버클 윗 패드를 제거하여, 벤와를 제거한 턴버클에 있는 패드쪽에 밀어 머리에 맞아 바로 핀폴하여 승리 및 기록 갱신.[★] 오른쪽이 도전자, 밑줄이 승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