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032990><colcolor=#ffffff> | |
이름 | 무라카미 카나코([ruby(村上, ruby=むらかみ)] [ruby(佳菜子, ruby=かなこ)]) Kanako Murakami |
국적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출생 | 1994년 11월 7일 ([age(1994-11-07)]세) |
아이치현 나고야시 | |
학력 | 추쿄대학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신체 | 162cm |
은퇴 | 2017년 4월 23일 |
가족 | 부모님, 배우자(2024년 9월 18일 결혼-) |
링크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2.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032990><colcolor=#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 |
쇼트 | 68.51(2016 사대륙선수권) |
프리 | 132.18(2014 사대륙선수권) |
총점 | 196.91(2014 사대륙선수권) |
3. 커리어
사대륙선수권 | ||
금메달 | 2014 타이베이 | 여자 싱글 |
동메달 | 2013 오사카 | 여자 싱글 |
그랑프리 파이널 | ||
동메달 | 2010-11 베이징 | 여자 싱글 |
월드 팀 트로피 | ||
금메달 | 2012 도쿄 | 단체전 |
동메달 | 2015 도쿄 | 단체전 |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2011 아스타나·알마티 | 여자 싱글 |
주니어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0 헤이그 | 여자 싱글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
금메달 | 2009-10 도쿄 | 여자 싱글 |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08–09 | 09–10 | 10–11 | 11–12 | 12–13 | 13–14 | 14–15 | 15–16 | 16–17 |
올림픽 | 12th | ||||||||
세계선수권 | 8th | 5th | 4th | 10th | 7th | ||||
사대륙선수권 | 4th | 3rd | 1st | 7th | |||||
GP 파이널 | 3rd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3rd | 4th | |||||||
GP 로스텔레콤 컵 | 4th | 7th | 11th | ||||||
GP 컵 오브 차이나 | 6th | 4th | 3rd | ||||||
GP 트로피 에릭 봉파르 | 4th | 4th | |||||||
GP NHK 트로피 | 3rd | 4th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1st | 10th | |||||||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6th | ||||||||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 7th | ||||||||
챌린지 컵 | 1st | ||||||||
아시안 게임 | 1st | ||||||||
아이스 챌린지 | 1st | ||||||||
국제대회:주니어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1st | ||||||||
JGP 파이널 | 4th | 1st | |||||||
JGP 크로아티아 | 1st | ||||||||
JGP 폴란드 | 1st | ||||||||
JGP 스페인 | 3rd | ||||||||
JGP 영국 | 1st | ||||||||
챌린지 컵 | 1st J | ||||||||
국내대회 | |||||||||
전일본선수권 | 7th | 5th | 3rd | 3rd | 2nd | 2nd | 5th | 6th | 8th |
전일본 주니어선수권 | 3rd | 1st | |||||||
주부 지역예선 | 1st | 1st | 2nd | ||||||
단체전 | |||||||||
월드 팀 트로피 | 6th P 1st T | 6th P 3rd T | |||||||
재팬 오픈 | 5th P | 4th P | |||||||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T=팀 결과, P=개인 결과, CS=챌린저 시리즈 |
4. 기타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열린 2009 전일본선수권에서 스즈키 아키코가 극적으로 확정이 된 이후 무라카미 카나코를 향해 화이팅을 날리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이때 무라카미는 5위를 했으며, 주니어 연령이라 순위권 안에 들었어도 어차피 올림픽 대표에는 뽑힐 수 없었다.
- 시니어 데뷔 시즌인 2010-11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도 동메달을 따며 기대되는 유망주로 화제가 되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체형변화를 겪고 점프의 축이 무너지는 등 슬럼프가 지속화 되었다.[1]
- 2013 세계선수권에서 4위를 기록했으나, 아사다 마오가 동메달을 강탈했다는 의견이 있었다.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대표 선수를 뽑는 2013 전일본선수권에서 2위를 하여, 올림픽 출전이 확정되었다. 그동안 마음고생이 심했는지 키스 앤 크라이 존에서 눈물을 쏟아내는 모습이 카메라에 잡혔다.
- 본인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이 끝나고 은퇴하여 유치원 교사를 희망했으나, 일본 연맹의 설득으로 선수 생활을 더 연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3시즌 간 좋은 성적을 내지 못하고 2017 월드 팀 트로피 갈라쇼에서 은퇴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99 핼리팩스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2000 오사카 | ||
3회 | 2001 솔트레이크 시티 | 4회 | 2002 전주 | |||
5회 | 2003 베이징 | 6회 | 2004 해밀턴 | |||
7회 | 2005 강릉 | 8회 | 2006 콜로라도 스프링스 | |||
9회 | 2007 콜로라도 스프링스 | 10회 | 2008 고양 | |||
11회 | 2009 밴쿠버 | 12회 | 2010 전주 | |||
13회 | 2011 타이페이 | 14회 | 2012 콜로라도 스프링스 | |||
15회 | 2013 오사카 | 16회 | 2014 타이페이 | |||
17회 | 2015 서울 | 18회 | 2016 타이페이 | |||
19회 | 2017 강릉 | 20회 | 2018 타이페이 | |||
21회 | 2019 애너하임 | 22회 | 2020 서울 | |||
23회 | 2021 시드니 | 취소COVID-19 | 24회 | 2022 탈린 | ||
25회 | 2023 콜로라도 스프링스 | 26회 | 2024 상하이 | |||
27회 | 2025 서울 | 28회 | 2026 베이징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회(1976년) ~ 50회(2025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76 므제브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977 므제브 | |||
3회 | 1978 므제브 | 4회 | 1979 아우크스부르크 | ||||
5회 | 1980 므제브 | 6회 | 1981 런던 | ||||
7회 | 1982 오버스트도르프 | 8회 | 1983 사라예보 | ||||
9회 | 1984 삿포로 | 10회 |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 ||||
11회 | 1986 사라예보 | 12회 | 1987 키치너 | ||||
13회 | 1988 브리즈번 | 14회 | 1989 사라예보 | ||||
15회 |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 16회 | 1991 부다페스트 | ||||
17회 | 1992 헐 | 18회 | 1993 서울 | ||||
19회 |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 20회 | 1995 부다페스트 | ||||
21회 | 1996 브리즈번 | 22회 | 1997 서울 | ||||
23회 | 1998 세인트 존 | 24회 | 1999 자그레브 | ||||
25회 | 2000 오버스트도르프 | 26회 | 2001 소피아 | ||||
27회 | 2002 하마르 | 28회 | 2003 오스트라바 | ||||
29회 | 2004 헤이그 | 30회 | 2005 키치너 | ||||
31회 | 2006 류블랴나 | 32회 | 2007 오버스트도르프 | ||||
33회 | 2008 소피아 | 34회 | 2009 소피아 | ||||
35회 | 2010 헤이그 | 36회 | 2011 강릉 | ||||
37회 | 2012 민스크 | 38회 | 2013 밀라노 | ||||
39회 | 2014 소피아 | 40회 | 2015 탈린 | ||||
41회 | 2016 데브레첸 | 42회 | 2017 타이베이 | ||||
43회 | 2018 소피아 | 44회 | 2019 자그레브 | ||||
45회 | 2020 탈린 | 46회 | 2021 하얼빈 | 취소COVID-19 | |||
47회 | 2022 탈린 | 48회 | 2023 캘거리 | ||||
49회 | 2024 타이베이 | 50회 | 2025 데브레첸 | }}}}}}}}} | |||
51회(2026년)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 2026 탈린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 | }}}}}}}}}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주니어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97-98 로잔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998-99 디트로이트 | ||
3회 | 1999-00 그단스크 | 4회 | 2000-01 에어 | |||
5회 | 2001-02 블레드 | 6회 | 2002-03 헤이그 | |||
7회 | 2003-04 말뫼 | 8회 | 2004-05 헬싱키 | |||
9회 | 2005-06 오스트라바 | 10회 | 2006-07 소피아 | |||
11회 | 2007-08 그단스크 | 12회 | 2008-09 고양 | |||
13회 | 2009-10 도쿄 | 14회 | 2010-11 베이징 | |||
15회 | 2011-12 퀘벡 | 16회 | 2012-13 소치 | |||
17회 | 2013-14 후쿠오카 | 18회 | 2014-15 바르셀로나 | |||
19회 | 2015-16 바르셀로나 | 20회 | 2016-17 마르세유 | |||
21회 | 2017-18 나고야 | 22회 | 2018-19 밴쿠버 | |||
23회 | 2019-20 토리노 | 24회 | 2020-21 베이징 | 취소COVID-19 | ||
25회 | 2021-22 오사카 | 취소COVID-19 | 26회 | 2022-23 토리노 | ||
27회 | 2023-24 베이징 | 28회 | 2024-25 그르노블 | |||
29회 | 2025-26 나고야 | 30회 | 2026-27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주니어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 bordercolor=#ffffff,#1f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 1986 삿포로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 1990 삿포로 | 미개최세계선수권과 겹침 | |
3회 | 1996 하얼빈 | 4회 | 1999 강원 | |||
5회 | 2003 아오모리 | 6회 | 2007 창춘 | |||
7회 | 2011 아스타나·알마티 | 8회 | 2017 삿포로 | |||
9회 | 2025 하얼빈 | 10회 | 2029 네옴시티 | |||
피겨 스케이팅 기타 국제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c3b6e; font-size: 1em;" | }}}}}}}}} |
[1] 점프의 축이 불안정했던 상황이었고, 이를 교정하지 않으면 체형 변화를 겪으면서 힘든 상황이 올 것이라고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았다. 그리고 이는 결국 현실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