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5:20:58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 -8px; margin-bottom: -8px"
<tablebordercolor=#ffffff,#1c1d1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c1d1f>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2회 3회 4회 5회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1986
삿포로
1990
삿포로
1996
하얼빈
1999
강원
2003
아오모리
6회 7회 8회 9회 10회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7
창춘
2011
아스타나·알마티
2017
삿포로
2025
하얼빈
2029
네옴
* 2021 동계 아시안 게임은 개최 희망지가 없는 관계로 코로나19와 무관하게 취소됨.
}}}}}}}}}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제5회 동계 아시안 게임
第5回アジア冬季競技大会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V Asian Winter Games Aomori 2003
파일:attachment/52724002437.jpg
대회기간 2003년 2월 1일 ~ 2003년 2월 8일
개최국
[[일본|]][[틀:국기|]][[틀:국기|]] / 아오모리현
슬로건 Asian Beat とどけ世界にアジアの響き
Asian Beat To The World
(세계를 향한 아시아의 힘찬 박동)
마스코트 윈타
참가국 17개국
참가선수 641명
경기종목 5개 종목 - 51개 세부 종목
개회 선언 나루히토
,일본 황태자,
선수 선서 기무라 키미노부
성화 점화 후쿠시 카요코
개·폐회식장 아오모리 체육관

1. 개요2. 메달 순위3.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4. 이모저모

[clearfix]

1. 개요

2003년 일본 아오모리현에서 개최된 제5회 동계 아시안 게임.

2. 메달 순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2003 아오모리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 순위
순위 국가 합계
1
[[일본|]][[틀:국기|]][[틀:국기|]]
24 23 20 67
2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10 8 10 28
3
[[중국|]][[틀:국기|]][[틀:국기|]]
9 11 13 33
4
[[카자흐스탄|]][[틀:국기|]][[틀:국기|]]
7 7 6 20
5
[[레바논|]][[틀:국기|]][[틀:국기|]]
1 1 0 2
6
[[북한|]][[틀:국기|]][[틀:국기|]]
0 1 1 2
7
[[우즈베키스탄|]][[틀:국기|]][[틀:국기|]]
0 0 1 1
합계 51 51 51 153

3. 대한민국의 메달리스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안현수
금 3
1,000m
금메달 1,500m
금메달 5,000m 계주
금메달 송석우
금 2 동 1
3,000m
금메달 5,000m 계주
동메달 500m
금메달 여준형
금 1
1,500m 계주
금메달 오세종
금 1
1,500m 계주
금메달 이승재
금 1 은 1 동 1
5,000m 계주
은메달 3,000m
동메달 1,500m
금메달 최은경
금 2 은 1
3,000m 계주
금메달 1,500m
은메달 3,000m
금메달 김민지
금 1 동 1
3,000m 계주
동메달 3,000m
금메달 조해리
금 1 은 1 동 1
3,000m 계주
은메달 1,500m
동메달 1,000m
금메달 주민진
금 1
3,000m 계주
동메달 고기현
동 1
1,000m
합계 금 6 은 3 동 5
스피드 스케이팅
금메달 이규혁
금 2
1,000m
금메달 1,500m
은메달 문준
은 1
1,500m
은메달 백은비
은 1 동 1
3,000m
동메달 1,500m
동메달 여상엽
동 1
1,500m
합계 금 2 은 2 동 2
스키점프
금메달 강칠구
금 1
라지힐 단체전
금메달 김현기
금 1
라지힐 단체전
금메달 최용직[1]
금 1
라지힐 단체전
금메달 최흥철
금 1 동 1
라지힐 단체전
동메달 남자 개인
합계 금 1 은 0 동 1
컬링
금메달 고승완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김수혁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박재철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이동건
금 1
남자대표팀
금메달 최민석
금 1
남자대표팀
은메달 김미연
은 1
여자대표팀
은메달 박경미
은 1
여자대표팀
은메달 박지현
은 1
여자대표팀
은메달 신미성
은 1
여자대표팀
은메달 이현정
은 1
여자대표팀
합계 금 1 은 1 동 0
바이애슬론
은메달 김경태
은 1
남자 계주 단체전
은메달 박윤배
은 1
남자 계주 단체전
은메달 손해권
은 1
남자 계주 단체전
은메달 신병국
은 1
남자 계주 단체전
합계 금 0 은 1 동 0
스노보드
은메달 지명곤
은 1
스키보드 회전
동메달 한진배
동 1
하프파이프
합계 금 0 은 1 동 1
알파인 스키
동메달 오재은
동 1
여자 회전
합계 금 0 은 0 동 1

4. 이모저모



[1] 이후 최서우로 개명했다.[2] 일본 스키점프는 당시 아시아에서는 적수가 없었고, 세계적으로도 상위권에 올라 있었다. 실제로 동계 아시안 게임이 끝나고 그 달 후반에 열렸던 세계 선수권에서도 단체전 은메달을 딸 정도였다. 아시안 게임에서는 일본의 일부 에이스 선수들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갑자기 불참하는 등의 사정이 있었던 반면, 한국 선수들은 대회 직전 열렸던 유니버시아드 대회 우승의 여세를 몰아 사기가 대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