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14:19:44
알료나 레오노바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ffffff)"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회 (1976년) ~ 50회 (2025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회 1976 므제브 수지 브래셔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2회 1977 므제브 캐롤린 스코젠 3회 1978 므제브 질 쇼어 4회 1979 아우크스부르크 일레인 자약 5회 1980 므제브 로잘린 섬너스 6회 1981 런던 티파니 친 7회 1982 오버스트도르프 자니아 버스 8회 1983 사라예보 시몬 코흐 9회 1984 삿포로 카린 헨드슈케 10회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타티아나 안드리바 11회 1986 사라예보 나탈리아 고르벤코 12회 1987 키치너 신디 보츠 13회 1988 브리즈번 크리스티 야마구치 14회 1989 사라예보 제시카 밀스 15회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사토 유카 16회 1991 부다페스트 수리야 보날리 17회 1992 헐 라에티티아 허벌트 18회 1993 서울 코이와이 쿠미코 19회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미셸 콴 20회 1995 부다페스트 이리나 슬루츠카야 21회 1996 브리즈번 옐레나 이바노바 22회 1997 서울 시드니 보겔 23회 1998 세인트 존 율리아 솔다토바 24회 1999 자그레브 다리아 티모셴코 25회 2000 오버스트도르프 제니퍼 커크 26회 2001 소피아 크리스티나 오블라소바 27회 2002 하마르 앤 패트리스 맥도너 28회 2003 오스트라바 오타 유키나 29회 2004 헤이그 안도 미키 30회 2005 키치너 아사다 마오 31회 2006 류블랴나 김연아 32회 2007 오버스트도르프 캐럴라인 장 33회 2008 소피아 레이첼 플랫 34회 2009 소피아 알료나 레오노바 35회 2010 헤이그 무라카미 카나코 36회 2011 강릉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37회 2012 민스크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38회 2013 밀라노 옐레나 라디오노바 39회 2014 소피아 옐레나 라디오노바 40회 2015 탈린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41회 2016 데브레첸 혼다 마린 42회 2017 타이베이 알리나 자기토바 43회 2018 소피아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44회 2019 자그레브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45회 2020 탈린 카밀라 발리예바 46회 2021 하얼빈 취소 COVID-19 47회 2022 탈린 이사보 레비토 48회 2023 캘거리 시마다 마오 49회 2024 타이베이 시마다 마오 50회 2025 데브레첸 ? }}}}}}}}} 51회 (2026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1회 2026 탈린 ?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52회 ?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885C2 20%, #FBB132 20%, #FBB132 40%, #000 40%, #000 60%, #1C8B3C 60%, #1C8B3C 80%, #ED334E 80%); font-size: 1em;" }}}}}}}}}
<colbgcolor=#cc0000><colcolor=#ffffff> 이름 알료나 이고례브나 레오노바 Алёна Игоревна Леонова Alena Igorevna Leonova 국적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출생 1990년 11월 23일 ([age(1990-11-23)]세) 소련 러시아 SFSR 레닌그라드 신체 159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1 . 개요2 . 선수 경력3 . ISU 공인 최고점수4 . 커리어5 . 기타 [clearfix]러시아 의 前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선수이다.2. 선수 경력2.1. 2006-07 시즌 컵 오브 니스 주니어 부문 우승, 2007 러시아선수권 7위, 2007 러시아 주니어선수권 2위, 2007 주니어 세계선수권 12위를 했다.2.2. 2007-08 시즌 2007 JGP 루마니아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2007 JGP 크로아티아에서는 5위를 했다. 작년에 이어 컵 오브 니스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했다. 2008 러시아선수권에서도 작년과 동일하게 7위를 했다. 2008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 2위를 차지하며 출전권을 얻은 2008 주니어 세계선수권 에서는 6위를 했다.2.3. 2008-09 시즌 컵 오브 니스 시니어 부문에 출전해 2위를 차지했다. 그랑프리 2008 컵 오브 차이나 에서 7위, 2008 컵 오브 러시아 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09 러시아선수권에서는 5위를 했지만, 이 대회의 1, 2위 선수들이 노비스(만 13세 미만) 연령인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와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였기 때문에 선수권 대회 출전권을 얻었다. 2009 유럽선수권 에서는 4위를 했다. 만 18세의 나이로 2009 주니어 세계선수권 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함께 경쟁한 선수들이 캐럴라인 장 , 애슐리 와그너 (이상 미국 ), 엘렌 게네바나시빌리(조지아 ) 등 쟁쟁한 선수들이었기 때문에 레오노바의 우승은 놀라운 일이었다. 2009 세계선수권 에도 출전해 7위를 기록했다. 2009 월드 팀 트로피 에서는 개인 6위, 러시아 팀은 5위를 기록했다.2.4. 2009-10 시즌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09 로스텔레콤 컵 에서 3위, 2009 NHK 트로피 에서 2위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09-10 그랑프리 파이널 에서는 6위최하위를 기록했다.2010 러시아선수권 에서는 2위를 차지하여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출전권을 얻었다. 2010 유럽선수권 에서는 7위를 기록했고,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에서는 9위를 기록했다. 2010 세계선수권 에서는 13위를 했다.2.5. 2010-11 시즌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3위, 컵 오브 니스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10 컵 오브 차이나 에서 3위를 했지만, 2010 로스텔레콤 컵 에서는 9위에 머물렀다. 2011 러시아선수권 에서는 주니어 연령인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에 이어 2위를 했다. 2011 유럽선수권 5위, 2011 세계선수권 4위를 기록했다.2.6. 2011-12 시즌2011 스케이트 캐나다 에서 4위를 했지만, 뒤이은 2011 NHK 트로피 동메달, 2011 로스텔레콤 컵 에서 은메달을 따며 커리어 두번째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1-12 그랑프리 파이널 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2 러시아선수권 에서도 3위를 기록했다. 2012 유럽선수권 에서는 7위를 했다. 2012 세계선수권 에서는 쇼트 1위에 오르고 프리는 4위를 기록했지만 최종 2위에 오르며 은메달 을 획득했다. 이로써 2005 세계선수권 의 이리나 슬루츠카야 이후 7년 만에 세계선수권 메달을 딴 러시아 여자 선수가 되었다. 또한 다음 시즌 러시아 의 세계선수권 여자 싱글 출전권을 3장으로 늘렸다. 2012 월드 팀 트로피 에서는 개인 7위, 러시아 팀은 5위를 기록했다. 2.7. 2012-13 시즌2012 스케이트 아메리카 7위, 2012 로스텔레콤 컵 6위를 기록했다. 2013 러시아선수권 에서는 7위에 그쳐 유럽선수권 출전권은 얻지 못했지만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2013 세계선수권 에서는 13위를 기록했는데, 함께 출전한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와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 가 각각 9위와 10위를 기록해 러시아 의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출전권은 2장으로 줄었다. 2.8. 2013-14 시즌 발목 염좌로 인해 첫 그랑프리 대회인 2013 스케이트 캐나다 를 기권했다. 이후 회복하여 2013 NHK 트로피 에서 7위를 했다. 2014 러시아선수권 에서 5위를 기록하여 사실상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출전은 무산되었지만, 3위와 4위 선수들이 주니어 연령인 옐레나 라디오노바 와 알렉산드라 프로클로바 였기 때문에 유럽선수권 출전권을 얻었다. 2014 유럽선수권 에서는 4위를 했다.2.9. 2014-15 시즌2014년 6월, 코치를 니콜라이 모로조프에서 예브게니 루카비친으로 변경하고, 훈련지를 상트페테르부르크 로 옮겼다. 이 시즌부터 생긴 2014 CS 네벨혼 트로피 에서 2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14 스케이트 캐나다 에서 6위를 기록했고, 또다른 2014 CS 아이스 챌린지 에서는 4위를 했다. 다음 그랑프리 2014 NHK 트로피 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2015 러시아선수권 에서는 7위를 했고 유니버시아드 출전권을 얻었다.2015 그라나다 동계 유니버시아드 에서 우승을 차지했다.2.10. 2015-16 시즌2015 CS 네벨혼 트로피 에서 2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컵 오브 니스에서도 2위를 했다. 그랑프리 2015 스케이트 캐나다 와 2015 NHK 트로피 에서는 모두 8위를 기록했다.2015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에서 4위를 했고, 2016 러시아선수권 에서 9위를 했다. 2.11. 2016-17 시즌2016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에서 6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컵 오브 니스에서 4위를 했다. 그랑프리 2016 트로피 드 프랑스 에서는 12위최하위를 했고, 2016 NHK 트로피 는 기권했다.2016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에서는 3위를 했다. 2017 러시아선수권 에서 13위,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 에서 5위를 했다.2.12. 2017-18 시즌2017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5위, 2017 CS 핀란디아 트로피 5위, 2017 NHK 트로피 6위,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 7위, 2018 러시아선수권 15위를 기록했다.2.13. 2018-19 시즌2018 NHK 트로피 에서 7위, 2019 러시아선수권 에서 12위를 기록했으며 이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3. ISU 공인 최고점수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06–07 07–08 08–09 09–10 10–11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18–19 올림픽 9th 세계선수권 7th 13th 4th 2nd 13th 유럽선수권 4th 7th 5th 7th 4th GP 파이널 6th 3rd GP 트로피 드 프랑스 12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7th 7th GP 스케이트 캐나다 4th WD 6th 8th GP NHK 트로피 2nd 3rd 7th 2nd 8th WD 6th 7th GP 컵 오브 러시아 5th 3rd 9th 2nd 6th GP 컵 오브 차이나 7th 3rd CS 핀란디아 트로피 5th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 6th 5th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 4th 3rd CS 아이스 챌린지 4th CS 네벨혼 트로피 2nd 2nd 메라노 컵 1st 유니버시아드 1st 5th 핀란디아 트로피 1st 3rd 컵 오브 니스 2nd 1st 2nd 4th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12th 6th 1st JGP 크로아티아 5th JGP 루마니아 2nd 컵 오브 니스 1st J 1st 국내대회 러시아선수권 7th 7th 5th 2nd 2nd 3rd 7th 5th 7th 9th 13th 15th 12th 러시아 주니어선수권 2nd 2nd 러시안 컵 파이널 3rd 5th 8th 12th 러시안 컵 2차 7th 러시안 컵 5차 1st 단체전 월드 팀 트로피 5th T 6th P 5th T 7th P 재팬 오픈 2nd T 4th P 3rd T 4th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