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7 22:44:15

모모야마 켄이치

모모야마 겐이치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17px-The_Imperial_Seal_of_Korea_03.png
일제강점기 왕공족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궁가의 종주와 그 배우자만 표기
왕족
창덕궁 이왕(왕공족 수장)
창덕궁 이왕 척(순종) 창덕궁 이왕 은(영친왕)
창덕궁 이왕비
이왕비 윤씨(순정효황후) 이왕비 마사코 여왕
덕수궁 이태왕
덕수궁 이태왕 형(고종)
공족
운현궁 종주
이희(흥친왕) 이준(영선군) 이우(흥영군) 이청(운현궁 종주)
운현궁 공비
이희공비 이씨(흥친왕비) 이준공비 김씨 이우공비 박찬주
사동궁 종주
이강(의친왕) 이건
사동궁 공비
이강공비 김씨(의친왕비) 이건공비 이성자(마츠다이라 요시코)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D90, #4851cb 20%, #4851cb 80%, #373D90); color: #FFD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400> 초대 제2대 초대 제3대 제4대
의친왕 이건 의친왕 이곤 이준
}}}}}}}}}
사동궁 제2대 궁주
<colbgcolor=#29176e><colcolor=#ffffff> 대한제국 고종의 손자
모모야마 켄이치 | 桃山虔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Prince_Yi_Geon_01.jpg
출생 1909년 10월 28일
대한제국 한성부 사동궁
(現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96)
사망 1990년 12월 21일 (향년 81세)
일본국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재임기간 사동궁 제2대 궁주
1930년 6월 12일 ~ 1947년 5월 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9176e><colcolor=#fff> 국적 <colbgcolor=#fff,#1f2023>
[[대한제국|]][[틀:국기|]][[틀:국기|]] (1909~1910)
(1910~1952)
조선적 (1952~1955)

[[일본|]][[틀:국기|]][[틀:국기|]] (1955~1990)
본관 전주 이씨
건(鍵) → 켄이치(虔一)[1]
아명 용길(勇吉)
부모 부친 의친왕 이강
적모 의친왕비 김덕수
생모 수관당 정씨
형제자매 이복동생: 이우, 이수길[2], 이곤, 이해원, 이해청, 이해룡[3], 이석
배우자 전처 마츠다이라 요시코(松平佳子)[4]
마에다 요시코(前田美子)[5]
자녀
2남 3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이기[6]
차남- 모모야마 코우야(桃山孝哉)
장녀- 이옥자[7]
차녀- 모모야마 쿠미(桃山久美)
삼녀- (이름 불명)
군사 경력
임관 일본육군사관학교
복무 일본 제국 육군
1932년 ~ 1945년
최종 계급 중좌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에서5. 자녀

[clearfix]

1. 개요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의 손자이자 의친왕장남이다. 한국명은 이건(李鍵). 의친왕과 마찬가지로 왕공족으로 생활했으나 이건은 국가에 대한 정체성도 없었던 걸로 보인다.

국적이 복잡한데 1909년에 대한제국에서 태어났으나, 1910년 경술국치일본 국적이 되었고, 1945년 종전으로 반 무국적 상태에 놓였다가, 1952년에 최종적으로 일본 국적이 박탈되었다.(자세한 사항은 조선적 문서로.) 그러나 1955년에 일본으로 귀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한제국 황실 출신의 한국계 일본인이다.

고종의 손자들 중에서 유일하게 대한제국 시기에 태어났다.

2. 생애

1909년(융희 3년)에 의친왕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수관당 정씨. 어릴 적 이름은 용길(勇吉)이었으나 1924년에 황족의 항렬에 맞추어 건(鍵)으로 개명했다. 1910년(융희 4년) 한일합방 당시에 왕공족고종황제, 순종황제, 순정효황후, 영친왕, 의친왕, 의친왕비, 흥친왕, 흥친왕비 등 8명이고 나머지 이왕가의 왕족들은 왕공족으로 대우받지 못했다. 그러다가 이건의 이복 동생인 이우가 1917년 3월 이준용양자로 들어가면서 왕공족이 되었고, 이건은 1930년 6월 아버지 의친왕이 일제의 압박으로 강제로 은퇴한 후 공(公) 작위를 계승했다.

1930년에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기병 소위로 임관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Prince_Yi_Geon_and_his_wife.jpg
파일:고궁-00024-0001_1.jpg
<colbgcolor=#29176e> 마츠다이라 요시코와 결혼한 이건[8]

1931년에 작은어머니의 이종사촌 여동생인 일본 여성인 마츠다이라 요시코(松平佳子)와 결혼했다. 요시코의 어머니인 마츠다이라 토시코(松平俊子)는, 이방자의 외할아버지 나베시마 나오히로(鍋島直大)가 측실 아사치요(朝千代)에게서 낳은 딸이다. 즉 토시코는 이방자의 이모, 요시코는 이방자의 이종 사촌 여동생이다. 즉 이방자는 이종사촌처형이자 작은어머니가 되는 겹사돈 관계가 성립된다. 마츠다이라 요시코는 이이 나오스케의 둘째 딸의 아들의 딸, 즉 증손녀이기도 하다.

1936년에 대위로 진급하고 육군대학을 졸업한 뒤 중좌 계급으로 종전을 맞았다. 1947년 왕공족 제도가 폐지되자 모모야마 켄이치(桃山虔一)란 이름을 쓴다. 장남 이충은 타다히사(忠久), 차남 이기는 킨야(欣也), 장녀 옥자는 아키코(明子)로 개명했다. 아내 요시코의 이름은 원래 세이코(誠子)였는데, 이때 요시코로 개명했다.

일본 패전 후, 이건과 요시코 부부는 시부야에서 단팥죽과 산양젖을 팔거나 제과점을 하며 생계를 꾸렸다. 1984년 이방자가 〈경향신문〉에 연재한 회고록[9]에 따르면, 그래도 엄연한 왕족이고 군대 장교였던 이건 공이 시장에서 단팥죽 장사를 한다는 게 믿기지 않아 몰래 찾아갔더니, 정말 이건 공과 요시코 부부가 '모모야‘라는 간판을 걸고 장사를 하고 있었다고. 영친왕이방자 여사는 굉장히 충격을 받아, 이건과 요시코에게 말도 붙이지 못하고 돌아왔으며 동시에 자신들도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함을 느꼈다고 한다. 독일어를 구사할 수 있어서 독일어 번역일 등을 하기도 했다. 요시코는 사교적인 성격이라 이 시절에 긴자의 클럽 등에서 일하기도 했는데, 이건은 이를 굉장히 싫어했고 서로 자주 싸웠다고 한다.

그러다가 아내의 외도에다, 결정적으로 장남 타다히사가 자신의 친자가 아님을 안 것을 계기로 1951년에 이혼했다. 이건에 따르면, 요시코에게 약혼 전부터 사귀던 일본 화족 청년이 있었다는 것과 결혼 10개월 만에 태어난 장남이 친자가 아닌것은 전쟁 중 혈액 검사를 통해 알게 되었다고 한다. 이혼 이후 차남 킨야는 이건이, 장남 타다히사와 아키코는 전처인 요시코가 키웠다. 1952년에 마에다 요시코(前田美子)와 재혼했고, 그 사이에서 3남 코우야(孝哉)와 3녀 쿠미(久美) 및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딸 1명을 낳았다. 1955년에 일본으로 귀화하였고, 1990년에 사망했다. (전처인 요시코는 2006년에 사망했다.)

말년에는 시영 임대 아파트에서 살다가 사망했다고 하며, 사망 시 다카히토 친왕이 빈소에 방문했다고 한다.[10]

3. 여담

4. 대중매체에서

5. 자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완전히 일본인으로 귀화하면서 개명했다.[2] 1917~1982.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관까지 역임했다.[3] 현 대한제국 황사손 이원의 생부.[4] 세이코(誠子)에서 개명했다고 한다. 1931년 결혼, 1951년 이혼.[5] 1952년 재혼.[6] 일본명 모모야마 킨야(桃山欣也)[7] 일본명 모모야마 아키코(桃山明子)[8] 우측사진 출처: 국립고궁박물관.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하다.[9] 원 제목은 《세월이여 왕조여》. 2014년에 출판사 지식 공장소에서 《나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 마사코입니다》로 재출간했다.[10] 한국어 위키에는 두 사람이 일본 육사 동기라고 표기하고 있으나 잘못이다. 실제로는 이건의 일본 육사 42기 동기 중에서 황족이라고는 쇼와의 사촌인 다케다노미야 츠네요시뿐이며 다카히토 친왕은 일본 육사 48기로서 격차가 상당한 편이다. 육사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이후 이건과 다카히토가 진학한 일본 육군 대학교의 경우에는 이건은 육군 대학 51기, 다카히토 친왕은 55기로 차이가 제법 나는 편이다. 결국 다카히토 친왕은 자신의 육사 및 육군 대학 선배이자 과거 황족 출신이었던 사람의 죽음을 애도하기 위해 온 것으로 보인다. 만일 다카히토와 이왕가의 누군가가 육사 혹은 육군 대학 재학 중에 만났다고 한다면 이건이 아니라 이건의 배다른 동생이자 육사 45기, 육대 54기생 이우였을 것이다.[11] 종손은 이우의 친동생인 이곤 일가.[12] 이충이 이건의 아들이 아니란 게 밝혀지기 전까지는 차남으로 알려져 있었다.[13] 다시 말해 킨야는 새어머니의 양동생이 된 셈이다.[14] 이충이 이건의 아들이 아니란 게 밝혀지기 전까지는 삼남으로 알려져 있었다.[15] 기타시라카와노미야 요시히사 친왕황적이탈한 6남 우에노 마사오(上野正雄) 백작의 양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