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1 22:51:03

마푸사우루스

파일:Semi_protect2.svg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 KST )
마푸사우루스
Mapusaurus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pusaurus.jpg
학명 Mapusaurus roseae
Coria & Currie, 200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용반목Saurischia
아목 수각아목Theropoda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과Carcharodontosauridae
아과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아과Carcharodontosaurinae
†기가노토사우루스족Giganotosaurini
마푸사우루스속Mapusaurus
  • †마푸사우루스 로세아이(Mapusaurus roseae)모식종
    Coria & Currie, 2006
파일:Mapusaurus_Roseae_restoration.png
복원도

1. 개요2. 특징 및 생태3. 대중 매체

[clearfix]

1. 개요

중생대 백악기 후기의 투로니아절에 아르헨티나에 살았던 수각류 공룡이다. 속명의 뜻은 '땅 도마뱀'.

2. 특징 및 생태

파일:마푸크기.png
인간과의 크기 비교

카르카로돈토사우루스기가노토사우루스족에 속하는 공룡이다. 기가노토사우루스와 매우 닮았으나 두개골 연구 결과 차이점이 발견되어 이 새로운 이름이 붙여졌다.[1] 몸길이는 최대 11~12m 정도에 몸무게는 최대 5~6t에 달한다고 추정된다.[A][3][4][5]

발견될 당시 여러 마리가 모여서 사냥하는 것처럼 발견되었기 때문에 유명해졌다. 발견지에는 약 300여 개의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특히 최소 7~9마리의 다양한 나이대의 개체들이 한 자리에 모인 것이 특이점이다.[A]
파일:Huincul_Formation.svg.png

후인쿨층에서 발견된 가장 큰 육식동물로 당시 최상위 포식자였다.[7] 마푸사우루스가 살았던 당시 남아메리카에는 많은 용각류들이 서식하고 있었는데, 아마 조각류[8] 또는 리마이사우루스나 카타르테사우라 같은 작은 레바키사우루스류 용각류를 주로 사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9] 아르겐티노사우루스와도 공존했는데, 아르겐티노사우루스는 모든 공룡 중에서도 가장 큰 초대형 크기의 동물이기 때문에 주로 어린 개체를 노렸을 것으로 보이며 그 외에도 구알리코아오니랍토르, 스코르피오베나토르 등의 중형 수각류와 공존했다. 그 외에 공존했던 동물로는 소형 수각류 후인쿨사우루스(Huinculsaurus), 오베로랍토르(Overoraptor) 등이 있었다.

2005년에 후인쿨층에서 발견되어 2016년에 명명된 중대형 육식공룡인 타우로베나토르는 2020년대 기준으로 마푸사우루스와의 화석과 별 차이가 없어 마푸사우루스와 동의어로 제안된다.

3. 대중 매체

파일:external/ichef.bbci.co.uk/mapusaurus_1.jpg

[1] 두 공룡의 생존 시기에도 차이가 있어서 기가노토사우루스와 마푸사우루스는 공존하지 않았다. 기가노토사우루스는 9500만년 전에 지구상에서 멸종한 것으로 추정되나 마푸사우루스는 9400만년 전에 등장했을 것으로 추정되니 100만년의 차이가 있는 셈이다.[A] Coria, R. A.; Currie, P. J. (2006). "A new carcharodontosaurid (Dinosauria, Theropoda) from the Upper Cretaceous of Argentina". Geodiversitas. 28 (1): 71–118. ISSN 1280-9659.[3] Holtz, Thomas R. (2021). "Theropod guild structure and the tyrannosaurid niche assimilation hypothesis: implications for predatory dinosaur macroecology and ontogeny in later Late Cretaceous Asiamerica". Canadian Journal of Earth Sciences. 58 (9): 778−795. doi:10.1139/cjes-2020-0174.[4] Holtz, T. (2015). Paleontologists: Searching for Dinosaur Bones. Enslow Publishing, LLC. p. 54. ISBN 978-0766069640.[5] Paul, Gregory S. (2024). The Princeton Field Guide to Dinosaur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p. 115. ISBN 9780691231570.[A] [7] 메락세스와는 생존 시기가 조금 달라서 공존하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8] 학명은 명명되지 않았지만, 조각류 화석이 후인쿨층에서 발견된 적이 있다.[9] 이 둘은 마푸사우루스와 크기가 비슷하거나 조금 작다.[10] 사실 '사냥하기에 너무 큰 먹잇감은 살을 베어먹고 살려둔다'라는 사냥법은 기존의 사냥법에 비해 대형 용각류의 반격을 각오할 위험 부담도 너무 크고, 한번에 섭취할 수 있는 양도 훨씬 적은 고위험 저보상 행위이니 실제 마푸사우루스는 이러한 사냥법을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어차피 살을 베는 데 적합한 이빨은 보다 작은 사냥감을 죽이거나 시체를 뜯는 용도에도 얼마든지 쓸 수 있기 때문이다.[11] 아르겐티노사우루스의 살점을 뜯어내려고 시도하나 실패한다. 이후 나중에 살점을 뜯은후 먹고 있는 동족의 것에 접근하지만 식사를 빼앗길 거라고 생각한 녀석이 화를 내 쫓아버린다.[12] 아르겐티노사우루스가 짓밟은 발자국이 몸에 선명하게 난 상태로 죽었다.[13] 사실, 이 에피소드에서는 용각류와 카르노사우리아 포식자들만 나왔지만, 이런 패턴은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들이 이들의 생태지위를 차지한 백악기 후기에도 반복된다. 다만, 티라노사우루스상과 공룡들은 각룡류들과 엮인다. 이 점은 에피소드 3에서 이미 나온 바 있다.[14] 이때 이 장면을 보면 뼈와 마푸사우루스를 빼면 아무것도 없고 배경음악도 쓸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