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11:06:58

루이 판할

루이스 판 할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반 할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Warhammer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반 할(Warhamme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루이 판할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감독
파일:escudo-holanda.png

43대, 47대, 53대
클럽 감독
파일:AFC 아약스 로고.svg

35대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2002~2017).svg

51대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57대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4대
}}} ||
루이 판할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월드사커 로고.png
파일:Logo-Rinus-Michels-Awards.png
2006-07 · 2008-09
}}} ||
네덜란드의 前 축구인
파일:반갈NED.jpg
<colbgcolor=#f0f0f0,#222222><colcolor=black,white> 이름 루이 판할[1]
Louis van Gaal
본명 알로이시위스 파울뤼스 마리아 판할
Aloysius Paulus Maria van Gaal
출생 1951년 8월 8일 ([age(1951-08-08)]세)
노르트홀란트주 암스테르담
국적
[[네덜란드|]][[틀:국기|]][[틀:국기|]]
신체 185cm
직업 축구 선수 (중앙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은퇴
축구 행정가 은퇴
소속 <colbgcolor=#f0f0f0,#222222><colcolor=black,white> 유스 RKSV 더 메이어 (미상~1972)
선수 AFC 아약스 (1972~1973)
로열 앤트워프 FC (1973~1977)
SC 텔스타 (1977~1978)
스파르타 로테르담 (1978~1986)
AZ 알크마르 (1986~1987)
감독 AZ 알크마르 (1986~1988 / 수석 코치)
AFC 아약스 (1988~1991 / 수석 코치)
AFC 아약스 (1991~1997)
FC 바르셀로나 (1997~2000)
네덜란드 대표팀 (2000~2002)
FC 바르셀로나 (2002~2003)
AZ 알크마르 (2005~2009)
FC 바이에른 뮌헨 (2009~2011)
네덜란드 대표팀 (2012~2014)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4~2016)
네덜란드 대표팀 (2021~2022)[2]
기타 AFC 아약스 (2004 / 기술 고문)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선수 경력3. 지도자 경력4. 평가5. 발언6. 감독 기록
6.1. 대회 기록6.2. 개인 수상6.3. 수훈
7. 여담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네덜란드의 前 축구인.

아약스, 바르셀로나, 네덜란드 대표팀, AZ 알크마르, 바이에른 뮌헨,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감독을 역임했다. 주요 업적으로는 아약스에서 에레디비시 3연패와 UCL · UEFA컵 우승, 바르셀로나에서 라리가 2연패, 바이에른 뮌헨에서 분데스리가 우승 및 UCL 준우승, 네덜란드 대표팀에서 2014 월드컵 3위 등이 있다. 감독으로서는 전술적으로 뛰어나고 유망주 발굴에 탁월하지만 독선적인 성격으로 구단 및 선수단과 여러 번 갈등을 일으킨 괴팍한 감독이라는 상반된 평을 받는다.

2. 선수 경력

지역 아마추어 구단인 RKSV 더 메어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1972년에는 아약스에 입단했다. 그러나 당시 판할의 포지션에 요한 크루이프요한 네스켄스 같은 명선수가 포진해 있는 바람에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벨기에 프로 리그 구단인 엔트워프로 이적했다.

엔트워프에서 네 시즌 동안 활동했으나 총 43경기에 출전하는 등 제대로 주전 멤버로 활약하지도 못하고 1977년 텔스타로 이적, 시즌 25경기에 출전하며 주전으로 도약한다.

텔스타로 판할을 불러들인 스승 미르체아 페테스쿠 감독이 스파르타 로테르담으로 팀을 옮기면서 판할도 같이 스파르타 로테르담으로 이적해 일곱 시즌 동안 리그 248경기에 출전하며 그나마 좋은 활약을 했다. 1986-87 시즌에 AZ 선수 겸 수석 코치로 이적하였고 동 시즌 직후 선수에서 은퇴한다.

3. 지도자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이 판할/지도자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이 판할/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발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루이 판할/발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감독 기록

6.1. 대회 기록

6.2. 개인 수상

6.3. 수훈

7. 여담

파일:external/f9417ec11ea1d7fa039cd8880aab80fa5a10562874dced9534855ca7106e4506.jpg
파일:external/i.telegraph.co.uk/mourinho-vangaal_3085522b.jpg
파일:external/i.dailymail.co.uk/2293D34300000578-3043853-image-a-1_1429286682286.jpg

8. 둘러보기

파일: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로고_좌우.svg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참가 감독
{{{#!wiki style="color:white;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00296d> A조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이스 펠리페
스콜라리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니코
코바치
파일:멕시코 국기.svg
미겔
에레라
파일:카메룬 국기.svg
폴커
핑케
B조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센테
델 보스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루이
판할
파일:칠레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호르헤
삼파올리
파일:호주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엔지
포스테코글루
C조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호세
페케르만
파일:그리스 국기.svg
페르난두
산투스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사브리
라무시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알베르토
자케로니
D조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오스카르
타바레스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호르헤 루이스
핀투
파일:잉글랜드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로이
호지슨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체사레
프란델리
E조 파일:스위스 국기.svg
오트마어
히츠펠트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레이날도
루에다
파일:프랑스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디디에
데샹
파일:온두라스 국기(1949-2022).svg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F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알레한드로
사베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사페트
수시치


파일:이란 국기.svg
카를로스
케이로스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스티븐
케시


G조 파일:독일 국기.svg
요아힘
뢰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울루
벤투


파일:가나 국기.svg
제임스
아피아


파일:미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위르겐
클린스만


H조 파일:벨기에 국기.svg
마르크
빌모츠
파일:알제리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바히드
할릴호지치
파일:러시아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파비오
카펠로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홍명보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50031, #330010)"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181818"
<colbgcolor=#990e31> A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아이콘.svg
펠릭스
산체스 바스
파일:2022 FIFA 월드컵 에콰도르 아이콘.svg
구스타보
알파로
파일:2022 FIFA 월드컵 세네갈 아이콘.svg
알리우
시세
파일:2022 FIFA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svg
루이
판할
B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잉글랜드 아이콘.svg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파일:2022 FIFA 월드컵 이란 아이콘.svg
카를로스
케이로스
파일:2022 FIFA 월드컵 미국 아이콘.svg
그렉
버홀터
파일:2022 FIFA 월드컵 웨일스 아이콘.svg

페이지
C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 아이콘.svg
리오넬
스칼로니

파일:2022 FIFA 월드컵 사우디아라비아 아이콘.svg
에르베
르나르


파일:2022 FIFA 월드컵 멕시코 아이콘.svg
헤라르도
마르티노


파일:2022 FIFA 월드컵 폴란드 아이콘.svg
체스와프
미흐니에비치


D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프랑스 아이콘.svg
디디에
데샹

파일:2022 FIFA 월드컵 호주 아이콘.svg
그레이엄
아놀드


파일:2022 FIFA 월드컵 덴마크 아이콘.svg
카스페르
히울만


파일:2022 FIFA 월드컵 튀니지 아이콘.svg
잘렐
카드리


E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스페인 아이콘.svg
루이스
엔리케
파일:2022 FIFA 월드컵 코스타리카 아이콘.svg
루이스 페르난도
수아레스
파일:2022 FIFA 월드컵 독일 아이콘.svg
한지
플릭
파일:2022 FIFA 월드컵 일본 아이콘.svg
모리야스
하지메
F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벨기에 아이콘.sv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파일:2022 FIFA 월드컵 캐나다 아이콘.svg

허드먼
파일:2022 FIFA 월드컵 모로코 아이콘.svg
왈리드
레그라귀
파일:2022 FIFA 월드컵 크로아티아 아이콘.svg
즐라트코
달리치
G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브라질 아이콘.svg

치치
파일:2022 FIFA 월드컵 세르비아 아이콘.svg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파일:2022 FIFA 월드컵 스위스 아이콘.svg
무라트
야킨
파일:2022 FIFA 월드컵 카메룬 아이콘.svg
리고베르
H조 파일:2022 FIFA 월드컵 포르투갈 아이콘.svg
페르난두
산투스
파일:2022 FIFA 월드컵 가나 아이콘.svg
오토
아도
파일:2022 FIFA 월드컵 우루과이 아이콘.svg
디에고
알론소
파일:2022 FIFA 월드컵 대한민국 아이콘.svg
파울루
벤투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3019341938195019541958
196219661970197419781982
198619901994199820022006
2010201420182022
}}}}}}}}}}}}

1 파스베이르 · 2 팀버르 · 3 더리흐트 · 4 버질 · 5 아케 · 6 더프레이 · 7 베르흐베인 · 8 각포 · 9 L. 더용
10 멤피스 · 11 베르하위스 · 12 · 13 베일로 · 14 클라선 · 15 더론 · 16 말라시아 · 17 블린트 · 18 얀센
19 베호르스트 · 20 코프메이너르스 · 21 F. 더용 · 22 뒴프리스 · 23 노퍼르트 · 24 테일러 · 25 사비 · 26 프림퐁
파일:2022 FIFA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svg 루이 판할
파일:2022 FIFA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svg 다니 블린트
파일:2022 FIFA 월드컵 네덜란드 아이콘.svg 에드가 다비즈



[1] 루이스가 아닌 루이가 맞는 표기.[2] 2022년 카타르 월드컵까지 지휘했다. 원인은 후술할 암 투병.[3] 제프 헤어베어거 상[4] 이게 얼마나 큰 욕이냐 하면, 디 마리아가 모신 감독 중에서는 디에고 마라도나도 있다. 즉, 디 마리아는 판 할이 감독으로서는 마라도나만도 못하다고 깐 것이다.[5] 2000년대부터 축구를 본 팬들은 알겠지만 이 둘의 사이는 견원지간 사이다. 결정적인 틀어진 원인은 스웨덴과 네덜란드의 경기에서의 즐라탄이 라피에게 한 태클이 고의성인지 아닌지 논란이 일어났다. 즐라탄은 고의가 아니라 했으나 라피나 네덜란드 언론은 즐라탄을 극딜했고, 결국 네덜란드를 떠나 이탈리아로 건너갔다.[6] '내가 겪은 최악의 감독' vs '너 혼자만 그렇게 생각한다' 원래 맨유 시절부터 사이가 굉장히 좋지 않았다.[7] 메시에게 챔스 결승전에서 3번 만나 3번 전부 패배했다. 메시의 7번째 발롱도르 수상때도 "이제 지겹다 그만 좀 줘라"라는 반응을 보였을 정도로 여러모로 메시에게 악감정이 강하다.[8] 영어를 그럭저럭 잘 하는 편이긴 하지만, 거의 준원어민이라 봐도 무방한 거스 히딩크뤼트 판니스텔로이 수준은 아니다. 악센트는 둘째치고, 표현 측면에서 영어식보다는 네덜란드어식 구어체 표현을 영어로 직역한 듯한 표현도 종종 구사한다. 예를 들어서, 이 영상에서 'now we have to play against Chelsea, but now in the Netherlands, they say "that's another cook" '라고 말하는데, 사람들의 반응은 '쿠키? 비스킷? 도대체 무슨 뜻이야?'였다. 네덜란드어의 'dat is een ander koekje'를 직역한 것인데, 굳이 영어로 의역하자면 'that's another story' 혹은 'that's something different'정도가 된다. 이외에도 이런 식의 어색한 표현을 자주 쓰는 편이다. 아예 유튜브에 van gall ultimate best fail compilations 판 할의 엄청난 영어 실수 모음 이라는 영상도 있을 정도다.[9] 스페인어도 뭔가 어색하다. 문법 실수도 자주하는 편이고 네덜란드어나 영어식 단어도 섞어버려 괴상한 표현을 만들어버린다.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원어민들은 이해하는데 그 이유는 스페인어권이 일상 회화를 하는데 있어 문법적인 실수에 관대하기 때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