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21:43:23

뚜루뚜루뚜 나롱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나롱이 시리즈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나롱이 시리즈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color=#ffffff> 설정 등장인물등장 지역
시리즈 목록 뚜루뚜루뚜 나롱이쾌걸롱맨 나롱이그린세이버
주요 등장인물 나롱이우꺄아짱나숭숭이타조리호비펭글박사카카나롱이 아빠나롱이 엄마
관련 문서 스튜디오 카브스피어즈 }}}}}}}}}
뚜루뚜루뚜 나롱이 (2004~2006)
Fly to the Sky, Nalong
<nopad> 파일:뚜루뚜루뚜 나롱이_2.jpg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d7c2f> 장르 일상
제작 총지휘 김신화
감독 김금수[1]
캐릭터 디자인
시리즈 구성 스튜디오 카브 시나리오 팀
미술 감독 김해성
색지정 고일준
촬영 감독 차종철
동화 작감 임종열
마스터 편집 김민호
음향 감독 고광현
음악 이종교
제작 프로듀서 천채정
책임 프로듀서 안정은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카브
제작
방영 기간 2004. 12. 24. ~ 2006. 01. 06.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BC / (금) 17:20
한국 정식발매 C4U Media (VHS)
편당 러닝타임 10분
화수 5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 모든 연령 시청가
}}}}}}}}}}}} ||

1. 개요2. 등장인물3. 주제가4. 평가 및 특징
4.1. 호평4.2. 비판
5. 여담

1. 개요

날개 달린 다람쥐를 본 적이 있니?
룰루숲 속 랄라마을에서 펼쳐지는 귀여운 나롱이와 친구들의 이야기. 주인공인 나롱이와 주변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밝은 분위기의 일상 시트콤이다.

2004년 크리스마스 이브에 방영을 시작하고 2006년 2월까지 방영한 한국 애니메이션이자 스튜디오 카브첫번째 TVA 나롱이 시리즈다.[2] 총 52화(4쿨) 완결.

네이버TV 슈퍼 서프라이즈 채널제작사의 정식 허가를 받은 유튜브 채널에서 전 회 감상할 수 있다.

디시인사이드에 뚜루뚜루뚜 나롱이 미니 갤러리가 존재하나, 이름만 이 작품에서 따온 여초 갤러리들의 대피소 개념 갤러리라서 이 작품 이야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전 작품인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와 다르게 전문 성우가 투입되었으며, 등장인물들이 말을 전혀 또는 거의 하지 못하거나 해도 변조나 빨리감기 등을 했던 전작과 달리 타조리를 제외하면 멀쩡히 사람처럼 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정식 등장인물이 나롱이, 우꺄, 타조리, 펭글박사, 나롱이 아빠, 나롱이 형님들 뿐이던 전작보다 새 등장인물이 많이 추가되고 기존 인물들도 작은 날개 나롱이나 스피어즈의 모습에서 많이 바뀌었다. 또한 인물들의 집이나 외모, 생활양식이 전반적으로 동물보다 사람에 더욱 가깝게 바뀌었다. 본격적인 세계관이 잡히면서 룰루숲 속 랄라마을이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여기서부터 나롱이는 날다람쥐가 아니라 천연기념물인 하늘다람쥐로 등장하며,[3] 특유의 귀여움으로 인해 이 작품부터 인기가 늘어난다.

주인공은 엄연히 나롱이지만, 기획부터 다양한 인물들의 다양한 이야기를 보여주는 방향으로 이뤄졌기 때문에 나롱이 외의 다른 인물들이 에피소드의 주역을 차지하기도 한다.

원제는 룰루숲속 랄라마을 뚜루뚜루뚜 나롱이로, 국내 애니메이션 제목 중 가장 길다. 즉, 일반적으로 불리는 뚜루뚜루뚜 나롱이는 약칭으로 원제가 길다 보니 대부분 뚜루뚜루뚜 나롱이로 불리며 MBC 방송국 등의 프로그램명에도 뚜루뚜루뚜 나롱이가 정식 명칭으로 올라왔다.

2. 등장인물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기타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나롱이 시리즈/등장인물]]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롱이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롱이 시리즈/등장인물#뚜루뚜루뚜 나롱이 (2004)|뚜루뚜루뚜 나롱이 (2004)]]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기타 등장인물: }}}[[나롱이 시리즈/등장인물]]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롱이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롱이 시리즈/등장인물#뚜루뚜루뚜 나롱이 (2004)|뚜루뚜루뚜 나롱이 (2004)]]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3. 주제가

OP
룰루숲속 랄라마을 뚜루뚜루뚜 나롱이
TV ver. (MBC)
Full ver.
<colbgcolor=#cd7c2f,#cd7c2f><colcolor=#373a3c,#dddddd> 노래 이승연
작사 송봉조
작곡 이종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굵은 글씨 부분이 정식 방영 버전에 나오는 부분이다.

오늘도 머리 위에 파란 하늘 바라보며

조금만 더 가까이 난 갈 수 없을까

나의 친구들은 날 보고 안 된다고 말하지만

아마도 좀 더 자라면 될 거라고 난 믿어

나롱이 쭉 팔을 벌려봐 (힘차게!)

하늘 높이 날아봐 (더 높이!)

내 꿈속에서 보았던 저 무지개 너머 (끝까지)

난 룰루숲속에 (어디쯤)

랄라마을에 살죠 (내 꿈은)

저 하늘을 날고 싶어 뚜루뚜루뚜 내 친구 나롱이
}}}}}}}}} ||
ED
언제나
TV ver. (MBC)[4]
TV ver. (투니버스)[5]
<colbgcolor=#cd7c2f,#cd7c2f><colcolor=#373a3c,#dddddd> 노래 이승연
작사 송봉조
작곡 이종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숲 속 친구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내일을 꿈꾸죠

햇살 눈부시게
우리의 미래를 환히 비춰줄 거야

아직은 어리고 잘 몰라도
우리들 맘에 꿈을 꾸는 거야

크게 웃어봐 (웃어봐) 소리쳐 (소리쳐)

신나는 목소리로 룰루랄라

언제나 내 소중한 숲 속 친구와 함께해

나롱이
}}}}}}}}} ||

4. 평가 및 특징

4.1. 호평

나롱이 시리즈 세계관의 토대를 다지고 각각의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을 확립시켜준 작품으로, 다양한 인물들의 캐릭터와 서사를 조명해줌으로써 주인공인 나롱이와 우꺄 외에도 여러 조연들에게까지 관심과 애착을 가질 수 있게 설계했다는 점이 돋보인다. 후속작인 쾌걸롱맨 나롱이, 그린세이버에 비하면 시트콤에 가까운 평탄하고 가벼운 이야기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후속작 두개가 전부 히어로물이다보니 어느 정도 시리어스한 전개로 이어지며[6], 인물 서사와 구도 역시 소수의 주인공들 위주로 펼쳐지는데 반해 뚜루뚜루뚜 나롱이는 플롯 자체는 단순하면서도 인물들의 심경 변화와 반응 등을 사건과 조화롭게 섞어 마냥 가볍지만은 않게 풀어냈고, 다수의 등장인물들을 폭넓게 다뤘음에도 인물의 성격과 심리묘사, 주변 인물들간의 관계 등을 이야기에 잘 녹아들게 표현함으로써 새로운 인물에도 하여금 관심을 갖고 살펴볼 수 있게끔 유도해냈다. 특유의 귀엽고 아기자기한 그림체와 성우들의 탁월한 배역 소화능력 역시 한 몫했다. 때문에 두 후속작을 보다 이 작품을 봤을 때 힐링된다는 의견도 꽤나 보인다.[7]

캐릭터의 디자인 변화에 있어서도 주목할 점이 많은데, 주인공인 나롱이우꺄는 디자인뿐 아니라 성격까지 급진적으로 변화해 사실상 새로운 캐릭터가 되었음에도 높은 완성도와 고유의 매력을 확보한 덕분에 시청자들에게 성공적으로 안착했고 기존 플래시 버전 디자인에 밀리지 않는 새로운 표준이 되었다. 펭글박사와 타조리 역시 이전의 디자인을 탈피하면서 결점을 버리고자 한 흔적이 보이는데, 펭글박사는 무섭고 기괴했던 플래시의 모습을 버리고 매우 자상하고 훌륭한 선생님으로 역할과 성격이 바뀌었으며 인상도 전작에 비해 순하고 귀엽게 변화했다. 타조리는 외모가 더욱 둥글둥글하고 친근하게 바뀌었으며 음식을 뺏어먹거나 사고를 치는 등의 비호감 요소가 사라졌다. 그 외 나롱이 부모님, 나롱이 형님들도 플래시 버전보다 설정과 서사가 더 생겼으며, 새로운 주연으로 등장한 숭숭이와 호비 역시 귀여운 모습과 각자만의 특별한 이야기 덕에 인지도를 쌓았고 리리와 우주인, 토리, 팬지 등을 비롯한 조연들도 명확히 구별되는 포지션을 확립했다. 기존의 사안을 모두 갈아엎고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방영까지 했던 점을 감안하면 여러모로 높은 완성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그렇기에 쾌걸롱맨 나롱이 쪽이 인기는 더 많았으나 뚜루뚜루뚜 나롱이 쪽을 더 고평가하는 의견도 많으며, 나롱이나 주변 인물의 비주얼을 이 뚜루뚜루뚜 나롱이 때 모습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가장 많다. 첫 작품인 만큼 나롱이와 인물들 본연의 매력이 가장 잘 드러나는 데다가 플래시 게임 등의 미디어 매체에서도 가장 폭넓게 마케팅을 시도한 애니메이션이기 때문이다.

장르가 아동을 대상으로 한 일상물인 만큼 나롱이의 아이같고 순진무구한 귀여운 모습을 다채롭게 볼 수 있으며, [8] 후속작들과 달리 등장인물들이 폭넓고 완성도 있게 다뤄져 세계관에 하여금 몰입할 수 있다는 장점 역시 더욱 돋보인다.[9]

다양한 인물을 조명하고 단역이 많다는 점, 이전의 스타일을 뜯어고치는 과감한 도전을 했다는 점에서 특히 3기인 그린세이버와 비교되는 부분이 많다.

우선 그린세이버는 아예 무대 자체가 랄라마을을 벗어나기 때문에 조연들이 모두 신캐들뿐이다. 하지만 그린세이버의 조연들은 그나마 앨버와 페니 같이 주인공일행과 관계성이 있는 일부를 제외하면 매력적인 캐릭터성을 확보하지 못한 케이스가 많다. 그에 반해 1기인 만큼 사실상 모두가 신캐인 뚜루뚜루뚜 나롱이에서는 조연들은 물론 푸룽이, 람쥐, 꺄우, 롱나, 클라우디아 등의 단역들까지도 흥미를 끄는 소재와 관계성 등으로 시청자들의 이목을 끄는데 성공했다.

또한 뚜루뚜루뚜 나롱이는 앞서 서술했듯 주인공들의 외형과 성격, 전반적인 분위기와 그림체를 모두 새롭게 바꿨음에도 캐릭터성 확립과 매력 어필에 성공해 이질감 없이 새로운 표준으로 자리잡을 수 있었지만, 그린세이버는 그보다 비슷하거나 덜한 수준의 변화를 시도했음에도 이질감과 불편함을 안겨주는 요소가 많은 것과 더불어 낮은 완성도로 전작을 본 시청자들에게 혹평을 받았다.

이러한 점을 비추어 보면 과감한 변화와 개척에 성공해 후속 시리즈의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이 더더욱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4.2. 비판

인력이 적은 회사에서 시간적으로 급하게 준비해서 발표한 작품이라 그런지 역동적인 묘사나 동화의 움직임이 다소 약한 편이다. 그리고 애니메이션 내 그림체와 플래시게임이나 아트워크, 월페이퍼 등 홍보용 그림체, 오프닝과 엔딩에 쓰인 그림체가 굉장히 갭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애니메이션 내 작화에 있어서도 원화가 3명의 스타일이 크게 갈려서 한 에피소드 내에서도 그림체와 특징이 오락가락하는 부분이 있다. 티가 나진 않지만 성우 중복도 꽤나 많이 나타나는 편.

그리고 중반 이후로는 작화가 좀 심하게 붕괴되는 화가 있는데 뚜루뚜루뚜 나롱이는 중간중간 혼자 시간을 맞추기 힘들어 외주를 내보낸 것 이외엔 초중반이후 2/3기간까지 보강된 작화인력 없이 4~6일동안 10분짜리 시리즈 한편(평균 90~100컷)씩 레이아웃+원화를 김금수 감독 혼자서 한번에 해치운 작품이기 때문이다. 김금수 감독의 언급에 따르면 52편을 계속 그렇게 한다는 건 굉장한 스트레스와 시간적 압박과 더불어 개인적인 모든 활동을 접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기 때문에 일부 회차에서는 외주 혹은 컨디션 이슈로 인한 작화 붕괴나 퀄리티 하락이 여럿 보인다. 일본 애니메이션과 달리 사람을 많이 쓸 수 없었던 한국 애니메이션의 어쩔 수 없는 한계.[10]

5. 여담

아트워크 모음집


파일:나롱이1기제목.jpg


[1] 스피어즈의 작화감독, 캐릭터 디자인, 콘티를 맡았으며, 플래시 애니메이션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의 나롱이, 우꺄, 타조리 캐릭터를 디자인하였다. 우꺄의 이름 역시 김금수 감독의 예명인 '우꺄꺄'에서 따온 것이다. 본작의 원화 역시 상당수 담당하였다.[2] 플래시 애니메이션까지 포함시킨다면 2002년 제작된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가 첫번째 시리즈가 되며, 이 시리즈는 두번째 시리즈가 된다.[3] 설정 변경은 아니다. 생물학적으로 날다람쥐하늘다람쥐는 별개의 동물이지만 국내의 동물학계에서 둘을 구분짓기 시작한 것은 꽤 최근이다. 원래 한반도에는 날다람쥐가 존재하지 않았고 하늘다람쥐만 있었기 때문에 한국에서 관용적으로 부르는 '날다람쥐'는 곧 '하늘다람쥐'다. 스튜디오 카브 역시 초창기에 날다람쥐라고 했다가 하늘다람쥐로 바꾼 것은 그런 차이를 의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4] 곡 시작 부분이 멜로디로 시작한다.[5] 멜로디 부분 없이 삐요옹 하는 소리로 시작한다.[6] 쾌걸롱맨 나롱이에도 일상적인 에피소드가 있긴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진지한 분위기 때문에 드문 데다가 아짱나 서사가 진행되는 중에 갑자기 끼어드는 에피소드도 있어 마냥 좋은 평가만 받지는 않는다. 그린세이버도 비록 분위기나 연출이 그런 면을 살리지 못해 잘 느껴지지 않지만 내용 자체는 어둡고 시리어스하다.[7] 주로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 뚜루뚜루뚜 나롱이 특유의 포근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일상물 분위기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더 선호한다.[8] 후속작이 모두 일상물의 기조를 따르지 않고 제작됐다 보니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때부터 이어진 나롱이의 최대 매력인 순수한 성격과 귀여움을 그대로 볼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작품이기도 하다. 쾌걸롱맨 나롱이에서는 나롱이의 성장물인지라 나롱이라는 인물 자체보다는 변화 과정에 더 집중하게 되고, 그린세이버에서는 나롱이가 완성형 주인공에 보다 가까워졌지만 성격과 외모 등이 동일인물이 맞나 싶을 정도로 이질적으로 변했고 작품의 전개방식이나 연출 등 전체적인 완성도가 떨어져 매력적인 주인공보다는 평면적인 선역처럼 인식된다.[9] 후속작인 쾌걸롱맨 나롱이는 중후반 이후로 아짱나에게 서사가 집중된 탓에 나롱이, 우꺄, 펭글박사, 그나마 숭숭이 외에 다른 랄라마을 주민들은 비중이 조연 이하 수준으로 줄었고, 우주인과 만두브라더스는 아무런 언급도 없이 증발했다.[10] 이후 후속작인 쾌걸롱맨 나롱이에선 인원이 보충이 됐는지 외주를 맡겼는지는 알 수 없지만 평균 작화도 뚜루뚜루뚜 나롱이에 비해 안정적이게 되었고, 34화, 38화, 40화 등에선 꽤 역동적이고 퀄리티 있는 장면도 잘 소화해낸다.[11] 나롱이의 비행 연습, 방울 에피소드나 만두 브라더스의 탄생 에피소드가 대표적.[12] 뚜루뚜루뚜 나롱이 디자인을 기반으로 만든 게임이 많지만 꿈꾸는 작은 날개 나롱이를 기반으로 만든 게임들 역시 다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