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3 13:27:30

둘기(신조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둘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둘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둘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둘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둘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둘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어원3. 사례
3.1. 명백한 경우3.2. 멤버의 잘못이 아닌 경우3.3. 둘기인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3.4. 둘기가 아닌 경우
4. 여담

1. 개요

2010년대부터 K-POP 아이돌 팬들이 사용하는 은어다. 계약 기간 동안 그룹의 멤버로서 충실히 활동하지 않고 납득할 수 없는 이유로 도중에 일방적으로 탈퇴하거나 계약을 해지한 멤버를 뜻한다. 계약 기간이 끝나서 재계약하지 않고 그룹이나 소속사를 떠난 경우에는 둘기가 아니다.[1]

둘기의 실제 사례로는 주로 K-POP 그룹 출신의 중화권 멤버의 사례가 가장 많은 편이다.[2] 특히 중화권 멤버가 계약 기간 중에 탈퇴하지는 않았지만 그룹 활동 및 한국 활동을 등한시하고 중화권에서만 개인 활동을 한 경우에는 집(소속사)을 떠나지 않았다는 뜻에서 집둘기라고 부른다. 처음에는 K-POP 아이돌 팬들이 사용하던 단어였지만 점점 널리 퍼져서 일본 아이돌의 한국 팬들, 일본 팬덤들이나 스포츠계 팬들 사이에서도 쓰이게 되었다.

2. 어원

2014년 EXO의 중국계 멤버 크리스SM엔터테인먼트와의 계약을 불이행하고 EXO에서 탈퇴하여 중국에서 개인 공작소를 차리고 개인 활동을 하면서 둘기라는 용어가 생겼다.

EXO의 세계관에는 멤버들에게 각자 초능력이 있다는 설정이 있었는데, 크리스가 담당한 초능력은 비행이었다. EXO는 크리스의 무단 탈퇴 때문에 세계관이 어그러지는 피해를 받았다. 그룹 활동 중에 크리스가 최초로 잠수탔을 당시 다른 EXO 멤버들까지 덤으로 활동을 제대로 못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팬들이 무척 분노하여 크리스를 만나 항의하기 위해 공항으로 직접 찾아간 적이 있다. 그때 매니저와 크리스의 개인 팬들이 크리스의 주위를 강강술래를 하듯이 둘러싸면서 보호해 주었고 크리스는 그런 팬들에게 페레로 로쉐를 직접 나눠 주었다. #

이 광경을 접한 네티즌들은 마치 비둘기 모이 주는 것 같다고 평했고 EXO 세계관 속 크리스의 능력인 비행과 합쳐져 '둘기'라는 은어가 탄생했다.

EXO의 팬들은 이 시기 역시 무단 탈퇴하여 중화권 개인 공작소를 세우기 위한 1차 시도였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그러나 당시는 아직 EXO가 중국에서는 큰 인기를 얻지 못했음은 물론 위상과 인지도도 그리 높지 않던 시점이라 성공하지 못하고 다시 EXO로 돌아왔다.

크리스의 한국 팬들이 붙인 '구희수'라는 별명에서 '구'를 반복해 비둘기의 울음소리인 '구구구'가 만들어졌고 여기에서 둘기라는 은어가 비롯되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3. 사례

3.1. 명백한 경우

3.2. 멤버의 잘못이 아닌 경우

3.3. 둘기인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

3.4. 둘기가 아닌 경우

4. 여담

특히나 SM엔터테인먼트 소속 중국인 아이돌의 인식은 더 안 좋은 편인데, EXO의 前 멤버들인 크리스, 루한, 타오 때문에 박힌 둘기 이미지와[17] SM의 친중 이미지 때문으로 보인다.
가장 최악은 사이비 종교로 인한 둘기다. 한국에서도 종교 활동으로 인해 탈퇴하는 사례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도 사회적으로 악명 높은 사이비 종교들인 신천지여호와의 증인 등이 엮여서 좋은 소리를 전혀 듣지 못한다.[19] 일본에서는 활동 도중 개인의 선택으로 사이비 종교에 귀의하여 무단으로 탈퇴하는 경우는 아예 사람 취급도 못 받는다.[20] X JAPAN의 보컬 Toshl도 탈퇴 이후 사이비 종교 HOH(Home of Heart)의 교주 MASAYA의 주도 하에 본격적으로 HOH의 나팔수로 활동하면서 완전히 심취해 있다가 절친 hide의 죽음을 계기로 정신을 차리고 간신히 빠져나왔는데, 이렇게 정신 차리고 탈출하는 경우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이다.


[1] 나란히 그룹이 수납당하다가 해체됐던 피에스타차오루, 프리스틴주결경, 구구단샐리가 대표적인 사례다. 또 다른 예시들로는 미쓰에이 출신의 페이지아가 있다.[2] 둘기의 시초들이라고 할 수 있는 EXO크리스루한, 타오중국인 멤버들이다.(다만 정확히는 크리스는 중국계 캐나다인으로, 중국인은 아니다.) 물론 중국인 멤버들만 다 둘기인 것은 아니고, 한국인 멤버의 둘기 사례도 적잖이 찾아볼 수 있다.[3] 정확히는 조선족[4] 믹스의 한국인 멤버들과 중국인 멤버들은 현재까지도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믹스의 중국인 멤버인 리야의 인스타그램에 다른 중국인 멤버인 한나, 한국인 멤버인 미아와 찍은 사진이 올라왔다. #[5] 한경은 2019년 중국에서 재회한 희철포옹을 하거나 2024년 려욱의 결혼식에 참석하는 등 SUPER JUNIOR 멤버들과 여전히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6] 2023년 7월 미기의 인스타그램에 다영좋아요를 누르고 댓글을 달거나, 2024년 2월 다영과 은서가 성소의 인스타그램에 좋아요를 누르고, 다영의 댓글에 성소가 답글을 달고, 2024년 9월 선의가 보나와 만나 찍은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리는 등 멤버들 간의 사이는 지금도 원만하다.[7] 2019년부터 숙소 청산 등으로 사실상 활동 중지 상태였고, 2020년 12월 31일 자로 정식 해체되기 전에 마지막으로 나온 음반이 2018년 11월 6일에 나온 Act.5 New Action이다.[8] 준과 디에잇은 2018년 개인 웨이보 계정에 하나의 중국 지지글을 올렸고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웨이보를 통해 오성홍기를 훼손시키지 말아 달라는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홍콩 경찰을 지지하는 글도 올렸고, 2021년 7월 1일 중국공산당 100주년을 축하하는 글을 올렸다. 런쥔과 천러는 2021년 중국공산당 100주년을 축하하는 글을 올렸고, 우기는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웨이보를 통해 오성홍기를 훼손시키지 말아 달라는 캠페인에 참여했으며 2021년 중국공산당 100주년을 축하하는 글을 올렸다.[9] 대만, 홍콩 등 중국 본토 외 출신의 경우는 중국인 멤버에 비해 인식이 나쁘지 않지만, 대만인인 Wanna One 출신 라이관린과 홍콩인인 GOT7잭슨(다만 잭슨은 부모님 둘 다 중국 본토 출신이다.)이 웨이보에 중국 정부를 지지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되었고, 홍콩인인 CLC 출신 엘키가 CLC에서 탈퇴한 후 정치 성향을 드러낸 데에서 나타나듯 대만, 홍콩 출신자들도 이런 정치적 행보 논란에서 결코 자유롭다고 볼 수는 없다.[10] 대만인NCT양양, 홍콩인NCT의 전 멤버 루카스, 마카오인NCT헨드리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당시 웨이보에 중국 정부를 지지하는 글을 올려 논란이 되었으나, 그 게시글이 올라온 시기는 중국 회사가 당시 신인이었던 WayV 멤버들의 개인 웨이보 계정을 관리하던 시기였고 이 문제에 대해 멤버 스스로가 본인이 올린 것이 아니라고 간접적으로 언급하였기 때문에 멤버들의 자의로 게재한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헨드리는 가족 전체가 모두 반중으로, 헨드리의 누나는 2014년 홍콩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글을 올렸다가 헨드리에게 문제가 갈까봐 삭제한 적이 있다. #) 이와는 별개로 양양은 2021년 2월 본인의 인스타그램에 'Happy Chinese New Year'라고 올린 것, 중국 열병식을 두고 멋있다고 한 것(링크 본문에는 열병식 발언을 한 멤버가 , 양양, 샤오쥔이라고 나와 있는데, 실제로는 샤오쥔이 아니라 윈윈이다.), SuperM의 곡 'I Can't Stand The Rain'을 중국풍이라고 한 샤오쥔의 말에 동조한 것으로 논란이 된 적이 있다.[11] 대만-홍콩계 캐나다인인 헨리친중 논란이 있었듯이 중화권 출신이 아니더라도 이런 논란은 있을 수 있다. 다만 헨리(가수)/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에서 보듯이 헨리는 과하게 마녀사냥을 당한 점도 있다. 2018년 헨리의 공작실 웨이보에 하나의 중국 지지글이 올라온 건 맞으나 그 계정은 스태프가 관리하는 계정이었고, 헨리의 개인 웨이보에는 중국을 지지하는 글이 올라온 적이 전혀 없다. 헨리는 중국 방송에서 한복이 중국 것이라고 말한 적도 없고 그 방송에서는 어느 누구도 한복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헨리가 나온 방송에서 소수민족 춤을 전공한 한경조선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심사하였고 헨리는 그 말에 동조하지도 어떠한 반응을 보이지도 않았다.) 헨리가 중국 방송에 출연해서 한국을 비하하고 다녔다는 소문도 돌았으나 전혀 근거가 없는 찌라시이고, 더불어서 그런 적도 없다. 이와는 별개로 중국계 태국인NCT버버리위구르족 탄압을 반대하자 버버리 옷과 가방을 입은 게시글을 웨이보에서 삭제했다는 논란이 있었는데, 버버리 게시물은 회사가 올린 광고 게시물이라 텐이 내린 게 아니고 회사가 삭제한 것이며 본인의 인스타그램에는 버버리를 입고 찍은 사진이 잘 올라와 있다. #, ##[12] JWiiver, BLANK2Y 등.[13] 크리스는 중국계 캐나다인이다.[14] 아이돌은 아니지만 2006년 데뷔한 솔로 가수 장리인도 있었다.[15] 세븐틴디에잇플레디스 엔터테인먼트HYBE에 편입되기 이전에 데뷔한 멤버들이다.[16] 하지만, 둘기인지 아닌지 애매한 경우를 제외하고 둘기임이 명백한 사례만 본다면 의외로(?) 중국인 멤버들의 둘기 사례는 아주 많지는 않다.[17] 둘기라기엔 애매하지만 SUPER JUNIOR의 前 멤버 한경도 둘기의 시초라고 까였고, EXO의 前 멤버 레이NCT윈윈이 집둘기 행보 때문에 비판받았으며 f(x)빅토리아도 집둘기 논란이 있었다.[18] 대표적 사례가 오히려 그룹 탈퇴가 전화위복이 된 미카미 유아.[19]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카라의 초기 메인보컬이었던 김성희.[20] 대표적인 경우가 행복의 과학에 귀의하여 바닝프로덕션에서 무단으로 탈퇴한 센겐 요시코로, 연예인들의 소속사 변경이 잦은 일본에서도 이건 아니라면서 비판받았다. 행복의 과학 계열사로 들어가게 되면 아예 일본 메인스트림 연예계에서는 일이 끊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