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교 생활 | |||
학부 | 대학원 | 출신 인물 | 사건 사고 | |
학교 환경 | ||||
캠퍼스 | 주요 시설 | 행소박물관 | 야구부 |
동산병원 |
| |
<colbgcolor=#034ea2>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啓明大學校 東山醫療院 {{{-1 {{{#ffffff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개원 | 1899년 제중원[1] |
의료원장 | 조치흠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 (신당동)[2] |
종류 | 대학병원 |
상급 기관 |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
웹사이트 | |
[clearfix]
1. 개요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啓明大學校 東山醫療院,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계명대학교 부속 의과대학 부설 병원이다.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이 정식 명칭이지만, 실제론 동산병원이라고 부르는 시민들이 대부분이다.[3] 다만 연세대 세브란스의료원처럼 대학 내 부속병원이 2개원 이상인 경우는 행정적인 편의와 효율을 위해 대학 내 기구로 의료원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는데, 그게 동산의료원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따라서, 동산의료원 내에는 새로 신축한 동산병원과 기존 대구동산병원 및 경주의 경주동산병원이 설치된 것이다.원래는 대구광역시 중구 동산동에 위치한 종합병원이었으나, 2019년 달서구 호산동(성서지구)에 신축 건물이 들어서며 본원 타이틀은 이쪽이 가져가고, 기존 건물은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으로 개명하였다. 그 외 경주시에 분원인 '계명대학교 경주동산병원'과 같이 운영되고 있는 '학교법인 계명대학교 경주동산요양병원'도 있다.
2019년부턴 전문적 기능은 성서 지역 호산동 신축 병원으로 이전해서, 예약하고 실수로 동산동에 갔다간 헛걸음할 수도 있으니 잘 알아보고 가자. 참고로 왕복셔틀을 운영하고 있으니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확인해보고 무료로 타고 가도 된다. 다만 코로나 여파로 현재는 운영이 중지된 상태이다.
2.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3.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4. 계명대학교 경주동산병원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4.1. 계명대학교 경주동산요양병원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5. 편의시설
편의시설
- 대구동산병원
- 특이하게도 병원에 버거킹 동산병원점이 입점해 있었으나, 지금은 폐업했다.[4] 대신 병원 옆에 있는 CU[5] 근처에 롯데리아가 생겼다가 본원이 옮기는 것에 따라서 폐점했다.
- 인근 간호대학생들은 동산의료원을 맛동산이라고 부르곤 한다. 그 이유는 교직원 구내식당이 맛있어서라고 한다. 현재는 삼성웰스토리에서 직원식당을 위탁 운영중이다.
- 성서 동산병원
6. 교통
6.1. 도시철도
- 성서동산병원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강창역 6번 출구와 병원 지하 1층이 지하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있다.[6]
- 대구동산병원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서문시장역이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바로 앞에 있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에서 내려도 도보로 10분이면 도착 가능하다.
6.2. 시내버스
6.2.1. 성서동산병원(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정류장명 | 정류장코드 | 경유 노선 |
계명대학교동산병원앞 | 21199 24908 | 524, 527, 564, 655 250[7], 250-1[8], 성서2 |
계명대학교동산병원건너 | 21194 24907 | 524, 527, 564, 655, 성서2, 250[9] |
강창역 (1번출구) | 01193 24011 | 524, 527, 564, 655 250[10], 250-1[11] 성서1, 성서2, 급행1 |
강창역 (2번출구) | 02461 24150 | 524, 527, 564, 655 250[12], 250-1[13] 성서1-1, 성서2, 급행1 |
6.2.2.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
정류장명 | 정류장코드 | 경유 노선 |
계명대학교대구동산병원앞1 | 2327 20067 | 급행6, 300, 836, 840, 990(경산) 250[14], 250-1[15] |
계명대학교대구동산병원앞2 | 1050 20066 | 405, 651, 990(경산), 991(경산), 북구2 |
서문시장 | 1500018 01046 | 300, 323, 405, 651, 808, 836 급행6, 성서2(청라언덕역행)[16] 250[17] 250-1[18], 606(고령) |
섬유회관앞 | 2234 05111 | 156, 240, 309, 425, 524, 623, 653, 724, 909[19], 939 급행1, 급행3, 급행5 동구2(북구청 방면) |
섬유회관건너1 | 21879 1230 | 156, 240, 309, 425, 524, 623, 653, 724, 939 급행1, 급행3, 급행5 동구2(시청 방면) |
엘디스리젠트호텔앞 | 0643 21865 | 405, 609, 840, 909[20], 북구2 990(경산), 991(경산) |
엘디스리젠트호텔건너 | 21872 | 405, 609 |
청라언덕(신남)역 (8번출구) | 21871 | 323-1, 405, 609 |
6.3. 셔틀버스
성서 동산병원과 대구동산병원 간 교차진료를 하는 환자, 보호자, 교직원을 위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했으나, 현재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중지되었다.병원 광고래핑을 한 45인승 버스가 일 4회 왕복(총 8회 운행)하고 있으며, 성서 동산병원은 "주 출입구 건너편"에서, 대구동산병원은 "장례식장 옆"에서 출발한다.
<rowcolor=#373a3c> 운행 회차 | 성서 동산병원 | 운행 방면 | 대구 동산병원 |
1회 | 08:00발 | → | 08:40착 |
2회 | 09:30착 | ← | 08:50발 |
3회 | 09:40발 | → | 10:20착 |
4회 | 11:10착 | ← | 10:30발 |
5회 | 12:20발 | → | 13:00착 |
6회 | 14:00착 | ← | 13:20발 |
7회 | 14:20발 | → | 15:00착 |
8회 | 16:00착 | ← | 15:20발 |
7. 여담
- 대구동산병원이 위치한 지역은 과거 번화가 일대로[21] 대구에서 나름 유서깊은 중고등학교인 계성고등학교가 있었고[22] 신명고등학교가 각기 앞뒤에 존재했다. 때문에 1990년대까지만 해도 계성고등학교[23], 신명여자고등학교[24]는 각각 남고, 여고였던 지라 근처에 위치한 상대 학교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고, 그 사이를 정확하게 가로막고 있는 동산병원은 이들 입장에서 영 곱게 보일 리가 없었다. 따라서 이들에게 동산병원은 농반진반 숙적(?)이었고, 1970년대 초에는 계성-신명간 구름다리를 놓겠다는 공약이 학생회장 투표시에 나와 환영받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계성고등학교가 여학생을 받아들인 이후부턴 그다지 신경쓰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 호산동 신축병원 주차장은 차량번호 4자리만 입력하면 주차위치(주차장 층수-구역)를 알려주는 시스템을 갖추었다. 주차장 기둥에 붙어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웹페이지가 하나 뜨는데 그 페이지에서 차량번호 4자리(예를 들어 차량번호가 '12가1234'면 '1234')를 입력하면 된다. 차량번호 4자리가 중복되면 전체번호를 보고 자기가 타고온 차량을 확인해야 한다.
- 대구 대학병원 중 영남대학교병원과 더불어 4자 금기를 지키지 않는다. 심지어 성서동산병원은 4층에 중환자실, 대구동산병원은 4층에 수술실이 있다. 그렇다고 아예 없는 것은 아닌게 대구동산병원 남관 및 서관 엘리베이터는 4층을 F층으로 표기한다.[25]
8. 관련 사이트
[1] 세브란스 병원의 전신인 제중원과는 이름만 같은 별개의 병원이다. 1899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우드브리지 존슨이 대구에서 세운 병원으로 대구 약전골목에 '미국 약방'이라는 약국을 먼저 열었고, 진료 시설을 갖춘 뒤 같은 해 '제중원'이라는 이름의 조그만 서구식 병원을 열었다.[2] 본원인 동산병원과 함께 위치한다.[3] 하지만, 병원측에서도 홍보물이나 원내 게시물 등에 의료원과 병원이라는 표기를 혼용하여 사용하는데, 정확히는 사립대학교 의과대학의 경우 대학 내 부속병원으로 강제되기에 계명대학교 부속병원이 맞다.[4] 병원에 건강을 해치는 패스트푸드점이 있다는 것을 윗분들이 싫어했다고 한다. 헌데 아이러니하게도 한때 동산병원점 버거킹은 전국 지점 매출 탑에 들 정도로 장사가 잘 되었다고 한다.(...)[5] 병원 안에는 GS25가 있다. 1층 입구에 하나 있고 3층에도 있었으나, 3층은 2018년 10월 사업 철수하였다.[6] 운영 첫날부터 정상적으로 이용가능했으며 에스컬레이터나 엘리베이터만으로 병원 안에 진입이 가능하며 따로 돌아갈 필요성이 없다. 다만 계단으로 가려면 역으로 돌아가야한다.[7] (좌석)북부정류장-성주터미널, (좌석)북부정류장-성주터미널(문양역앞), (농어촌)대실행, (농어촌)대실,문양역행[8] 대실행[9] 광영행, 문양역행, 성주-북부행, 성주-왜관행[10] (좌석)북부정류장-성주터미널, (좌석)북부정류장-성주터미널(문양역앞), (농어촌)대실행, (농어촌)대실,문양역행[11] 대실행[12] 광영행, 문양역행, 성주-북부행, 성주-왜관행[13] 대실행[14] 광영행, 문양역 경유, 성주-북부행, 성주-왜관행[15] 북부행[16] 서문시장 지원운행 한정[17] 대실 경유, 대실,문양역 경유[18] 대실 경유[19] 청라언덕역→경산 방향.[20] 경산→청라언덕역 방향.[21] 지금도 도보로 20분 정도만 가면 현재 대구 최고의 번화가인 동성로, 중앙대로 일대가 나온다. 시내버스로는 5분, 택시 요금은 기본료.[22] 2016년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으로 이전하였다.[23] 계성중학교도 함께 있었다.[24] 재단내에 신명여자중학교가 있었으나 재단분리 문제로 중학교와 고등학교가 다른 재단이 되었다. 그후 신명여중은 남산여고를, 신명여고는 성명여중을 신설하였다.[25] 나머지 동관, 외래관, 별관 엘리베이터는 모두 4층 그대로 표기한다. 시계탑이 있는 교수연구동은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