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0px" | <tablebordercolor=#3d5bab> | }}} |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 font-size: 14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 <colbgcolor=#3d5bab><colcolor=#fff> 1권역 | 101[a] | 102 | 103 | 104[a] | 105 |
106 | 107[a] | 108 | 113[a] | 114[a] | ||
115 | 119[a] | |||||
2권역 | 201 | 202[a] [b] | 203[a] | 211 | 213[a] | |
216[a] | ||||||
3권역 | 301-1 | 311 | 312[a] | 314 | 315[a] | |
316[a] | 318[a] | |||||
5권역 | 501 | 511 | 512[a] | 513[a] | 514[a] | |
6권역 | 601[a] | 602[a] | 603 | 604 | 605 | |
607[a] [b] | 608[a] | 611[a] | 612[a] | 613[a] | ||
615 | 616[a] | 617[a] | 618[a] | 619[a] | ||
7권역 | 701[a] | 703 | 704 | 705 | 706 | |
707[a] | 711[a] | |||||
8권역 | 802[a] | |||||
[a]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b] 타 지역 시내버스와 공동배차 |
| |
1. 개요
대전광역시 간선버스 노선 중 하나 전체 정류장 목록2. 노선 정보
| |||||
| |||||
기점 | 대전광역시 유성구 탑립동(탑립동) | 종점 |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동(대전고등학교) | ||
종점행 | 첫차 | 05:40 | 기점행 | 첫차 | 05:40 |
막차 | 22:30 | 막차 | 22:30 | ||
배차간격 | 평일 | 토요일 | 공휴일 | ||
18분 | 23분 | 27분 | |||
운수사명 | 동건운수 | 인가대수 | 12대(토요일 9대, 휴일 8대) | ||
노선 | 탑립동 - 대전4산업단지 - 대전이문고 - 행복한마을아파트 - 새일초등학교 - 대한통운종점/정수장 - 중리동 - 복합터미널 - 대성여자고등학교 - 대전역 - 으능정이거리 → 대고오거리 → 대전고등학교 → 대흥동성당 → 으능정이거리 → 이후 역순 |
중간 출발 정류장 | |
대전고 방향 | 행복한마을아파트 05:40 |
탑립동 방향 | 복합터미널 평일 05:40 |
3. 역사
- 구 703번 좌석버스가 전신이다.
- 2008년 개편 때 '대전서남부터미널 - 크라운제과(신일네거리)'로 변경되었다.
- 가스충전 문제로 이동식 충전소가 있는 탑립동까지 연장하였다. 하지만 탑립동의 이동식 충전소는 현재는 없어졌다. 운행사가 변경되었지만 충전은 봉산동이나 신대동에서 하는 듯하다. 차고지는 탑립동 종점에서 그렇게 멀지 않기 때문이다.
- 하상도로 종점지 폐쇄로 인하여 2012년에 태평동으로 돌렸는데 좁아터진 태평동에 종점지를 잡는 바람에 민원이 발생하면서 종점지행은 버드내아파트에서 도마네거리 방향으로 가서 좌회전해 서남부터미널을 지나 버드내아파트 입구를 종점지로 했었다.[1]
- 2013년 6월 25일에 1대가 감차되어 14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 2015년 7월 24일에 운행사가 협진에서 동건으로 변경되면서 1대가 증차되면서 환승시간이 다시 30분이다.
- 2017년 6월 30일에 종점이 대전서남부터미널에서 대전고등학교로 단축되었고, 1대가 감차되어 14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대신 같은 날 신설된 608번이 '중구청 - 서남부터미널' 구간을 대체한다. 대전광역시 공지사항
{{{#!folding [ 변경 전 노선도 보기 ]
- 2020년 8월 5일에 1대가 감차되면서, 다시 60분 이내 환승가능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2023년,2024년 대전0시축제 기간에는 대전역~원동네거리~대흥네거리로 우회운행했다.
- 1001번 신설을 위해 2023년 8월 18일부터 1대가 감차되었다.
4. 특징
- 신탄진 구도로(행복한마을, 신탄중앙중)를 경유하며, '구 대덕경찰서 - 목상동'이나 '산막 - 성남네거리'까지는 급행2번과 겹치기 때문에 주요 정류장만 정차하는 급행2번의 보조노선 역할 및 급행 미정차 정류장 수요 처리를 하는데 신탄진역은 경유하지 않는다. 신탄진역을 가려면 '한밭아파트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1km 정도 걸어가야 한다.[2]
- 701번이 지나가는 경로 근처에 701번을 운행하는 동건운수의 버스 차고지가 있다. 탑립동 기점지에서도 멀지 않으며, 701번이 경유하는 '장고개삼거리 정류장' 바로 근처이다.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대전점을 가려면 '대덕밸리용신교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500m 정도 이동하면 된다. 또한, 법동, 읍내동, 연축동, 신대동, 와동에서 환승 없이 현대프리미엄아울렛 근처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다.
- 2017년 6월 30일에 701번의 종점이 대전서남부터미널에서 대흥동(대전고등학교)으로 단축되었다. 단축된 중앙로역-서남부터미널 구간은[3] 701번이 단축됨과 동시에 만들어진 노선인 608번이 대체한다. 단, 608번은 배차가 평일 기준 23분으로 길어서 아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608번 외에도 타 노선을 이용하여 노선 단축 이전 구간으로도 환승하여 갈 수 있다.
- 노선 단축 이후 서대전네거리역 및 서대전역을 가려면 '중앙로역6번출구 정류장'에서 하차 후 중구청역 방향으로 도보로 약 40m 이동하여 '중앙로역6번출구 정류장'에서 608번 외에도 급행1번, 201번, 202번, 2002번으로 환승하여 가면 된다. 지하철은 심도가 깊으므로 내려갔다 올라오는 시간이 상당하여 추천하지는 않는다.
- 대전서남부터미널로 갈 경우에도 같은 방법으로 608번 외에도 상기한 4개 노선으로 환승한 다음 '버드내아파트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500m 정도 걸어가거나, '중앙로역6번출구 정류장'에서 본 노선 하차 후 제자리에서 615번으로 환승 한 다음 '머티네거리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약 500m 정도 걸어가면 된다.
- 2024년 5월 10일 이후로 급행2번이 옥계동에서 대전역동광장으로 종점이 단축됨과 동시에 성남네거리에서 대전역을 더 이상 최단 경로로 바로 가지 않고 대전여상과 으능정이거리를 추가로 경유해 돌아감에 따라 '목상동주민센터 정류장'-대전역 구간은 본 노선과 소요시간이 비슷해졌다. 그리고 기존 급행2번을 대신하여 605번, 611번, 615번, 711번과 더불어 와동, 신대동, 연축동, 읍내동, 법동, 중리동, 용전동에서 대전역으로 가는 수요가 증가하였다. 급행2번을 타고 왔을 때 대전역을 빠르게 가기 위해 본 노선으로 환승할 때, '복합터미널 정류장'에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E]
- 대전복합터미널-대전역을 급행4번, 201번, 501번, 611번, 616번[E2], 622번과 함께 최단 경로로 연결해준다.[E] 마찬가지로 대전복합터미널-으능정이거리(성심당)도 급행2번, 급행4번, 201번, 622번이 있으나, 급행4번, 201번, 622번과 함께 급행2번[7]보다 더 빠르게 으능정이거리에 갈 수 있다.
- 탑립동 기점 노선들 중 유일하게 간선버스 노선이다.[8]
- 본래 급행2번, 711번이 닿지 않는 탑립동, 테크노밸리, 신일동, 대덕산업단지 안쪽, 덕암동, 덕암북로, 덕암로, 신탄진IC 인근 지역, 그리고 신대동, 와동, 연축동, 읍내동, 법동, 중리동 등의 대덕구 지역 중 급행2번과 같이 다니지만 급행2번이 정차하지 않는 정류장에서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 으능정이거리(성심당), 서대전역(서대전네거리역, 문화동, 오류동 포함)을 이어주어서 많은 수요를 모았으나, 2017년 6월 30일 노선 단축 및 조정 이후로 서대전역(서대전네거리역 포함)을 더 이상 경유하지 않으며, 단축된 종점인 대전고등학교를 가려면 배차 간격이 더 짧은 615번도 같이 경유하므로 굳이 701번만을 타고 갈 이유가 없어졌다. 이제는 핵심 거점은 대전복합터미널, 대전역, 으능정이거리(성심당)로 가는 수요만 주로 유지되고 있다고 봐야 할 것 같다. 그러나 이 중 대전복합터미널을 제외하면 711번도 같이 경유하므로 701번만의 독자 수요를 상당 부분 잃었다.
- 종합적으로 위의 핵심 거점 4개 중 1개를 가는 수요가 사라졌고, 남은 3개 중 2개는 대체 노선이 여럿 있으므로, 노선 조정 이후 일 평균 승하차량이 기존의 약 1/2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약 7년 후인 2024년 5월 10일에 급행2번도 701번과 마찬가지로 노선이 조정 및 단축되어 일 평균 승하차량이 기존의 약 1/2~1/3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래도 701번은 대전역 가는 수요는 유지되어서 급행2번보다는 그나마 양반인 것 같다
{{{#!folding [대전 버스 701번 승하차량 변화]
4.1. 노선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대전고등학교 20700 | 종점 | ← | 대고오거리 20640 | ||
대흥동성당 20780 | ↓ | ↑ | 중앙로역6번출구 20310 | |||
이상 회차 구간 | ||||||
으능정이거리 20050 | ↓ | ↑ | 으능정이거리 23250 | |||
대전역 12460 | 목척교 12450 | |||||
- | ↓ | ↑ | 대전역동광장 11430 | |||
중앙동주민센터 11460 | 중앙동주민센터 11450 | |||||
대성여자고등학교 12350 | ↓ | ↑ | 대성여자고등학교 12360 | |||
성남네거리 11980 | 성남네거리 11990 | |||||
- | ↓ | ↑ | 스마트뷰아파트 11960 | |||
효촌마을아파트 11950 | 효촌마을아파트 11940 | |||||
복합터미널 12010 | ↓ | ↑ | 복합터미널 11830 | |||
- | 동부네거리 11870 | |||||
홈플러스동대전점 11860 | ↓ | ↑ | 구샤또호텔 11880 | |||
대전문학관입구 11850 | 대전문학관입구 11840 | |||||
한국전력공사 11820 | ↓ | ↑ | 한국전력공사 11810 | |||
중리동 51450 | 중리동 51440 | |||||
법동전통시장 51180 | ↓ | ↑ | 법동전통시장 51410 | |||
보람아파트 51170 | - | |||||
대덕소방서 51150 | ↓ | ↑ | 대전지방국세청 51140 | |||
제월당 50730 | 읍내동현대아파트 50720 | |||||
정수장 50770 | ↓ | ↑ | 대한통운종점 50710 | |||
대덕구장애인복지관 53170 | - | |||||
성우동산 50750 | ↓ | ↑ | 성우동산 50740 | |||
연축아파트 50760 | 와동초등학교 50790 | |||||
와동현대아파트 50810 | ↓ | ↑ | 신대주공아파트 50800 | |||
들말/신대차고지 50840 | 들말/신대차고지 50820 | |||||
선바위 52160 | ↓ | ↑ | 선바위 52140 | |||
새일초등학교 52170 | 새일초등학교 52150 | |||||
덕암우체국 52240 | ↓ | ↑ | 덕암우체국 52050 | |||
행복한마을아파트 52290 | 행복한마을아파트 52080 | |||||
신탄중앙중학교 52110 | ↓ | ↑ | 신탄중앙중학교 52100 | |||
대덕구보건소 52130 | 대덕구보건소 52120 | |||||
한밭아파트 51690 | ↓ | ↑ | 덕암동 52090 | |||
대전이문고 52070 | 대전이문고 52060 | |||||
석봉네거리 51670 | ↓ | ↑ | 석봉네거리 52040 | |||
한국타이어후문 51770 | 한국타이어후문 51760 | |||||
- | ↓ | ↑ | 목상동주민센터 51750 | |||
목상동주민센터 51740 | 한국타이어 51730 | |||||
한국교통안전공단 51810 | ↓ | ↑ | 한국교통안전공단 51930 | |||
대덕우체국네거리 51870 | 대덕우체국네거리 51900 | |||||
을미기네거리 51940 | ↓ | ↑ | 을미기네거리 51950 | |||
신일네거리 51880 | 신일네거리 51890 | |||||
장고개삼거리 51910 | ↓ | ↑ | 장고개삼거리 51920 | |||
대덕밸리용신교 44460 | 대덕밸리용신교 44470 | |||||
미건테크노월드 44350 | ↓ | ↑ | 미건테크노월드 44340 | |||
화인테크 45420 | 화인테크 46250 | |||||
뉴로스 44370 | ↓ | ↑ | 뉴로스 44390 | |||
조폐공사ID본부 44360 | 조폐공사ID본부 44380 | |||||
대청ENG 45430 | ↓ | ↑ | - | |||
탑립동 44330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대흥로 | |
대흥동성당 ▼ | ▲ 대전고등학교 | |
대종로 | 보문로 | |
으능정이거리 ▼ | ▲ 대고오거리 | |
중앙로 | ||
중앙동주민센터 ▼ | ▲ 대전역동광장 | |
계족로 | ||
복합터미널 ▼ | ▲ 효촌마을아파트 | |
동서대로 | ||
홈플러스동대전점 ▼ | ▲ 동부네거리 | |
한밭대로 | ||
중리동 ▼ | ▲ 한국전력공사 | |
계족로 | ||
정수장 ▼ | ▲ 읍내동현대아파트 | |
신탄진로 | ||
선바위 ▼ | ▲ 들말/신대차고지 | |
덕암로 | ||
한밭아파트 ▼ | ▲ 대덕구보건소 | |
덕암북로 | ||
한국타이어후문 ▼ | ▲ 석봉네거리 | |
대덕대로 | ||
대덕우체국네거리 ▼ | ▲ 한국교통안전공단 | |
신일동로 | ||
▼ | ▲ 을미기네거리 | |
신일서로67번길 | ||
신일네거리 ▼ | ▲ | |
신일서로 | ||
장고개삼거리 ▼ | ▲ 신일네거리 | |
신일서로126번길 | ||
▼ | ▲ 장고개삼거리 | |
테크노7로 | ||
대덕밸리용신교 ▼ | ▲ | |
테크노2로 | ||
대청ENG ▼ | ▲ 조폐공사ID본부 | |
배울1로 | ||
탑립동 ▼ | ▲ | |
엑스포로 | ||
▲ 탑립동 |
5. 연계 철도역
[1] 현재 608번이 운행하는 경로와 비슷하다.[2] 이 노선은 신탄진역이 아닌 문평동 CJ대한통운 대전허브터미널로 가기 때문인지라 신탄진역으로 가는 줄 알고 잘못 탔다면 거기서 내려서 704번이나 705번으로 갈아타자.[3] 읍내동-서대전네거리역의 경우 614번만 유일하게 경유하게 되었다.[E] 단 본 노선은 615번과 같이 대전역 동광장 쪽으로 가므로, 대전역 서광장쪽으로 가고 싶으면 목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거나, 아니면 효촌마을아파트 정류장에서 201번, 501번, 611번, 622번 등으로 제자리 환승을 해도 된다.[E2] 대전역동광장 쪽 한정. 대전역동광장 쪽으로 갈 때 '내선' 순환 방향을 타야 하며,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 하차. '외선' 순환 방향을 탈 경우 중앙동주민센터에서 먼 곳으로 가므로 방향에 유의하자. '대전역동광장 종점'도 따로 가나, 내선 순환 방향 기준으로 중앙동주민센터 이후 우회전으로 바로 동서교 쪽으로 가지 않고 직진하여 대동역과 중앙시장, 대전역지하차도를 거쳐서 돌아가기 때문에 그냥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가는 것이 훨씬 빠르다.[E] 단 본 노선은 615번과 같이 대전역 동광장 쪽으로 가므로, 대전역 서광장쪽으로 가고 싶으면 목척교 정류장에서 하차하거나, 아니면 효촌마을아파트 정류장에서 201번, 501번, 611번, 622번 등으로 제자리 환승을 해도 된다.[7] 급행2번은 대전여상을 경유하여 더 먼 경로로 돌아가게 된 이후로 대전역을 경유하는 기존 최단 경로를 물려받아 운행하는 급행4번하고 성남네거리에서 동시에 출발한 경우 급행4번보다 직진/좌회전 신호를 2번이나 더 받아 으능정이거리까지 약 3~4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급행2번: 삼성네거리 직진 1회, 대종로네거리, 중앙로역네거리 좌회전 2회. 급행4번: 삼성네거리 좌회전 1회, 대전역네거리 우회전 1회) 반대로 으능정이거리에서 성남네거리로 가는 경우는 급행4번하고 직진/좌회전 신호를 받는 횟수가 같아 2~3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급행2번: 중앙로역네거리, 대종로네거리 우회전 2회, 삼성네거리 직진 1회, 성남네거리 좌회전 1회. 급행4번: 대전역네거리 좌회전 1회, 삼성네거리 우회전 1회, 성남네거리 좌회전 1회) 으능정이거리 경유 이후 대전역네거리에서 급행4번, 201번, 622번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701번이 직진 신호를 받는게 대기열이 길면 신호를 한 번에 받지 못 해 생각보다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도 있다.[8] 이곳은 121, 701, 712, 918번이 기점지이며, 121, 712, 918번은 지선버스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