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22:27:42

대전 버스 4

{{{#!wiki style="margin:-10px -0px"<tablebordercolor=#c00>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0; font-size: 14px;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colcolor=#fff> 급행좌석 2002[a] [b] 파일:계룡시 CI.svg
급행 1 2 3 4
광역 B1 파일:바로타 BI.svg M1[a]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svg 1001[b] 1002[a]
[a]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노선
[b] 타 지역 시내버스와 공동배차
}}}}}}}}} ||
파일:dj4-nc.png 파일:dj4-nclf.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4. 특징
4.1. 노선4.2.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1. 개요

협진운수에서 운행 중인 대전광역시의 급행 노선.

2. 노선 정보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대전 버스 급행4 노선도.svg
기점 대전광역시 동구 구도동(낭월공영차고지) 종점 대전광역시 대덕구 비래동(비래동종점)
종점행 첫차 05:40 기점행 첫차 05:40
막차 22:40 막차 22:30
평일배차 13분 주말배차 토요일 14분 / 공휴일 17분
운수사명 협진운수 인가대수 12대[1]
노선 낭월공영차고지 - e편한세상아파트 - (→ 대성삼거리 → 옥계동 →/← 고산사입구 ← 은어송초등학교 ←) - 석교동행정복지센터 - 한밭종합운동장 - 으능정이거리 - 대전역 - 대전복합터미널 - 비래동종점
중간 출발 정류장
비래동 방향 옥계동05:45

3. 역사

4. 특징

파일:240510 급행2번 노선 조정 안내문.png파일:240510 급행4번 노선 신설 안내문.png}}}
{{{#!folding [ 대전 급행2 ↔ 급행4 버스 환승 안내도 보기 ]
파일:협진운수 대전 급행2 급행4 버스 환승 안내도2.jpg}}}
{{{#!folding [ 급행2 ↔ 급행4 제자리 환승 성공이 가능한 예시 사진 보기 ]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으로 환승.jpg 예시 1: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출발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뒤에 낭월동 방향 급행4번, 그리고 급행4번 뒤에 원내동 방향 201번이 있는 사진이다. 앞에 있는 삼성네거리에서 급행2번은 직진을 하기 때문에 그대로 가고, 급행4번과 201번은 좌회전을 하기 위해 이 두 버스는 차선 변경을 미리 하였다. 이 경우 급행2번을 타고 왔을 때 대전역 이후 구간으로 갈 때 급행4번과 201번으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
파일:성남네거리 급행2 급행4 환승3.jpg 예시 2: 위 예시 1과 동일한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을 막 떠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1 501으로 환승1.jpg 예시 3: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서 신호를 대기하고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급행2번에서 급행4번으로 환승할 경우, 급행4번이 급행2번 바로 앞에 있어 환승에 실패할 것 같지만 바로 앞 신호등으로 인해 대기하는 차 때문에 정류장에서 출발하지 못했으므로 급행2번에서 하차하자마자 급행4번으로 뛰어가면 운이 좋은 경우 환승이 가능하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2에서 급행4 202 611으로 환승1.jpg 예시 4: 예시 3과 동일하게 '성남네거리 정류장(11970)'에 정차한 대전역동광장 방향 급행2번과 그 바로 뒤에 있는 낭월동 방향 급행4번 버스 사진으로, 예시 3에서 순서만 바뀐 형태라 예시 3보다 더 안정적으로 급행2번에서 급행4번으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 파일:대전 비래동 방향 급행4에서 봉산동 방향 급행2 환승2.jpg 예시 5: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출발한 비래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뒤를 따라가는 봉산동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파일:성남네거리에서 급행4 급행2 환승.jpg 예시 6: 위 예시 5와 같이 '성남네거리 정류장(11980)'에서 출발한 비래동 방향 급행4번과 그 바로 뒤에 정차하여 있는 봉산동 방향 급행2번 버스 사진이다. 이 경우 급행4번을 타고 왔을 때 한국전력공사 이후 구간으로 갈 때 급행2번으로 제자리 환승이 가능하다. }}}
파일: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2.jpg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사진이다.}}}
{{{#!folding [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내부 사진 보기 ]
파일: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3.jpg파일: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4.jpg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내부 사진이다.}}}
{{{#!folding [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에 정차한 급행4번 사진 보기 ]
파일: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5.jpg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에 정차한 급행4번 버스 사진이다.}}}

* 특이하게 기점과 종점이 모두 톨게이트 옆에 위치한 노선이다. 기점은 낭월공영차고지인데, 옆에 남대전TG가 위치해있고, 종점은 비래동이며, 옆에 대전TG가 위치해있다.

4.1. 노선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4번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비래동종점
51590·51580
한신휴플러스
51020
한신휴플러스
51500
복합터미널
11830
복합터미널
12010
성남네거리
11970
성남네거리
11980
대전역
1239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대전역
1240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으능정이거리
2006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으능정이거리
20050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오토바이거리
20790
오토바이거리
20800
한밭종합운동장
21090
한밭종합운동장
21100
부사오거리
21130
부사오거리
21120
석교동행정복지센터
20890
석교동행정복지센터
20900
호동
20930
호동
20940
은어송초등학교
10400
옥계동
20980
고산사입구
13620
대성삼거리
13600
오투그란데아파트
13680
오투그란데아파트
13690
e편한세상아파트
13430
e편한세상아파트
13440
석천들마을아파트
13420
석천들마을아파트
13410
낭월공영차고지
13820
}}}}}} ||

4.2. 시간표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급행버스 4번 시간표
2024년 6월 7일 기준 /
출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평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낭월동 비래동
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77회 첫차 05:40 / 막차 22:30 / 편도 76회
5시 40 45[옥계동] 54 5시 40 50
6시 08 21 32 42 52 6시 00 10 20 34 47
7시 02 12 22 32 45 7시 00 13 26 39 52
8시 00 15 30 45 8시 05 16 26 36 49
9시 00 13 26 39 52 9시 04 19 33 47
10시 05 18 31 44 57 10시 01 14 27 40 53
11시 10 23 36 49 11시 06 19 32 45 58
12시 02 15 28 41 54 12시 11 24 37 50
13시 07 20 33 46 59 13시 03 18 34 50
14시 12 25 38 52 14시 06 21 34 47
15시 06 20 34 49 15시 00 13 26 41 56
16시 04 19 34 49 16시 11 26 41 56
17시 04 19 34 49 17시 11 26 41 56
18시 04 20 36 52 18시 11 26 41 56
19시 08 22 35 48 19시 10 24 38 52
20시 01 14 28 42 56 20시 06 20 33 46 59
21시 10 24 38 53 21시 12 25 38 51
22시 08 24 40 22시 04 17 30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토요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낭월동 비래동
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74회 첫차 05:40 / 막차 22:30 / 편도 73회
5시 40 45[옥계동] 54 5시 40 54
6시 08 22 36 50 6시 08 22 36 50
7시 03 16 29 42 55 7시 04 18 32 46
8시 08 22 36 49 8시 00 14 27 40 53
9시 02 16 30 44 58 9시 06 20 34 48
10시 11 25 39 53 10시 02 16 30 44 58
11시 07 21 35 49 11시 12 26 40 54
12시 02 15 28 42 56 12시 08 22 36 50
13시 10 24 38 52 13시 04 18 32 46
14시 06 19 32 46 14시 00 14 28 42 56
15시 00 14 29 44 59 15시 10 24 38 53
16시 14 29 44 59 16시 07 21 36 51
17시 14 29 44 59 17시 06 21 36 51
18시 14 29 44 59 18시 06 21 35 49
19시 13 27 41 55 19시 02 15 28 42 56
20시 09 23 37 51 20시 10 24 38 52
21시 05 20 36 52 21시 06 20 34 48
22시 08 24 40 22시 02 16 30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공휴일 시간표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낭월동 비래동
첫차 05:40 / 막차 22:40 / 편도 61회 첫차 05:40 / 막차 22:30 / 편도 59회
5시 40 45[옥계동] 57 5시 40 57
6시 14 31 48 6시 15 33 51
7시 05 22 39 56 7시 09 27 45
8시 13 30 47 8시 03 21 38 55
9시 04 21 38 55 9시 12 29 46
10시 12 29 46 10시 03 20 37 55
11시 03 20 37 54 11시 13 31 48
12시 11 28 45 12시 05 22 39 56
13시 02 19 36 53 13시 13 30 47
14시 10 27 44 14시 05 22 39 56
15시 01 18 35 53 15시 13 30 47
16시 11 29 47 16시 05 23 41 59
17시 05 23 41 59 17시 17 35 53
18시 17 35 53 18시 11 29 47
19시 11 30 49 19시 05 23 40 57
20시 07 24 41 58 20시 14 31 48
21시 15 32 49 21시 05 22 39 56
22시 06 23 40 22시 13 30
}}}}}}}}} ||

5. 연계 철도역



[1] 저상 6대, 토요일 11대(저상 5대) / 공휴일 9대(저상 4대) 운행[2] 유성온천역-충남대기점은 기존 자운동 착발 911번이 운행하던 구간이 아니기에 제외.[3] 증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선이 분할 및 신설(개편 전 급행2번 31대, 현재 급행2번 19대+급행4번 12대 합 31대)되어 급행2번과 급행4번이 중첩되는 복합터미널-성남네거리를 포함하여, 연장된 옥계동-낭월동 구간까지 생각하면 두 노선의 총 이동거리의 합이 많이 늘어났으니 두 노선이 중첩되지 않는 이 구간에서 배차가 벌어질 수 밖에 없다.[버스정류장사진] 파일: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2.jpg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사진으로,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이 정류장이 있다.[주의] 야구나 배구 경기 종료 후 예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시절 급행2번(현재 급행4번)의 가축수송은 엄청났다. 2대가 동시에 붙어와도 그 2대 모두 꽉 채우다 못 해 터졌다.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의 위치와 좌석 규모를 생각하면 사실상 야구 또는 배구 경기 시즌의 터져나가는 수요를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사실상 기존 노선 분할 전 급행2번보다 현재 급행4번으로 수요가 훨씬 더 많이 몰려 못 탈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부사오거리에서 501번,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802번 등 다른 노선을 타야 할 수도 있다. 파일:대전 급행4번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jpg 왼쪽은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부사오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사진이고, 오른쪽은 이 정류장에 급행4번 버스가 정차한 사진이다. 으능정이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100)'은 사진의 21090 정류장 바로 건너편에 있다.[E] 대전역동광장 쪽 한정. 대전역동광장 쪽으로 갈 때 '내선' 순환 방향을 타야 하며,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 하차. '외선' 순환 방향을 탈 경우 중앙동주민센터에서 먼 곳으로 가므로 방향에 유의하자. '대전역동광장 종점'도 따로 가나, 내선 순환 방향 기준으로 중앙동주민센터 이후 우회전으로 바로 동서교 쪽으로 가지 않고 직진하여 대동역과 중앙시장, 대전역지하차도를 거쳐서 돌아가기 때문에 그냥 '중앙동주민센터 정류장'에서 하차 후 도보로 가는 것이 훨씬 빠르다.[7] 급행2번은 대전여상을 경유하여 더 먼 경로로 돌아가게 된 이후로 대전역을 경유하는 기존 최단 경로를 물려받아 운행하는 급행4번하고 성남네거리에서 동시에 출발한 경우 급행4번보다 직진/좌회전 신호를 2번이나 더 받아 으능정이거리까지 약 3~4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급행2번: 삼성네거리 직진 1회, 대종로네거리, 중앙로역네거리 좌회전 2회. 급행4번: 삼성네거리 좌회전 1회, 대전역네거리 우회전 1회) 반대로 으능정이거리에서 성남네거리로 가는 경우는 급행4번하고 직진/좌회전 신호를 받는 횟수가 같아 2~3분 정도 시간이 추가로 소요된다. (급행2번: 중앙로역네거리, 대종로네거리 우회전 2회, 삼성네거리 직진 1회, 성남네거리 좌회전 1회. 급행4번: 대전역네거리 좌회전 1회, 삼성네거리 우회전 1회, 성남네거리 좌회전 1회) 으능정이거리 경유 이후 대전역네거리에서 급행4번, 201번, 622번이 좌회전 신호를 받고, 701번이 직진 신호를 받는게 대기열이 길면 신호를 한 번에 받지 못 해 생각보다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도 있다.[주의2] 야구나 배구 경기 종료 후 예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 시절 급행2번(현재 급행4번)의 가축수송은 엄청났다. 2대가 동시에 붙어와도 그 2대 모두 꽉 채우다 못 해 터졌다. 게다가 위에서 언급한 2024년 5월 10일에 증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노선이 분할 및 신설(개편 전 급행2번 31대, 현재 급행2번 19대+급행4번 12대 합 31대)되어 두 노선이 중첩되지 않는 이 구간에서 배차가 평일 기준 기존 급행2번의 약 6~8분에서 현재 급행4번의 약 12~15분으로, 거의 1.8배 이상으로 크게 벌어져(공휴일에는 최대 20분까지 배차가 벌어지기도 한다.) 사실상 야구 또는 배구 경기 시즌의 터져나가는 수요를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거기에 기존 한화생명 이글스파크가 급행4번이 정차하는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에서 약 600m 떨어진 것과는 다르게, 후속 야구장인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의 위치는 이 정류장 바로 앞이다. 게다가 좌석 규모도 기존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는 12,000석 정도였으나, 현재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는 17,000석으로 1.4배 이상이다. 사실상 기존 노선 분할 전 급행2번보다 현재 급행4번으로 수요가 훨씬 더 몰려 못 탈 가능성이 매우 높으니 부사오거리에서 501번, 한화생명이글스파크에서 802번 등 다른 노선을 타야 할 수도 있다. 파일:대전 급행4번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jpg 왼쪽은 대전 한화생명 볼파크 바로 앞에 있는 부사오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090)' 사진이고, 오른쪽은 이 정류장에 급행4번 버스가 정차한 사진이다. 으능정이거리 방향 '한밭종합운동장 정류장(21100)'은 사진의 21090 정류장 바로 건너편에 있다.[옥계동] 옥계동 중간 출발[옥계동] 옥계동 중간 출발[옥계동] 옥계동 중간 출발[12] 으능정이거리 정류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