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22:29:54

다이어울프

다이어 울프에서 넘어옴
다이어울프(다이어늑대)
Dire wolf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nis_dirus_Skeleton_2.jpg
학명 Aenocyon dirus
Leidy, 1858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식육목Carnivora
개과Canidae
†다이어울프속Aenocyon
다이어울프A. dirus
아종
  • †동부다이어울프(A. d. dirus)
    Leidy, 1858
  • †서부다이어울프(A. d. guildayi)
    Kurtén, 1984

1. 개요2. 특징3. 대중매체4. 기타

[clearfix]

1. 개요

플라이스토세부터 홀로세까지 살던 약 1만년 전에 멸종된 대형 갯과 포유류. 북아메리카캐나다 남부부터 남아메리카 북부까지 분포하였으며[1], 화석은 주로 미국 캘리포니아 라브레아 타르 핏 지역에서 발견된다.

2. 특징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Canis_lupus_%26_dirus.jpg
늑대와의 골격 비교도. 왼쪽이 늑대, 오른쪽이 다이어울프
크기는 오늘날의 대형 늑대 아종들의 평균 덩치보다 조금 더 큰 수준으로, 동부다이어울프는 평균 68kg, 서부다이어울프는 평균 60kg정도 나갔다. 골격의 한계 때문에 아무리 많이 나가도 110kg 미만으로 추정된다.

수컷의 음경골은 현대의 다른 개과 동물들보다 비례적으로 긴 편이다. 때문에 다이어울프의 긴 음경골은 다이어울프와 늑대의 뼈를 쉽게 구분하는 척도로 쓰인다.

이름에 늑대가 들어가 있는데, 이는 골격의 생김새가 늑대와 비슷해 늑대처럼 개속(Canis)에 속해 있는 가까운 친척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2021년 1월, 약 1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에 걸친 5개의 반화석 표본으로부터 추출한 DNA를 분석한 결과 다이어울프는 기존의 생각보다 훨씬 오래 전인 약 5백만 년 전에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아메리카에서 진화했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이는 검은등자칼 등이 아프리카들개, 승냥이, 그리고 개속 동물들과 분리된 시기보다 오래된 것으로 회색늑대의 친척들이 탄생한 구대륙이 아닌 신대륙에서 전혀 다른 그들만의 역사를 가지고 살았던 동물이라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다이어울프는 아이노키온(Aenocyon)이라는 별도의 속명을 사용하게 되었다. 회색늑대와의 형태적 유사성은 같은 과라 그런 것이고, 늑대와는 물소만큼의 차이가 있다. 단 생태와 생활 방식은 늑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본다. 실제로 다이어늑대는 늑대처럼 일부일처제를 고수했으리라 강력히 추정되고, 골격들에서 나온 부상들이 늑대들이 사냥 도중 헛디뎌서 다리가 부서지는 부상과 일치한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Canis_dirus_Sergiodlarosa.jpg
왼쪽은 북아메리카에서 기원했다고 가정했을 시의 복원도, 오른쪽은 남아메리카에서 기원했다고 가정했을 시의 복원도.
한편 다이어울프는 회색늑대와 같은 모피를 가졌을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회색늑대의 털 무늬는 구대륙에서 진화하면서 일어난 다른 개속 동물들과의 유전적 교잡의 결과인데, 다이어울프는 이러한 교잡 없이 아메리카에서 독립적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이다.

자기보다 큰 먹이를 선호하는 포식자였다. 서부말(Equus occidentalis)을 주식으로 삼았고, 그외 카멜롭스, 고대들소(Bison antiquus), 난쟁이가지뿔영양(Capromeryx minor), 할란땅늘보(Paramylodon harlani)도 사냥했던 것으로 보인다.

주 경쟁상대는 스밀로돈 파틸라스, 아메리카사자였고, 큰불독곰, 코요테, 퓨마, 늑대와도 충돌했을 것이다.

멸종 원인은 기후변화와 인간, 늑대 등의 경쟁자 등장으로 인한 먹이 동물들의 개체수 급감으로 추정된다.

3. 대중매체

아무래도 고대에 살았던 덩치 큰 늑대를 닮은 맹수라는 특징 때문인지 미디어에서 강력한 위용을 보이는 모습이 많지만, 외모나 특성이나 늑대와 딱히 구분되는 점이 없다 보니 사실상 이름 차용하고 이름 외에는 그냥 오늘날의 늑대와 다름없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4. 기타



[1] 후술하겠지만, 중국 송화강에서 출토된 화석이 다이어울프로 결정난다면 분포 범위가 아시아까지 확장된다.[2] 진짜 미친듯이 많이 나온다! 길가다가 한두마리 보이는 건 예삿일일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