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24 19:20:36

논증

논리학
Logics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ab5b5> 형식 논리 명제 논리(논리 연산 · 삼단논법(정언삼단논법) · 순환 논법) · 공리 · 진리치 · 술어 논리 · 논증(논증의 재구성) · 모순 · 역설 · 논리적 오류(논리적 오류/형식적 오류) · 변증법
<colcolor=#000,#fff> 비표준 논리 직관 논리 · 양상논리 · 초일관 논리 · 다치논리(퍼지논리) · 선형논리 · 비단조 논리
메타 논리 집합론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
비형식 논리 딜레마(흑백논리)
비형식적 오류 귀납적 오류 · 심리적 오류 · 언어적 오류 · 자료적 오류 · 양비론 · 진영논리 · 편견 및 고정관념 · 궤변 · 거짓 등가성
분야 수리철학 · 수리논리학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수리논리학 둘러보기
}}}}}}}}} ||

수학기초론
Foundations of Mathematic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다루는 대상과 주요 토픽
수리논리학 논리 · 논증{귀납논증 · 연역논증 · 귀추 · 유추} · 공리 및 공준 · 증명{증명보조기 · 자동정리증명 · 귀류법 · 수학적 귀납법 · 반증 · 더블 카운팅 · PWW} · 논리함수 · 논리 연산 · 잘 정의됨 · 조건문(조각적 정의) · 명제 논리(명제 · 아이버슨 괄호 · · · 대우) · 양상논리 · 술어 논리(존재성과 유일성) · 형식문법 · 유형 이론 · 모형 이론
집합론 집합(원소 · 공집합 · 집합족 · 곱집합 · 멱집합) · 관계(동치관계 · 순서 관계) · 순서쌍(튜플) · 서수(하세 다이어그램 · 큰 가산서수) · 수 체계 · ZFC(선택공리) · 기수(초한기수) · 절대적 무한 · 모임
범주론 범주 · 함자 · 수반 · 자연 변환 · 모나드 · 쌍대성
계산가능성 이론 계산 · 오토마타 · 튜링 기계 · 바쁜 비버 · 정지 문제 · 재귀함수
정리
드모르간 법칙 · 대각선 논법 · 러셀의 역설 · 거짓말쟁이의 역설 · 뢰벤하임-스콜렘 정리 · 슈뢰더-베른슈타인 정리 · 집합-부분합 정리 · 퍼스의 항진명제 · 굿스타인 정리 · 완전성 정리 · 불완전성 정리(괴델 부호화) · 힐베르트의 호텔 · 연속체 가설 · 퍼지 논리
기타
예비사항(약어 및 기호) · 추상화 · 벤 다이어그램 · 수학철학
틀:논리학 · 틀:이산수학 · 틀:이론 컴퓨터 과학 · 철학 관련 정보 · 논리학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1. 개요2. 논증의 목적3. 논증이 아닌 것들4. 논증의 형태5. 타당성과 건전성
5.1. 타당성5.2. 건전성
6. 기타

1. 개요

/ argument

독자들을 설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정당한 근거나 일반적인 원리를 들어 주장을 펼치는 것을 논증이라 일컫는다. 추론을 언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논변(論辯)"이라고도 불린다. 논리학이 다루는 중심 주제이다.

논증은 전제(premise)결론(consequence)으로 구성된다. 전제가 결론을 뒷받침하며, 보통 논증에는 하나의 결론과 여러 전제가 있다.

논증의 결론은 보통 바로 그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이다. 반면 귀류법의 경우 상대방이 받아들이는 전제가 부조리한 결론을 도출시킨다는 것을 보이고자 할 수도 있다.

논증의 유형으로는 연역논증귀납논증 그외에도 비슷한 점을 추론하는 유추와 문제점에 대하여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문제 해결 과정 등이 있다.

논증에는 좋은 논증과 나쁜 논증이 있다. 좋은 논증이란 타당한 논증건전한 논증 둘로 나뉘며, 논리학에서 두 개념은 엄격히 구분된다.

2. 논증의 목적

논증의 목적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3. 논증이 아닌 것들

논증의 좋고 나쁨을 떠나 논증이 아예 아닌 것이다. 여기에는 논리적 오류도 있다.

4. 논증의 형태

논증은 귀납논증(inductive argument)과 연역논증(deductive argument)의 형태를 가진다.

4.1. 귀납논증

귀납논증이란 결론이 전제로부터 반드시 따라나오지는 않는 논증이다. 예를 들자면:
1. A 지역의 백조는 하얗다
1. B 지역의 백조는 하얗다
1. C 지역의 백조는 하얗다
* 모든 백조는 하얗다
이 논증에서 A, B, C 지역의 백조가 하얀 것이 모든 백조가 하얀 것을 보장하지는 않는다(꽤 높은 확률로 맞긴 하겠지만). 마찬가지로 A, B, C 지역의 백조도 하얗고 근처 수십억 개 지역의 백조도 하얗다 하더라도, 어딘가에 검은 백조가 있을 수 있으므로 참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런 논증을 귀납 논증이라 한다. 귀납 논증은 주로 여러 사실들로부터 하나의 기본적 원리를 끌어낼 때 사용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귀납논증 문서 참조.

4.2. 연역논증

연역논증이란 결론이 전제로부터 반드시 따라나오는 논증이다.

귀납 논증이 새로운 사실을 이끌어 내는 데 적합하다면, 연역논증은 일반적 원리로부터 구체적인 사실들을 끌어낼 때 흔히 사용되고는 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연역논증 문서 참조.

4.3. 수사학적 논증

수사학적 논증은 상대방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설득의 측면을 강조한 논증이다. 일반적인 논증이 논증이 가지는 타당성을 중요시하는 것과 달리 수사학적 논증은 타당성도 중요하게 여기면서 동시에 설득력도 중요하게 여긴다. 즉 예증법이나 다양한 형태의 삼단논법, 유비추리 등은 타당성의 측면에서는 약하지만 설득력이 높기 때문에 수사학적 논증에서 자주 쓰인다.[2]

5. 타당성과 건전성

이 진술(명제, 전제와 결론)의 성질이라면, 타당성과 건전성은 진술로 이루어진 (연역)논증 자체의 성질이다.

5.1. 타당성

Validity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은 그 전제들이 모두 일 때 결론도 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즉 논증이 타당하지 않을 때, 즉 전제들이 전부 참이면서도 결론이 거짓일 수 있을 때 그 논증을 "부당하다(invalid)"고 한다.

아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어떤 논증이 타당하다고 해서 그 논증의 전제들과 결론 모두가 이라는 것이 보장되지는 않는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전제들 중 거짓인 명제가 있지만 결론이 참이거나, 전제와 결론이 모두 거짓인 타당한 논증이 얼마든지 있기 때문이다.
거짓 전제가 있지만 결론이 참인 타당한 논증
1)
* 전제1. 모든 고래물고기다: 거짓
* 전제2. 모든 물고기는 동물이다: 참
* 결론. 모든 고래는 동물이다: 참
전제와 결론이 모두 거짓인 타당한 논증
1)
* 전제1. 모든 고래물고기다: 거짓
* 전제2. 모든 물고기는 조류다 : 거짓
* 결론. 모든 고래는 조류다: 거짓

5.2. 건전성

soundness

논증이 '건전'하다는 것은 (i) 논증이 타당하고 (ii) 논증의 전제들이 모두 참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타당성⊂건전성이며, 어떤 논증이 건전하다는 것은 논증이 타당하다는 것의 충분조건이지만 필요조건은 아니다.

타당한 논증은 반드시 참인 결론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반드시 참인 결론을 보장하려면 타당한 논증이 아닌 건전한 논증이 필요하다.

실제 논리학에서 따지는 것은 건전성보단 타당성이다. 예컨대, 전제가 '신사임당은 남자다'와 '모든 남자는 한국인이다'이고 결론이 '신사임당은 한국인이다'인 논증이 있다고 하자. 이 논증은 타당성의 정의에 의해 타당하지만, 전제가 거짓이므로 건전하지는 않다. 논리학자들은 신사임당이 남자든 여자든, 모든 남자가 한국인이든 아니든 관심이 없고, 전제와 결론 사이의 논리적 관계에만 관심이 있다는 뜻.

6. 기타

과학적 방법론은 귀납논증과 관계가 깊다. 하지만 귀납논증의 특성상 과학적 방법을 통해 도출된 결론의 참은 보장되지 않는다. 덕분에 인간과 동물의 생체가 활동하는 방식은 다 똑같다고 생각해서 동물들에게 임상실험한 약을 바로 실전에 사용했는데, 그러다 크리뜬게 탈리도마이드이다. 이 물질은 임산부의 태아에게 작용해서 팔다리를 다 짜리몽땅하게 바꾸는 해표증을 일으킨다.

그 외에도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있던 이런 귀납적 논증(/가설-검증 방식)으로 밝힌 과학적인 진리가 예외출현으로 뒤바뀌는 사례도 종종 일어난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세상을 움직이는 과학적인 이치가 예외가 발견되면 과학 이론은 언제든지 뒤집힐 수 있다. 다만, 과학 이론의 토대가 매우 단단하고, 이론을 매우 정교하게 쌓아 올렸으므로 쉽사리 빈틈이 발견되진 않을 것이다.

많은 과학자들이 이 빈틈을 발견하기 위해, 혹은 이를 통해 이론을 더욱 정교하고 튼튼하게 하기 위해 밤낮으로 연구하고 있다.


[1] 김용규, '설득의 논리학', 웅진지식하우스, 2007, p44[2] 김용규,'설득의 논리학',웅진지식하우스,2007,p76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