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22:44:21

녹색행군

파일:모로코 국장.svg 모로코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006233> 이프니 전쟁
,1957 ~ 1958,
<colbgcolor=#f5f5f5,#191919>
모래전쟁
,1963,
제4차 중동전쟁
,1973,
녹색행군
,1975,
서사하라 전쟁
,1964 ~ 1975,
걸프 전쟁
,1990 ~ 1991,
예멘 내전
,2015 ~ 현재,
서사하라 충돌
,2020 ~ 현재,
}}}}}}}}}

파일:스페인 국장.svg 스페인의 대외 전쟁·분쟁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전쟁·분쟁 교전국
<colbgcolor=#c60b1e> 이탈리아 전쟁
,1495 ~ 1559,
<colbgcolor=#fff,#191919>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프레베자 해전
,1538,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517-1793).svg.png 오스만 제국
네덜란드 독립전쟁
,1568 ~ 1648,
파일:Prinsenvlag.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레판토 해전
,1571,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517-1793).svg.png 오스만 제국
영국-스페인 전쟁
,1585 ~ 180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30년 전쟁
,1618 ~ 1648,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1517-1793).svg.png 오스만 제국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왕국 파일:스웨덴 제국 국기.svg 스웨덴 제국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 ~ 1659,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포르투갈 독립 전쟁
,1640 ~ 1668,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640-1667).svg.png 포르투갈 왕국
프랑스-네덜란드 전쟁
,1672 ~ 1678,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파일:스웨덴 국기(1663-1815).png 스웨덴 제국
9년 전쟁
,1688 ~ 1697,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701 ~ 1714,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사국 동맹 전쟁
,1718 ~ 1720,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프랑스 왕국 어기.svg 프랑스 왕국
폴란드 왕위 계승 전쟁
,1733 ~ 1735,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 합스부르크 왕조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01-1750).svg.png 프로이센 왕국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1740 ~ 1748,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7년전쟁
,1754 ~ 1763,
파일:프로이센 왕국 국기(1750-1801).svg.png 프로이센 왕국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파일:포르투갈 왕국 국기(1707-1816).svg.png 포르투갈 왕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ge_Herzogtum_Braunschweig.svg.png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ge_F%C3%BCrstentum_Schaumburg-Lippe.svg.png 샤움부르크리페 공령
미국 독립 전쟁
,1775 ~ 1783,
파일:그레이트브리튼 왕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혁명 전쟁
,1793 ~ 1802,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공화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 파일:네덜란드 공화국 국기.svg 네덜란드 공화국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
나폴레옹 전쟁
,1803 ~ 1815,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제1제국
스페인령 아메리카 독립 전쟁
,1808 ~ 1833,
파일:리오데라플라타연합주국기.png 리오데라플라타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그란 콜롬비아 국기.svg 그란콜롬비아 파일:멕시코 국기(1821-1823).png 멕시코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멕시코 재정복 시도
,1821 ~ 1829,
파일:Bandera_Histórica_de_la_República_Mexicana_(1824-1918).svg.png 멕시코 공화국
코친차이나 원정
,1858 ~ 1862,
파일:external/www.worldstatesmen.org/vn_tonki.gif 대남국
스페인-모로코 전쟁
,1859 ~ 1860,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도미니카 복원 전쟁
,1863 ~ 1865,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도미니카 공화국
친차 제도 전쟁
,1865 ~ 1866,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파일:볼리비아 국기.svg 볼리비아
쿠바 독립전쟁
,1895 ~ 1898,
파일:쿠바 국기(1902-1906, 1909-1959).svg 쿠바 반군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필리핀 혁명
,1896 ~ 1899,
파일:Flag_of_the_Tagalog_people.svg 카티푸난 파일:필리핀 국기(1898-1901).svg.png 필리핀 혁명군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미국-스페인 전쟁
,1898,
파일:미국 국기(1896-1908).svg 미국
리프 전쟁
,1921 ~ 1926,
파일:Flag_of_the_Republic_of_the_Rif.svg 리프 공화국
독소전쟁
,1941 ~ 1944,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이프니 전쟁
,1957 ~ 1958,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녹색행군
,1975,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걸프 전쟁
,1990 ~ 1991,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보스니아 전쟁
,1992 ~ 1996,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코소보 전쟁
,1999,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이라크 전쟁
,2003 ~ 2017,
파일:320px-Flag_of_Iraq_(1991-2004)_svg.png 이라크
제1차 리비아 내전
,2011,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리비아 }}}}}}}}}

1. 개요2. 배경3. 전개
3.1. 배경: 1975년 스페인 프랑코 정권의 동요3.2. 스페인의 서사하라 인식3.3. 녹색행군의 결정3.4. 스페인의 반응3.5. 결과
4. 영향5. 기타6. 관련 문서

1. 개요

La marcha verde / المسيرة الخضراء / 綠色行軍

영어로는 Green March라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자료에 따라 '녹색행군'이라고도 하고 '녹색행진'이라고도 한다.

2. 배경

녹색행군을 시작한 모로코의 입장에서 서사하라는 원래 모로코령이었으나 스페인이 강제로 모로코에서 분리하여 식민지로 삼은 것이었다.[1]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모로코는 스페인에게 줄기차게 스페인령 사하라를 자국에 반환할 것을 요구했으나 스페인은 간단히 무시했다.

이런 모로코의 지속적인 반환 요구와는 별도로 스페인령 사하라에서는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이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해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1973년 5월 10일에 정식으로 결성된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은 스페인에 대한 게릴라 활동을 강조하여 여러 군사적인 승리를 쟁취하고 있었다.

더욱이 모로코는 아랍인 정부였지만 서사하라 주민은 전부 베르베르인의 일파인 사흐라위족이었기 때문에 서사하라 주민들은 모로코에 합병되는 것을 반대하고 독립국가 수립을 원하고 있었다.

3. 전개

3.1. 배경: 1975년 스페인 프랑코 정권의 동요

스페인의 독재자 프란시스코 프랑코가 1975년 10월부터 위독해져 수술을 받으면서 스페인은 크게 흔들리기 시작했다.[2] 40년간 철권을 휘두른 프랑코가 곧 요단강을 건넌단 소식에 그간 총칼로 억누르던 스페인의 민주주의 지지자들은 총궐기하여 정치개혁을 요구하였으며 나바로 내각은 이에 부응하여 잠시 정치개혁을 시도하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체제 유지를 위해 닥치는 대로 반정부주의자들을 처형하면서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며 발악했다. 이로 인해 바티칸에서 격노하여 항의하는 등 스페인은 유럽 외교가에서 멸시를 받고 있었다.

당시 스페인 이외의 유럽 각국에서는 사형제 자체의 폐지가 활발하게 논의 중이었다. 실제로 서독(1949), 오스트리아(1968), 핀란드(1972), 스웨덴(1973) 같은 나라들은 이미 사형제를 폐지하기 시작했던 시점에서 스페인 당국은 정치탄압과 사형을 남발하는 과격한 행보를 저질렀다. 특히 사형당한 인사들은 주로 과거 프랑코에게 항거했던 ETA아나키스트 정치범들이었다. 그렇잖아도 유럽에서 프랑코는 유럽 최후의 파시스트 잔재 취급을 받고 있었는데 불과 한세대 전에 프랑코를 비롯한 파시스트들의 만행을 생생히 기억하고 있던 유럽 각국은 스페인 당국의 행보에 격렬한 반응을 내보였다.

당장 유럽에선 스웨덴의 올로프 팔메를 중심으로 프랑코 체제 종결론을 주장하며 다시 한 번 모처럼 전후 직후 수준으로 인식이 떨어졌고 동구권에게 '파시스트와 타협하는 서방'이란 선전거리를 주면서까지 반공주의 체제에 들어가는 대가로 간신히 체제 보장을 인정한 걸 통수 맞은 미국은 동서방 초월한 유럽국가들 주도로 정식 UN을 통한 제제 시도를 헨리 키신저가 간신히 막으면서도 자꾸 이런 식으로 굴면 재미없다고 대사 소환을 비롯한 강력한 괘씸함을 표현했다. 지극히 키신저 휘하 국무부스런 이중성이긴 해도 이미 30년 전 스페인 내전에 참전했던 앙드레 말로, 조지 오웰, 로버트 카파, 게르다 타로 같은 수많은 좌파 지식인들이 여론을 주도했던 사민주의 체제에서 자란 전후 유럽인들의 인식에서 프랑코 정권은 이미 청년기, 아버지 시절의 히틀러 서막쯤 되는 근본적으로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3.2. 스페인의 서사하라 인식

이 시점에서 스페인령 사하라가 더이상 유지될 수 없다는 사실은 명백해졌다. 그러나 스페인령 사하라를 해체한 후 이 지역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해서는 스페인과 모로코의 의견이 갈렸다.

당시 스페인의 입장은 스페인령 사하라를 모로코에 넘기는 데에 부정적이었다. 어차피 스페인령 사하라를 모로코에 넘긴다고 해서 자신들과 모로코의 관계가 크게 개선될 리도 없다는 판단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스페인령 사하라를 넘기게 되면 모로코 북쪽에 붙어있는 스페인령의 도시인 세우타, 멜리야의 반환 요구도 더욱 거세질 것이 분명했다. 때문에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이 집권하는 서사하라 독립정부를 승인하고 스페인에 우호적인 국가를 만들자는 입장이었다.

한편 모로코는 스페인의 그러한 노선에 크게 반발했다. 이 지역에 역사적 연결이 있다고 여긴 모로코로서는 서사하라라는 새로운 독립국의 출현이란 스페인이 자기네 땅을 돌려주지 않으려는 술책으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3.3. 녹색행군의 결정

같은 해 스페인, 모로코, 모리타니 3국이 마드리드에 모여 서사하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드리드 협정을 논의하던 중 스페인의 태도에 불만이 폭발한 모로코의 하산 2세가 결단을 내렸다.

1975년 11월 6일 무려 35만명의 모로코인들이 배낭과 녹색 깃발을 들고 모로코 남부 도시인 타르파야(Tarfaya)에 몰려들었는데 이들이 배낭을 짊어지고 모인 이유는 단순히 며칠 놀고 먹고 불도 피우려는 것이 아니었다. 이들은 국경을 넘어 서사하라로 진입했다. 35만명의 모로코인들은 서사하라에 눌러앉아 살기 위해 짊어진 것이었다. 바로 이 사건을 녹색행군이라 부른다. 이들은 전부 민간인이었다.

3.4. 스페인의 반응

스페인군이나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 게릴라나 모두 벙찐 표정을 지으면서 이 무지막지한 민간인 러시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무장하지 않은 민간인이었기 때문에 이들에게 함부로 총을 쏘면 민간인 학살이 되고 죽이지 않더라도 이들을 함부로 제재하면 인종차별이네 뭐네 하면서 큰 문제가 된다. 총을 쏘던 강제로 몰아내던 이 '민간인'들에게 무언가 하기만 하면 모로코 입장에서는 서사하라를 무력 점령할 구실이 생기는 것이었다.

유럽의 여론조차도 스페인에 적대적이었다. 프랑코 체제의 최후의 발악에 그 어느 나라도 스페인을 지지하지 않았다. 이미 당사자가 바로 그 프랑코 정권인데 1975년이면 베트남 전쟁도 끝났고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전역에서 프랑스, 영국, 벨기에, 네덜란드, 심지어 이웃 권위주의 반공 독재정권이었던 포르투갈 식민지 전쟁도 끝난 시점이었다. 경우가 유사했던 1960년대 초반 인도고아 침공/해방은 그나마 여전히 알제리, 아덴, 콩고 등지에서 부분적으로 최후의 식민지 전쟁을 치르던 다른 몰락해 가는 전후 유럽 제국주의 전직 열강들이 살라자르 정권을 지지라도 해 줬지[3] 이런 소위 '제국주의자들의 연대'가 이루어질 건덕지도 안 남았던 1975년은 이야기가 달랐다. 자칫 잘못 행동하기라도 하면 '민주정권을 총칼로 학살하며 정권을 잡아 냉전의 야합으로 목숨을 연명한 최후의 나치 놈들' + '제국주의의 최후의 발악'이라는 아주 환상적인 일타쌍피 어그로를 끌며 국제사회가 강제로 개입할 수도 있던 상황이었다. 게다가 당시 스페인령 사하라의 전체 인구는 25만명도 채 되지 않았기 때문에 민간인 35만명이 밀고 내려오면 이미 감당이 불가능했다. 스페인군과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 게릴라들은 이 35만명의 모로코 사람들이 서사하라에 눌러앉아 버리는 것을 볼 수밖에 없었다.

죽어가는 프랑코를 대신하여 국가원수 대행을 맡고 있던 국왕 후안 카를로스 1세는 유럽 각국에게 스페인에 대한 지지를 촉구했지만 스페인의 입지는 이미 반정부 인사들에 대한 대대적인 사형 집행으로 완전히 박살나버린 터였다. 이전에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고아인도가 무력으로 회수하는 과정에서도 드러났듯이 유럽 국가들은 유럽 바깥의 식민지들이 공격받는 일에 대해 전혀 도울 생각이 없었다.

3.5. 결과

녹색행군 후 스페인은 결국 더 이상 이 지역을 통치할 수 없음을 깨달아 스페인령 사하라를 해체하고 마드리드 협정을 체결했다. 스페인은 협정에 따라 곧바로 서사하라 주둔군을 철수시켰고 서사하라 문제에서 완전히 손을 떼었다.

마드리드 협정은 서사하라 지역을 북위 24도선을 기준으로 2:1로 나누어 모로코와 모리타니가 차지한다는 내용이었다. 폴리사리오 전선은 이에 당연히 반발하였고, 상대적으로 국력이 미비한 모리타니는 1979년 서사하라에서 철수했다. 한편 모로코는 원래 모리타니에게 할당된 서사하라 영토마저 무력으로 점령하고 모로코 장벽을 세우면서 지배권을 확립하였고, 공식적으로 서사하라 영토를 수복했다고 선포했다.

4. 영향

녹색행군 당시 모로코 정부는 35만명에게 약간의 서사하라 정착 지원금을 주고 이후에는 '알아서 생존하시오'라고 했다.[4] 그런데 이름에 사하라가 들어간 것처럼 국토 대부분이 매우 척박한 사막이라 생존이 매우 어려워 서사하라로 이주했다가 다시 모로코로 돌아오는 무리가 생기기 시작했다. 이에 모로코 정부는 서사하라로 넘어간 모로코 사람들이 모로코로 넘어오지 못하게 철저히 차단하는 한편 꾸준히 가난한 모로코인들을 약간의 정착 지원금을 쥐어주며 서사하라로 이주시켰다.

그 결과 모로코 정부와 폴리사리오 인민해방전선이 주민선거를 통해 서사하라의 운명을 결정하자는 큰 원칙에는 합의했으나 누구까지 선거인으로 포함할지에 대해 큰 이견이 발생해 문제 해결은 안드로메다행이 되어 현재까지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5. 기타

이사건을 다룬 다큐는 2024년 8월 25일 EBS 1TV에서 제 21회 EIDF로 방송된 기억의 징검다리 부문 작품 모로코 다큐 "그 모든 거짓말의 어머니"가 있다.

6. 관련 문서



[1] 사실은 모로코의 주장과 달리 서사하라의 원주민인 사흐라위인(Sahwari)들은 역사시대에 어떤 단일한 공동체나 국가를 성립시킨 적도 없고 단일한 정치결사체로 모로코의 술탄에 복종한 적이 없었다. 스페인이 이 지역을 식민지로 만들 때까지 사흐라위인은 Regulibat, O.delim 등의 부족단위로 유목생활을 계속했으며 부족장의 권위를 높이기 위한 명목상의 맹약이나 신종을 “일시적”으로 맺을 뿐이었으며 모로코의 역대 왕조들이 서사하라 전역을 중앙집권적으로 실효지배한 적도 한 번도 없었다. 모로코와 접한 북부 테크나(Tekna) 지역 부족장들만 꾸준히 신종했을 뿐…[2] 프랑코는 1달 뒤 11월 20일 사망한다.[3] 그나마 이것도 그냥 립서비스 지지에 불과했다. 살라자르 정권 자체에 대한 인식도 유럽에서 나빴고 기껏해야 서방 세계의 정계에서 '포르투갈의 영토적 주권을 짓뭉게다니 인도 나빠!' 수준의 면피용 발언 한마디로 끝났고 이후 인도가 딱히 실질적인 피해를 본 것도 아니었다.[4] 사실 군인도 아니고 민간인이니 세금 혜택이나 지원금 정도가 최선이고 평생을 먹여살릴 순 없는 노릇이다. 조선의 4군 6진도 부역 면제 등의 구실로 거주민을 끌어들였다.